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생교육 실시에 따른 조리종사원의 손 위생 개선 효과
Effect of Foodservice Employee's Hand Hygiene Improvement according to Food Safety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2, 2016년, pp.284 - 292  

조현옥 (대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배현주 (대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업체 급식소 조리종사원을 대상으로 위생교육을 한 후 교육 효과를 평가하고자 위생 교육 전후에 조리종사원 손의 미생물 수준을 검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리종사원의 개인위생관리 실태 조사 결과 위생복 위생모 위생화는 전원 착용하였으나 위생화를 착용한 채 화장실을 가는 경우가 전체의 96%였다. 또한 조리종사원 손 씻기 방법은 비누 세척${\rightarrow}$헹굼${\rightarrow}$건조${\rightarrow}$소독을 하는 경우가 20%였고, 온수 사용은 32%, 일회용 종이수건으로 건조하는 경우는 36%였다. 손을 씻는 경우는 용변을 본 후(100%), 식사 후(76%), 일회용 장갑 착용 전(76%) 등이 많았고, 작업이 바뀔 때(24%)가 가장 낮았다. 그리고 조리작업 전 조리종사원 손의 미생물학적 위해분석 결과 일반세균수는 평균 5.53 log CFU/hand, 대장균군수는 평균 2.95 log CFU/hand, 황색포도상구균검출률은 10%였고, 조리작업 중의 조리종사원 손의 위해 분석 결과는 일반세균수가 평균 6.49 log CFU/hand, 대장균군수가 평균 3.92 log CFU/hand, 황색포도상구균의 검출률은 5%였다. 총 4회의 위생교육 후와 추후관리를 위한 미생물 검사 결과에서 위생교육 전에 비해 조리종사원 손의 미생물 검출량은 조리작업 전 일반세균수(P<0.01)와 대장균군수(P<0.001), 조리작업 중 일반세균수(P<0.001)와 대장균군수(P<0.001)가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황색포도상구균은 1회차 위생교육 시행 후부터 추후관리 검사 결과까지 조리작업 전과 조리작업 중에 조리종사원의 손에서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조리종사원의 손 위생 수준은 다양한 교육매체와 도구를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위생교육을 했을 때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sonal hygiene status of foodservice employees as well as microbiological counts of their hands according to food safety education. A survey was conducted for employees who worked at five foodservice facilities,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ses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업체 급식소 조리종사원을 대상으로 급식소 위생관리 수행과정에서의 문제점을 진단하고자 설문조사와 조리종사원 손의 미생물학적 위해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조리종사원을 대상으로 한 위생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한 후 위생교육 프로그램 시행에 따라 조리종사원 손의 미생물 수준이 어느 정도 변화되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위생교육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업체 급식소 조리종사원을 대상으로 급식소 위생관리 수행과정에서의 문제점을 진단하고자 설문조사와 조리종사원 손의 미생물학적 위해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조리종사원을 대상으로 한 위생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한 후 위생교육 프로그램 시행에 따라 조리종사원 손의 미생물 수준이 어느 정도 변화되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위생교육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 Salt Lake City, UT, USA)을 이용하여 올바른 손 씻기 방법에 대해 교육을 하였다. 조리종사원 손에 형광물질 함유 로션을 바르게 한 후 개인별로 평소에 손 씻는 방법으로 손을 씻게 한 다음 장파장 자외선 등(Glitterbug lamp, Brevis Co.)을 조사하여 손 세척 후에도 잔류해 있는 형광물질을 가시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올바른 손 세척 방법과 필요성을 인식시키고자 하였다. 그리고 3회차 위생교육은 살모넬라와 리스테리아의 발생현황 및 그 원인에 대해서 교육하면서 일반세균수를 측정할 수 있는 미생물 배지를 이용하여 교육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급식산업의 조리종사원의 손 위생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조리종사원의 손과 조리도구의 오염으로 인한 교차오염의 발생으로 급식소 조리음식 중 닭볶음탕, 잡채, 비빔밥, 콩나물무침 등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된 바 있으며(5), 식품을 다루는 종사원의 손 씻기가 부적절하게 수행될 경우 소규모의식품 취급시설에서도 식품 매개성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6). 특히 급식산업은 노동집약적인 산업으로 급식소의 조리종사원은 최종 급식되는 음식의 생산과 배식 전 과정에서 식품과 직접 접촉하므로 조리종사원의 식품 안전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위생적인 작업 수행과 함께 조리종사원의 손 위생관리는 급식위생관리 중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항목이다(6-10).
조리종사원의 개인위생관리 복장에는 무엇이 있는가? 사업체 급식소 조리종사원을 대상으로 위생교육을 한 후 교육 효과를 평가하고자 위생 교육 전후에 조리종사원 손의 미생물 수준을 검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리종사원의 개인위생관리 실태 조사 결과 위생복・위생모・위생화는 전원 착용하였으나 위생화를 착용한 채 화장실을 가는 경우가 전체의 96%였다. 또한 조리종사원 손 씻기 방법은 비누 세척→헹굼→건조→소독을 하는 경우가 20%였고, 온수 사용은 32%, 일회용 종이수건으로 건조하는 경우는 36%였다.
단체급식소에서 교차오염 사례에는 무엇이 있는가? 단체급식소의 경우 음식점에 비해 1회당 식사 인원이 많고 그에 따라 조리종사원수가 많으므로 조리종사원의 개인 위생 상태가 불량할 경우 교차오염 발생의 위험이 더욱 증가할 수 있으며, 다량 조리과정에서의 부적절한 온도-시간 관리 등은 대형 식중독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4,5). 조리종사원의 손과 조리도구의 오염으로 인한 교차오염의 발생으로 급식소 조리음식 중 닭볶음탕, 잡채, 비빔밥, 콩나물무침 등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된 바 있으며(5), 식품을 다루는 종사원의 손 씻기가 부적절하게 수행될 경우 소규모의식품 취급시설에서도 식품 매개성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6). 특히 급식산업은 노동집약적인 산업으로 급식소의 조리종사원은 최종 급식되는 음식의 생산과 배식 전 과정에서 식품과 직접 접촉하므로 조리종사원의 식품 안전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위생적인 작업 수행과 함께 조리종사원의 손 위생관리는 급식위생관리 중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항목이다(6-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ltekruse SF, Cohen ML, Swerdlow DL. 1997. Emerging foodborne diseases. Emerg Infect Dis 3: 285-293. 

