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전통색채와 디지털 전사 날염 색채 비교연구 -한국전통표준색명의 적색계를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y on Colors Between Korean Traditional Color and Digital Transfer Textile Printing -Focusing on The Red-Series of Korean Traditional Standard colors- 원문보기

패션비즈니스 = Fashion business, v.20 no.1, 2016년, pp.98 - 114  

박서린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김종준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between Korean traditional color and digital transfer textile printing. This would help to find the new direction to apply Korean traditional colors to modern textile industr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igitalize Korean traditional colors to b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디지털 전사 날염의 색채 값은 한국 전통표준의 먼셀 값과 비교했을 때 목표로 하는 색상과 달리 채도가 낮아지고 명도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정한 조건으로 디지털 전사 날염을 실시한 다양한 색상의 직물시료에 대해 측색을 하고 색상의 변화를 객관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 한국 전통색채란 한국인의 사상, 의식, 기호 및 의식주를 반영하는 한국문화의 색채 감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전통색채를 현대화된 직물 산업에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현대의 디지털 전사 날염에 적용할 수 있는 색채 비교 연구를 하고자 한다. 디지털 전사 날염의 경우 그래픽 프로그램을 이용한 디자인을 프린트하여 전사지에 인쇄 후 직물에 열전사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을 생산할 수 있으며, 수요에 대한 대응이 단시간에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Hwang, & Jun, 1996).
  • 선행 연구의 색상 시료를 살펴보면 Cho(2015)의 연구에서는 C(Cyan), M(Magenta), Y(Yellow), K(Black), LM(Light Magenta), LC(Light Cyan) 6색과 CMYK 4색 잉크를 비교하였고, Cho(2010)의 연구에서는 C(Cyan), M(Magenta), Y(Yellow), K(Black), LM(Light Magenta), LC(Light Cyan) 6색을 전사 온도와 시간의 변화에 중점을 두고 연구하였는데, 선행 연구에서 보이는 6색이나 4색의 기본 잉크색상 외에 다양한 색상 시료나 한국적인 색상을 표현하는 전사 날염 프린트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같은 폴리에스터 100% 시료를 사용한 Cho(2010)의 선행 연구를 반영하여 최적 조건으로 판단되는 180℃에서 50초간 전사 날염 후 측정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색상 면에서는 한국적인 다양한 색채를 디지털 전사 날염에 적용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 적색의 경우 청색과 더불어 고문헌에서 다양한 염색방법, 색명, 색상의 표현이 나타나고 있기에 한국인의 색채의식을 알아볼 수 있는 중요한 색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 음식, 회화, 도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나 있는 전통 색채명 중 직물과 실에서 나타난 한국적인 적색계통의 색상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컴퓨터 그래픽스 프로그램으로 제작된 색상파일을 6종의 100% 폴리에스터(Polyester) 직물과 폴리에스터 펠트(Polyester felt)를 선정하여 디지털 전사 날염을 했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색채를 디지털화하여 직물에 적용하는 데 의의를 두고자 하였고, 색상 적용이 빠른 디지털 전사 날염 직물의 색상에 대한 비교 연구를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한국 전통 색채는 1992년 국립현대미술관이 연구 발간한 『한국전통 표준색명 및 색상 2차 시안』을 바탕으로 중앙대학교와 문은배 색채 디자인연구소가 공동 개발한 디지털 색채 팔레트를 사용하였다.
  • 본 연구의 의의는 디지털 전사 날염의 색채구현에서 색상의 값의 변화와 명도 채도의 변화에 주목하여 제품에 적용될 디자인의 색채 보완과 정확한 색을 프린팅 할 수 있는 전사 날염 작업에 도움이 될 것이다. 색채 측정 방법에 대한 방법론적인 면에서는 DTP 직물의 색채측정과 디지털 팔레트는 활용한 디지털 프린트 직물의 색상 구현 문제점을 반영하여 차후 연구에 더 정확한 DTP 직물 색채측정과 일반화가 가능한 DTP 직물 색채연구 방식의 확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떻게 한국전통색명의 색상과 디지털 전사 날염으로 프린트한 원단의 색상을 측색하여 비교 분석하였나? 한국의 전통색상을 DTP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에 대한 필요성으로 한국전통색명의 색상과 디지털 전사 날염으로 프린트한 원단의 색상을 측색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디지털 팔레트의 적색계 21개의 색상을 그래픽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폴리에스터 직물 시료에 디지털 전사날염을 실시하였고, 날염한 원단별로 3회씩 측정하여 평균값과 기준이 되는 전통색명의 값을 먼셀과 CIE L*a*b*시스템으로 비교해 보았을 때 색상, 명도, 채도의 공통적인 변화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한국 전통색채란? 한국 전통색채란 한국인의 사상, 의식, 기호 및의식주를 반영하는 한국문화의 색채 감정이라고 할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전통색채를 현대화된 직물 산업에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현대의 디지털 전사 날염에 적용할 수 있는 색채 비교 연구를 하고자 한다.
디지털 전사 날염의 장점은? 본 연구는 한국 전통색채를 현대화된 직물 산업에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현대의 디지털 전사 날염에 적용할 수 있는 색채 비교 연구를 하고자 한다. 디지털 전사 날염의 경우 그래픽 프로그램을 이용한 디자인을 프린트하여 전사지에 인쇄 후 직물에 열전사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을 생산할 수 있으며, 수요에 대한 대응이 단시간에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Hwang, & Jun, 1996). 디지털 전사 날염의 경우 디지털 프린팅의 세계 시장에서 높은 가격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며, 폴리에스터 직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신기능 섬유소재의 개발에 대한 요구에 대처할 수있다(Cho,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ho, M. (2010). A study on optimal transfer conditions for sublimation transfer digital textile print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0(4), 59-67. 

  2. Cho, M. (2015). A color realization analysis of poly-satin fabric by digital transfer printing. Journal of Korea Digital Design Council, 15(3), 289-296. 

  3. Choi, K., & Kim, J. (2011). A study on the color functions of the textile design system based on CAD using image analysis method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5(4), 43-54. 

  4. Ewha Color Design Research Institute. (2002). 오색채운 전통색명 [The variegated colors iridescent cloud traditional color names]. Retrieved from http://www.culturecontent.com 

  5. Hwang, J. (2000). A study on sublimation transfer printing of silk fabric treated with polyurethane resin. Journal of Keimyung University, 18, 381-389. 

  6. Hwang, J., & Jun, B. (1996). Heat transfer printing technique. Journal of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8(3), 66-71. 

  7. Kim, S., & Choi, K. (2012). The study of the color reproducibility and the color fastness of nano inkjet DTP(digital textile printing).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6(2), 138-150. 

  8. Kim, S. (2004). Color naming structure of red-series and purple-series in the clothing of Joseon dynasty perio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9. Lee, J. (2011). Korean traditional colors. Seoul, Korea: Iljin Publishing Ltd. 

  10. Moon, E. (2002). 한국의 색 [The colors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designdb.com/zine/20020506_list.asp 

  11. Moon, E. (2012). Korean traditional color. Seoul, Korea: Ahn Graphics Publishing Ltd. 

  12. Park, S. (2015, July 23). The current state of DTP market and import model analysis. Fashion Journal. Retrieved from http://okfashion.co.kr 

  13. Park, S. Jeon, D. Park, Y. Lee, B., & Cho, H. (2011). Research on continuous after-treatment process and system for DTP(digital textile print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5(5), 43-54. 

  14. Park, W. (2007). Korean traditional red dyeing and characterization of its color properties by investigating old docum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15. Park, Y. (2007). Color. Seoul, Korea: Yearim Publishing Lt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