$\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산 벌꿀의 밀원별 단당, 이당 및 삼당류의 정량 특성
Character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Unifloral Honey Based on the Mono-, Di-, and Trisaccharide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8 no.1, 2016년, pp.1 - 8  

장은숙 (대구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과) ,  김인숙 (대구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과) ,  이은진 (대구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과) ,  서현선 (대구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과) ,  이혜정 (대구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과) ,  김은 (대구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과) ,  김경태 (대구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과) ,  김종배 (대구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에서 생산 및 유통되고 있는 서로 다른 밀원의 45개 벌꿀(아카시아꿀 15, 잡화꿀 15, 밤꿀 10, 사양꿀 5)을 대상으로, 단당류, 이당류 그리고 삼당류를 TMSO 및 TMSMe 유도체화를 만들어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아카시아꿀, 잡화꿀, 밤꿀과 사양꿀에서 전화당의 총 함량은 각각 $69.3{\pm}2.86$, $66.4{\pm}3.28$, $62.4{\pm}2.24$$68.0{\pm}2.32%$였고, F/G 비는 1.61, 1.46, 1.90와 1.13이었다. 벌꿀시료에서 이당류는 약14종을 분리하였으며, 이전의 연구에서 보고된 cellobisoe와 melebiose는 모든 벌꿀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주요 이당류로는 turanose, maltulose, maltose, trehalulose, kojibiose, isomaltose, nigerose였으며, 꽃꿀에서 미량으로 존재하는 이당류로는 sucrose, ${\alpha}$-trehalose, ${\alpha},{\beta}$-trehalose, laminaribiose, palatinose, gentibiose 등으로 나타났다. 이당류의 총 함량은 maltulose, turanose, trehalulose의 함량이 높은 밤꿀에서 $14.2{\pm}2.43%$로 가장 높았으며, 아카시아 꿀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8.79{\pm}1.76%$였다. 밀원별 벌꿀에서 7종류의 삼당류를 정량분석하였으며, 그 중 erlose는 사양꿀에서 $4.59{\pm}1.28%$로 가장 높았으며, 꽃꿀에서는 0.79-1.75%의 함량분포를 나타내었다.. 이당류와 삼당류의 총 함량은 maltulose와 turanose, trehalulose, isomaltose 등의 함량이 높게 나타난 밤꿀에서 $16.0{\pm}2.03%$로 가장 높았으며, 아카시아, 잡화꿀과 사양꿀에서는 각각 $9.70{\pm}1.75%$, $11.5{\pm}3.07%$$15.1{\pm}3.19%$의 평균함량 분포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gar profiles of 45 Korean honey samples (15 acacia, 15 multi-floral, 10 chestnut, and 5 artificial honey samples), which are commercially available in the Korean markets, were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hrough TMS-oxime and TMS-methoxime derivatization. The avera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 벌꿀 농가와 시중에 유통 중인 아카시아, 잡화, 밤 그리고 사양꿀을 대상으로, 이들 밀원별 벌꿀이 구성하고 있는 당류들의 함량 분포와 구성 특성을 조사함으로써 한국산 벌꿀의 밀원별 당 구성 특성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벌꿀에 대한 품질특성 분석과 품질 관리를 위한 지표로 활용하고자 한다.
  • Kim 등(16)은 이전 보고에서 벌꿀에 존재하는 이·삼당류의 정성 및 정량을 위해 13개 이당류와 7개 삼당류 표준품을 이용하여 각각 TMSO과 TMSMe 유도체화 당류를 만들고, GC/MS 상에서 분리되는 단일 피크에 의한 정성 및 정량 분석법을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당류인 laminaribiose 표준 물질을 추가로 확보하여 동일 분석조건에서 분리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밀원별 삼당류의 총 함량은 어떤 순으로 나타났나? 밀원별 삼당류의 총 함량은 사양꿀>밤꿀>아카시아꿀>잡화꿀 순으로, 이당류와 삼당류의 분포는 같은 밀원의 벌꿀에서도 상대적으로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예를 들면, 위에서 언급한 밤꿀의 melezitose를 제외하고, erlose의 경우, 아카시아꿀에서 0.06-2.
일반적으로 벌꿀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 벌꿀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의 조성과 함량은 밀원별 또는 지리적ㆍ환경적 기원별로 다소 차이를 나타내지만, 주성분인 포도당과 과당의 함량은 약 60-75%, 이당류와 올리고당은 5-20% 내외이며, 그 외 수분이 약 20% 정도이고, 약간의 유기산과 페놀성 화합물 그리고 기타 무기 및 유기화합물로 구성되어 있다(3-6).
fructose/glucose (F/G) 비는 어떠한 지표로 이용될 수 있는가? 46의 평균함량분포를 보였는데, 이 값들은 우리나라 유통 벌꿀의 특성을 연구한 Kim 등(13)과 밀원별 방사선동위원소 비를 보고한 Cho 등 (17)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F/G 비는 밀원유래 벌꿀의 특성을 판단할 수 있는 좋은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MFDS. Korean Food Cod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heongju, Korea. (2011) 