  2. Bae HJ, Chun HJ. 2003.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cooking utensils and working areas of foodservice establishments and hygienic improvement by implementing HACCP system.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231-240. 

  3. Ministry of Food and Drugs Safety. 2015. Statistics of foodborne illness outbreaks. Available from: http://www.foodsafetykorea.go.kr/portal/healthyfoodlife/foodPoisoningStat.do?menu_no519&menu_grpMENU_GRP02 (accessed Oct 2015). 

  4. Bae HJ, Paik JE, Joo NM, Yoon JY. 2012. HACCP principles and applications for foodservice managers. Kyomunsa, Paju, Korea. p 27-38,85-86. 

  5. Bae HJ. 2006. Analysis of contamination of bacteria from raw materials, utensils and workers' hands to prepared foods in foodservice oper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655-660. 

  6. Allwood PB, Jenkins T, Paulus C, Johnson L, Hedberg CW. 2004. Hand washing compliance among retail food establishment workers in Minnesota. J Food Prot 67: 2825-2828. 

  7. Walker E, Pritchard C, Forsythe S. 2003. Food handlers' hygiene knowledge in small food business. Food Control 14: 339-343. 

  8. Chang HW, Bae HJ. 2010. Assessment of food sanitation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food service workers in school food service operations implementing HACCP.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781-790. 

  9. Park HJ, Bae HJ. 2006.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hazards of hygiene by the customers' hands in university foodservice oper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940-944. 

  10. Kang YJ. 2001. Handwashing, essential for safe food preparation; a technical review. J Korean Public Health Assoc 27: 269-276. 

  11. Lee YE. 2006.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sanitation training program at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n Chungbuk province. J Korean Diet Assoc 12: 69-81. 

