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유아음악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1985-2015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rom 1985 to 2015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2 no.1, 2016년, pp.83 - 101  

강은덕 (백석대학교 유아교육과) ,  신지혜 (가천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본 연구는 미래 유아음악교육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1985년부터 2015년까지 30년 동안 국내 석, 박사 학위 논문 265편을 대상으로 연구시기, 연구내용, 연구방법, 연구대상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총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7년부터 2010년까지 기간 동안에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박사학위 논문의 수가 급증하였다. 둘째, 연구내용은 서양의 음악교수방법 및 통합적 교수방법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셋째, 연구방법은 실험연구 중심의 양적연구에 집중되었다. 넷째, 연구대상은 대부분 5세 유아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누리과정의 운영과 유아음악교육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imed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young children's music education in the future. For the purpose, we sampled 265 domestic theses and dissertations that were written over the past three decades between 1985 and 2015, which were analyzed by period of time, content, met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아교육의 역사와 함께 발전해온 유아음악교육 120여년의 역사 중에서국, 내외의 정치적, 교육적 변화와 흐름을 통하여 많은 발전을 이루어온 최근 30년 동안 유아 교육전공에서 연구된 유아음악교육 관련 석, 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시기, 내용, 방법, 대상으로 나누어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유아음악교육연구에 대한 교육적 함의와 미래 유아음악교육 연구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유아교육전공에서 유아음악교육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한 1985년부터 2015년 8월까지 30년 동안 유아교육전공분야 안에서 유아음악교육 연구의 학문적 역사적 발전 동향을 살피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통계를 통하여 나타난 단순한 사실을 밝히기보다는 유아교육전공자의 시각에서 유아음악교육이 본격적으로 발전한 최근 30년 동안 유아음악교육 연구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미래 유아음악교육 연구를 위한 교육적 함의와 유아음악교육 연구의 체계적인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과학기술부와 보건복지부가 정의하는 인간의 특성은? 인간은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이를 표현하고자 하는 기본적 욕구가 있을 뿐 아니라, 다른 사람과 공유하고 소통하고자 하는 예술적 존재이다(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오늘날의 교육에서는 이성적 인간과 대비되는 ‘조화로운 인간’의 개념으로 ‘세상의 아름답고 선한 가치’ 를 예술가와 같은 시선으로 느끼고 체험할 수 있는 미적심상이 풍부한 인간을 추구한다(임부연, 2015).
이홍수가 말하는 음악의 중요성은? 오늘날의 교육에서는 이성적 인간과 대비되는 ‘조화로운 인간’의 개념으로 ‘세상의 아름답고 선한 가치’ 를 예술가와 같은 시선으로 느끼고 체험할 수 있는 미적심상이 풍부한 인간을 추구한다(임부연, 2015). 예술의 장르 중에서도 음악은 인간의 정서에 미치는 힘이 크고 다양한 느낌을 여러 가지 음악예술로 나타낼 수 있도록 도와주어 고대시대부터 인격형성에 중요한 예술로 그 가치가 인식되어 왔다(이홍수, 1990).
인간의 청각능력이 발달되는 시기는? 음악의 소리를 듣고 느낄 수 있는 인간의 청각능력은 매우 예민하여 오감각 중에서도 가장 먼저 발달한다. 태아초기에는 의학적으로 귀가 형성되지는 않으나, 임신 2-3개월경에는 뇌세포가 완성되고 이후 임신 6-7개월경이 되면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된다(정수연, 2009). 이후 완전한 청각기능은 6세가 되면 거의 완성되고 음높이의 변별이나 리듬감각능력 등의 발달은 유동음악적성기3를 거쳐 9세까지 급속히 발달한다(유덕희, 197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0)

  1. 강은덕 (2001). 음악적 개념에 기초한 통합적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성 및 행동.동작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은덕 (2015). 유아교사의 음악개념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과의 관계연구. 가톨릭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2013). 3-5세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4. 김경미 (2009). 음악적 요소 중심의 탐색적 음악교육활동이 유아의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보람 (2014). 음악 교육적 측면에서 바라본 유아기 음악놀이 활동의 이해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성렬 (1970). 한국의 유치원 노래교재에 관한 분석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영연 (1999). 유아음악교육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음악교육연구, 18, 99-114. 

  8. 김영연 (2002). 유아음악교육론. 서울: 학지사. 

  9. 김영옥 (2005). 유아교육연구의 동향과 전망: 유아교육학의 이해. 서울: 양서원. 

  10. 김은아 (2010). 유아음악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인실 (2007). 음악동화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성심교육연구논총, 5(1), 25-40. 

  12. 김현실 (2015). 예술교과통합 음악창작 프로그램이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44(1), 51-75. 

  13. 권연정, 유주연 (2013). 최근 5년간 유아교육관련 학회지에 게재된 질적연구 논문의 동향 분석. 유아교육연구, 33(2), 191-212. 

  14. 라혜미, 이희영 (2012).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4(2), 246-262. 

  15. 마송희 (2011). 통합유아음악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유아교육연구, 15(5), 227-247. 

  16. 박수미, 우정희 (2008). 유아음악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1995-2008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55, 19-41. 

  17. 박순희 (2011). 유아음악교육 관련 학위 논문의 연구경향분석: 2000-2010 유아음악교육 방법에 관하여. 성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방은영, 박찬옥 (2005). 유치원 교사의 음악교수 효능감에 관한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9(4), 5-30. 

