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강도 광원을 이용한 새싹 채소의 살균
Sterilization of Rapeseed Sprouts by Intense Pulsed Light Treatment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8 no.1, 2016년, pp.36 - 41  

박희란 (전주대학교 전통식품산업학과) ,  차경희 (전주대학교 한식조리학과) ,  신정규 (전주대학교 한식조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비가열 살균 기술 중 하나인 광펄스 기술을 이용하여 신선편이 식품 중 하나인 새싹채소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저감 효과를 검토하였다. 새싹 채소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오염도는 총균수 $1.2{\times}10^7CFU/g$, 대장균군 $3.3{\times}10^6CFU/g$, E. coli O157:H7,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및 Listeria는 각각 $2.1{\times}10^5CFU/g$, $4.9{\times}10^5CFU/g$, $1.7{\times}10^5CFU/g$, $4.3{\times}10^4CFU/g$이었다. 펄스 수 5 pps, 광원과 시료 사이의 거리 6.7 cm의 동일한 조건에서 빛의 세기를 달리하여 처리하였을 경우 빛의 세기가 강할수록 사멸율은 증가하였으며, 빛의 세기 1000 V에서 일반세균은 1.0 log CFU/g, 대장균군은 1.6 log CFU/g, 병원성 대장균은 1.8 log CFU/g의 사멸율을 보였다. 광원과 시료 사이의 거리에 따른 사멸효과는 거리가 짧을수록 사멸율은 증가하여, 광원과 시료 사이의 거리 6.7 cm, 빛의 세기 1000 V, 펄스 수 5 pps에서 일반세균 0.9 log CFU/g, 대장균군 0.8 log CFU/g, 병원성대장균 1.9 log CFU/g의 사멸율을 나타내었다. 광펄스 처리 전후 새싹채소의 수분함량과 비타민 C의 함량변화는 처리 후의 시료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새싹채소의 살균에 있어 광펄스 기술은 처리 조건에 따라 90-99%의 사멸율을 나타내어 신선편이 식품의 비가열 살균 기술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intense pulsed light (IPL) treatment on microbial inactivation and quality in rapeseed sprouts were investigated. Untreated rapeseed sprouts exhibit a high level of total aerobic bacteria (TAB) ($1.2{\times}10^7CFU/g$), coliform bacteria (coliform) ($3.3...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은 신선편이 식품으로 여러 음식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가열살균이 불가능한 새싹 채소를 대상으로 비가열 살균 기술인 광펄스 기술을 적용하여 미생물의 사멸효과를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선편이 식품의 단점은 무엇입니까? 신선편이 식품은 가공과정 중 별도의 열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원료 자체가 빠르게 부패되고 작업자나 작업환경으로 부터 오염이 쉽게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가공 단계나 유통 중에 일어날 수 있는 온도 관리의 실패는 신선편이 식품의 품질 열화 및 안전성을 위협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1). 특히 세척 포장된 새싹 채소나 샐러드는 대부분 가열처리 없이 제품화 하고 구매 후 그대로 섭취하는 제품의 특성상 생산, 세척, 포장 및 유통 과정 중에 주의를 소홀히 할 경우 식중독 발생의 우려가 있으며, 철저한 위생 관리가 필요한 식품이다(2).
새싹 채소의 경우 각별한 관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새싹 채소란 발아시킨 종자를 물로만 재배하여 1주일 이내에 수확하는 본잎이 전개되지 않은 미성숙한 채소로 완전히 성숙한 채소에 비해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식이섬유 등의 많은 영양성분 뿐만 아니라 항산화 성분의 약리작용으로 인하여 식품 이상의 기대를 갖게 되면서 건강식품으로서 수요와 공급이 확대되고 있다(3). 그러나 새싹 채소는 조직이 연하여 세척에 의한 제균 작업이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주의를 소홀히 할 경우 식중독을 야기하는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에 노출될 수 있다(4). 따라서 새싹 채소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와 고품질 유통을 위해서는 생산에서부터 유통 단계에까지 이르는 관리가 필요하다.
광펄스에 의한 미생물의 사멸과정은 어떠합니까? 광펄스에 의한 미생물의 사멸은 광열(photothermal), 광화학적(photochemical), 그리고 광물리적(photophysical) 효과에 의한 것으로 이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라기 보다는 복합적 작용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강한 빛을 가진 광원에 미생물이 노출될 경우 세포 표면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열적 작용에 의해 사멸이 이루어기도 하며, 강한 빛의 충격에 의해 세포벽이나 세포막의 파괴가 이루어지기도 하고, 광원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세포내의 DNA의 손상 또는 파괴를 일으켜 사멸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6-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Hurst WC, Schuler GA. Fresh produce processing: An industry perspective. J. Food Protect. 55: 824-827 (1992) 

  2. Park SY, Yeon JH, Choi JW, Lee MJ, Lee DH, Kim KS, Park KH, Ha SD. Assessment of contamination levels of foodborne pathogens isolated in major RTE foods marketed in convenience stor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74-278 (2005) 

  3. Jun SY, Kim TH, Hwang SH. The consumption status and preference for sprouts and leafy vegetables. Korean J. Food Preserv. 19: 783-791 (2012) 