  12. Hong WS, Yim JM, Choi YS. 2008. Sanitary performance and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Seoul. J Korean Diet Assoc 14: 382-395. 

  13. Kim GM, Lee SY. 2009. Analysis of the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 sanitary education (Seoul, Gyeonggi, Kangwon and Choongchung areas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14: 576-589. 

  14. Park SH, Jung HA, Bae HJ, Joo N. 2009. A study on differences of sanitation education and sanitation knowledge between dietitians in school foodservice and managers in commercial foodservice. Korean J Community Nutr 14: 306-315. 

  15. Kim DJ, Kim GJ. 2010. A study on moderating effect of sanitation education in relationship between sanitation knowledge and sanitation management performance of culinary employees. Korean J Culinary Res 16: 291-307. 

  16. Lee JY, Yon M, Lee YJ, Kim WJ. 2011. Culinary employees' sanitation management practice levels according to dietitians' sanitation training performance in the institutional foodservice industry in the Chungbuk province. Korean J Food Culture 26: 151-158. 

  17. Lim JH, Kim HA, Jung HY. 2013. A study on the hygiene practices of foodservice employees by hygiene education and work environment in the Gyeongnam area. J Korean Diet Assoc 19: 209-222. 

  18. Chung JK, Kim MJ, Kee HY, Choi MH, Seo JJ, Kim SH, Park JT, Kim MG, Kim E. 2008. Prevalence of food poisoning bacteria on hands in various age groups. J Fd Hyg Safety 23: 40-50. 

  19. Kim JB, Hur ES, Kang SH, Kim DH, Do YS, Park PH, Park YB, Yoon MH, Lee JB. 2012. Prevalence of microbiological hazard on nursery school children's hands and effect of hand washing education. J Fd Hyg Safety 27: 30-36. 

  20. Kim JK, Park JY, Kim JS. 2011. A comparison of microbial load on bare and gloved hands among food handlers. J Environ Health Sci 37: 298-305. 

  21. Lyu ES. 1999. Food sanitary procedures of employees in business and industry foodservice operations of Pusan and Kyung Na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942-947. 

  22. Kim JG. 2000. Evaluation of the management of sanitation in food service establishments in Korea and strategies for future improvement. J Fd Hyg Safety 15: 186-198. 

  23. Paulson DS. 1993. Evaluation of three microorganism recovery procedures used to determine handwash efficacy. Dairy Food Environ Sanit 13: 520-523. 

  24.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5. Korean food code. Available from: http://fse.foodnara.go.kr/residue/RS/jsp/menu_02_01_01.jsp (accessed Jul 2015). 

  25. Lee KE, Ryu K. 2004. Influences of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food safety training on food safety knowledge and practices. Korean J Community Nutr 9: 597-605. 

  26. Kye SH, Moon HK, Chung HR, Hwang SH, Kim WS. 1996. A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sanitary condition in Korean style-restaurant in Seoul city area (II) -Evaluation on sanitary management of cooking equipment and personal hygiene-. Korean J Dietary Culture 10: 1-10. 

  27.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4. Sanitation management manual for foodservice establishments in Korea. Available from: http://www.mfds.go.kr/fm/article/view.do?articleKey1412&searchTitleFlag1&boardKey19&menuKey153curentPageNo2 (accessed Oct 2015). 

  28. Ecodaily News. 2011. 1830 handwashing campaign in Seoul. Available from: http://ecolover.co.kr/detail.php?number14335&thread25r01 (accessed Oct 2015). 

  29. Longree K, Armbruster G. 1996. Quantity food sanitation. 5th ed. John Wiley and Son, Inc., New York, NY, USA. p 228. 

  30. Lee HY, Chang HW, Bae HJ. 2011.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bout sanitation management items performed by school food service workers. Korean J Food Cookery Sci 27: 21-31. 

  31. Kwak TK, Chang HJ, Ryu K, Kim SH. 1998. Effectiveness of 70% alcohol solution and hand washing methods on removing transient skin bacteria in foodservice operation. J Korean Diet Assoc 4: 235-244. 

  32. Bryan FL. 1996. Hazard analysis: the link between epidemiology and microbiology. J Food Prot 59: 102-1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