  19. 박정빈 (1995). 유아음악교육 문헌 관계 한국 석.박사 학위 논문의 총람 및 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박주연 (2007). 미래 음악교육의 관점에서 본 한국 음악교육학 석사학위 논문 주제의 경향분석연구. (2000-2005년의 서울 및 경기소재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배정희 (2011). 유치원 음악교육의 동향분석: 환경, 교육내용, 교수, 교사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석문주 (2004). 음악교육의 최근 연구동향을 통한 우리나라 음악교육연구의 새로운 접근. 음악교육연구, 27, 91-128. 

  23. 성인지 (2007). 유아음악교수법의 연구 동향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신지혜, 최혜순 (2014). 유아행복 관련 연구동향의 분석. 유아교육연구, 34(1), 5-28. 

  25. 심성경, 이희자, 이선경, 김경의, 이효숙, 박주희 (2013). 영유아 음악교육. 파주: 양서원. 

  26. 안경숙 (2014). 예비유아교사 대상의 유아예술교육 관련 교과 수업모형 개발을 위한 시사점 탐색-뇌 기반 학습과학에 기초하여-. 학습자 중심 교과교육 연구, 14(8), 1-23. 

  27. 안재신 (1996). 유아음악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28. 여하나 (2009). 음악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의 연구 동향분석(2003-2007).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염지숙 (2003). 교육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교육인류학연구, 2(3), 51-74. 

  30. 유덕희 (1983). 아동발달과 음악교육. 서울: 개문사. 

  31. 유수경, 황해익 (2007). '유아교육연구'에 나타난 질적 연구논문의 동향 분석. 유아교육연구, 27(2), 295-321. 

  32. 유애경 (1985). 유아의 음악환경과 음악능력 발달의 관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유은화 (2014). 유아의 음악적 태도와 정서지능간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윤현진 (2011). 오르프 음악 교수 방법을 활용한 음악 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백석대학교 음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음경미 (2014). 음악교육활동이 영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이경애 (2005). 통합적 유아음악교수법에 관한 문헌분석.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미현, 최혜순 (2014). 아버지 양육참여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1(7), 307-330. 

  38. 이수성 (2014). 그룹음악치료가 시설아동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 국악 및 세계 민속 음악 활동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이숙희 (1993). 5세 유아의 음악청취력 향상 프로그램개발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이영애 (2009). 유아음악교육의 연구동향 분석(국내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음악교육연구, 37, 193-214. 

  41. 이옥주, 류진순 (2008). 학습주기를 고려한 노래 부르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연구, 4(1), 85-103. 

  42. 이은해, 이미리, 박소연 (2006). 아동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학지사. 

  43. 이인원, 김숙자 (2006). 음악과 수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과 수학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1(2), 305-329, 

  44. 이정아 (2013). 국내학술지의 음악교육 연구동향 분석. 2006-2012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이현주 (1992). 유아가창교육관련 한국 석.박사 학위 논문에 대한 연구(분석 및 체계적 종합).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이홍수 (1990). 음악교육의 현대적 접근.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47. 임부연 (2015. 7). 한국영유아교육의 현안과 대안-미학과 유아인성교육. 2015년 한국 열린유아교육 학회 춘계학술대회 기조강연 주제발표논문 2, 대구. 

  48. 장혜원 (2009). 음악활동에서 관찰된 유아의 사회성 평가를 위한 측정도구 개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9. 정수연 (2009). 전통태교를 통해본 현대태교 실천연구.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장은주 (2007).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1. 정성유 (2004). 통합적인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정유진 (2010). 다문화음악교육의 국내연구동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정애경, 이윤경 (2011). 유아전통음악교육이 유아의 음악적 태도 변화와 리듬감 발달에 미치는 영향. 兒童學會誌, 25(3), 115-126. 

  54. 정재은, 석문주 (2014). '음악교육연구'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음악교육연구의 동향. 음악교육연구, 43(1), 165-188. 

  55. 정희영, 방승미, 유희진 (2012). 유아 인성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유아교육연구, 32(5), 277-296. 

  56. 차은진 (2013). 동화를 중심으로 한 노래극 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 최혜순 (2014). 유아사회교육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9(6), 195-223. 

  58. 유아교육백서 (2003). 한국유아교육학회 1995년-2000년. 서울: 양서원 

  59. 한태숙, 김 연, 황혜정 (2005). 유아교육연구의 연구동향 분석:1994-2004. 유아교육연구, 25(3), 219-238. 

  60. 황성숙 (2004). 유아의 언어발달을 촉진하는 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1. 황지애 (2008). 생태유아교육 연구동향 분석.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2. Best, J., & Khan, J. (1989). Research in Educa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63. Scott-Kassner, C. (1992). Research on music in early children. In R. Colwell (Ed.), In Handbook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pp. 633-650). NY: Schirmer Books. 

  64. Chen, Y. Y. (2000). The self-perceptions of inservice and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in Kaohsiung and Pingtung regions concerning the usefulness of the music content of their teacher training program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ennsylvania, USA. 

  65.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A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NY: Basic Books. 

  66. Gordon, E. E. (1990). Music Learning Theory for Newborn Young Children, Chicago: GIA. 

  67. Gordon, E. E. (1986). Guiding your child's musical development. Chicago: GIA. 

  68. Greenberg, M. (1985). Your children need music, 幼兒音樂敎育(이기숙, 김영주 공편). 서울: 교문사 (원판 1979). 

  69. Krough (1990). The integrated early childhood curriculum. NY: McGraw-Hill. 

  70. Levinowitz, L. M. (1998). The importance of music in early childhood. General Music Today, 12(1), 4-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