  4. Adams MR, Hartley AD, Cox LJ. Factors affecting the efficacy of washing procedures used in the production of prepared salads. Food Microbiol. 6: 69-77 (1989) 

  5. Park JY, Na SY, Lee YJ. Present and future of non-thermal food processing technology. Food Sci. Ind. 43: 2-20 (2010) 

  6. Rowan NJ, MacGregor SJ, Anderson JG, Fouracre RA, McIlvaney L, Farish O. Pulsed light inactivation of food-related microorganisms. Appl. Environ. Microbiol. 65: 1312-1315 (1999) 

  7. Roberts P, Hope A. Virus inactivation by high intensity broad spectrum pulsed light. J. Virol. Method. 110: 61-65 (2003) 

  8. Dunn JE, Clark RW, Ott TW. Pulsed-light treatment of food and packaging. Food Technol. 49: 95-98 (1995) 

  9. Barbosa-Canovas GV, Schaffner DW, Pierson MD, Zhang QH. Pulsed light technology. J. Food Sci. 65: 82-85 (2000) 

  10. Gemma OO, Ingrid AA, Olga MB, Rovert SF. Effects of pulsed light treatments on qualit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fresh-cut mushrooms (Agaricus bisporus). Postharvest Biol. Tec. 56: 216-222 (2010) 

  11. Kim AJ, Shin JK. Nonthermal sterilization of pathogenic Escherichia coli by intense pulsed light a batch system. Korean J. Food Sci. Technol. 47: 81-86 (2015) 

  12. Jeong CH, Bae YI, Shim KH.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ovenia dulcis Thunb. leaf tea.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 117-123 (2000) 

  13. Kim JS, Bang OK, Chang HC. Examination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ready-to-eat vegetable salad. J. Fd. Hyg. Safety 19: 60-65 (2004) 

  14. Bae YM, Hong YJ, Kang DH, Heu SG, Lee SY. Microbial and pathogenic contamination of ready-to-eat fresh vegetables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165: 5-28 (2011) 

  15. Solberg M, Buckalew JJ, Chen CM, SChaffner DW, O'Neil K, Mcdowell J, Post LS, Boderck M. Microbiological safety assurance system for food service facilities. Food Technol. 44: 68-73 (1990) 

  16. Cho HY, Shin JK, Song YA, Yoon SJ, Kim JM, Pyun YR. Nonthermal pasteu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by high intensity light puls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631-636 (2002) 

  17. Park KJ, Lim JH, Kim JH, Jeong JW, Jo JH, Jeong SW. Reduction of microbial load on radish (Raphanus satius L.) seeds by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hot water treatments. J. Food Preserv. 14: 487-491 (2007) 

  18. Anderson JG, Rowan NJ, MacGregor SJ, Fouracre RA, Farish O. Inactivation of food-borne enteropathogenic bacteria and spoilage fungi using pulsed-light. IEEE Trans. Plasma Sci. 28: 83-88 (2000) 

  19. Rowan NJ, MacGregor SJ, Anderson JG, Fouracre RA, McIlcaney L, Farish O. Pulsed-light inactivation of food-related microorganisms. Appl. Environ. Microbiol. 65: 1312-1315 (1999) 

  20. MacGregor SJ, Anderson JG, Fouracre RA, Farish O, MaIlvancy L, Rowan NJ. Light inactivation of food-related pathogenic bacteria using a pulsed power source. Lett. Appl. Microbiol. 27: 67-70 (1998) 

  21. Ghasemi Z, Macgregor S, Anderson J, Lamont Y.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sold-state generator for light inactivation of foodrelated pathogenic bacterial. Meas. Sci. Technol. 14: N26-N32 (2003) 

  22. Han KH. Nonthermal sterilization against food-borne pathogens by high intensity pulsed light. MS thesis, Hoseo University, Cheonan, Korea (2010) 

  23. Kim BR, Kim AJ, Shin JK. Effect of sterilization by intense pulsed light on radiation-resistant bacterium, Micrococcus roseus.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248-251 (2013) 

  24. Cheigh CI, Mun JH, Chung MS. Nonthermal sterilization and shelf-life extension of seafood products by intense pulsed light treatment. Korean J. Food Nutr. 25: 69-76 (2012) 

  25. Arts-Hernndez F, Robles PA, Gmez PA, Toms-Callejas A, Arts F. Low UV-C illumination for keeping overall quality of fresh-cut watermelon. Postharvest Biol. Tec. 55: 114-120 (2010) 

  26. Hong HJ, Kim AJ, Park HR, Shin JK.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aprika by intense pulsed light treat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339-344 (2013) 

  27. Allende A, Alicia M, Buenda B, Toms-Barbern F, Gil, MI. Impact of combined postharvest treatments (UV-C, gaseous $O_3$ , superatmospheric $O_2$ and high $CO_2$ ) on health promoting compounds and shelf-life strawberries. Postharvest Biol. Tec. 46: 201-2011 (2007) 

  28. Falguera V, Pagan J, Ibarz A. Effect of UV irradiation on enzymatic activitie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pple juices from different varieties. LWT-Food Sci. Technol. 44: 115-119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