  2. Codex Alimentarius. Codex Standard for Honey, CODEX STAN 12. Roma, Italy. pp. 1-8 (2001) 

  3. Kek SP, Chin NL, Yusof YA, Tan SW, Chua LS. Total phenolic contents and colour intensity of malaysian honeys from the Apis spp. and Trigona spp. Bees. Agr. Agr. Sci. Proced. 2: 150-155 (2014) 

  4. da Silva IAA, da Silva TMS, Camara CA, Queiroz N, Magnani M, de Novais JS, Soledade LEB, de Oliveira Lima E, de Souza AL, de Souza AG. Phenolic profile, antioxidant activity and palynological analysis of stingless bee honey from Amazonas, Northern Brazil. Food Chem. 141: 3552-3558 (2013) 

  5. Surez-Luque S, Mato I, Huidobro JF, Simal-Lozano J, Sancho MT. Rapid determination of minority organic acids in honey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 Chromatogr. A. 955: 207-214 (2002) 

  6. Alqarni AS, Owayss AA, Mahmoud AA, Hannan MA. Mineral content and physical properties of local and imported honeys in Saudi Arabia. J. Saudi Chem. Soc. 18: 618-625 (2014) 

  7. Horvth K, Molmr-Perl I. Simultaneous quantitation of mono-, diand trisaccharides by GC-MS of their TMS ether oxime derivatives: II. In honey. Chromatographia 45: 328-335 (1997) 

  8. Grmez Brez JA, Garcia-Villanova RJ, Elvira Garcia S, Gonzlez Params AM. Optimization of the capillary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of mono-and oligosaccharides in honeys. Chromatographia 50: 461-469 (1999) 

  9. Sanz ML, Sanz J, Matute-Castro I. Gas chromatographic-mass spectrometric method for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disaccharides and trisaccharides in honey. J. Chromatogr. A. 1059: 143-148 (2004) 

  10. Ruiz-Matute AI, B개ki M, Soria AC, Snaz ML, Martinez-Castro I. Gas chromatographic-mass spectrometric characterisation of triand tetrasaccharides in honey. Food Chem. 120: 637-642 (2010) 

  11. de la Fuente E, Ruiz-Matute AI, Valencia-Barrera RM, Sanz J, Martinez Castro I. Carbohydrate composition of Spanish unifloral honeys. Food Chem. 129: 1483-1489 (2011) 

  12. Kim JG, Kim MK, Lee SH. Study on the content of oligosaccharides in honey by honey plants. J. Apic. 8: 165-169 (1993) 

  13. Kim JY, Song HY, Moon JA, Shin MH, Baek SH. Quality properties of honey in Korean commercial marke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432-437 (2014) 

  14. Paik WK, Kwak AK, Lee ML, Sim HS. Studies o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jujube (Zizyphus jujube var. inermis) and snowbell (Styrax japonica) honey produced in Korea. J. Apic. 29: 125-135 (2014) 

  15. Kim ES, Rhee CO. Analysis and quantitation of di-and trisaccharides in native-bee honeys using capillary gas chromatography.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605-611 (1995) 

  16. Kim JB, Jang ES, Kim IS, Lee HJ, Lee HJ, Seo HS, Park NP. An improved analytical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of di-and trisaccharides in honey using by GC and GC/MS. Korean J. Food Sci. Technol. 47: 27-36 (2015) 

  17. Cho YJ, Kim JY, Chang MI, Kang KM, Park YC, Kang IH, Do JA, Kwon KS, Oh JH. A study on stable isotope ratio of circulated honey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401-410 (2012) 

  18. Escuredo O, Dobre I, Fernndez-Gonzlez M, Carmen Seijo M. Contribution of botanical origin and sugar composition of honeys on the crystallization phenomenon. Food Chem. 149: 84-90 (2014) 

  19. Ruiz-Matute AI, Sanz ML, Martinez-Castro I. Use of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for identification of a new disaccharide in honey. J. Chromatogr. A. 1157: 480-483 (2007) 

  20. de la Fuente E, Sanz ML, Martnez-Castro I, Sanz J. Development of a robust method for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disaccharides in honey by gas chromatography. J. Chromatogr. A. 1135: 212-218 (2006) 

  21. Kim BN, Kim TJ, Cheigh HS. Minerals, HMF and vitamins of honey harvested in Kangwo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3: 675-679 (1994) 

  22. Echigo T, Takenaka T. Changes in erlose contents by honeybee invertase. Agr. Biol. Chem. Tokyo 37: A14-A14 (1973) 

  23. Swallow KW, Low NH. Analysis and quantitation of the carbohydrates in honey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 Agr. Food Chem. 38: 1828-1832 (19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