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비자의 경험적 가치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럭셔리브랜드의 키치제품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Experiential Value on Brand Equity - Focus on Kitsch Product of Luxury Brands -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6 no.2, 2016년, pp.45 - 60  

채희주 (연세대학교 언더우드 국제대학) ,  고전미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  고은주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 method to satisfy needs and emotions of consumers who pursue diversity, the use of Kitsch in the fashion industry has been increased. Previous studies on Kitsch fashion have focused on qualitative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Kitsch product, and little empirical researches have been cond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특성에 따른 키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경험적 가치의 차이를 알아보고, 키치제품에 대한 소비자 경험적 가치가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학술적으로 키치패션 연구에 있어서 제품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의 초석이 되며, 실무적으로는 향후 키치적 요소를 활용할 패션디자이너와 기업들의 마케팅 전략을 위한 참고자료로 사용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소비자특성에 따른 키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경험가치 차이를 분석하고, 키치제품에 대한 소비자 경험적 가치가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이에 대한 연구모형은 [Fig.
  • 기존의 키치 패션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컬렉션에서 나타난 키치화의 분석이나 키치 패션의 조형적 특성과 관련된 질적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는 최근 럭셔리 브랜드에서 제시한 키치 패션을 중심으로 키치패션에 대한 실질적인 소비자의 반응과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을 보는 정량적인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키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경험적 가치의 차이를 소비자 독특성과 의복관여도에 따른 집단별 차이를 알아보고, 키치제품에 대한 소비자 경험적 가치가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럭셔리브랜드의 키치제품의 대표적인 특성유형인 과장성, 유희성, 향수성에 대한 자극물을 선정하여 소비자경험가치(심미적, 유희적, 문화적)와 브랜드자산(브랜드인지도,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충성도)을 설문조사 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특성에 따른 키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경험적 가치의 차이를 알아보고, 키치제품에 대한 소비자 경험적 가치가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학술적으로 키치패션 연구에 있어서 제품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의 초석이 되며, 실무적으로는 향후 키치적 요소를 활용할 패션디자이너와 기업들의 마케팅 전략을 위한 참고자료로 사용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 키치제품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키치제품의 특성은 부조화성, 과장성, 유희성, 향수성, 쾌락성, 누적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Kim & Kim, 1999; Lee, 2006; Song & Cho, 2013; Seo & Yang, 2000). 본 연구에서는 키치패션의 조형적 특성으로 가장 많이 선행연구에서 언급된 중복된 과장성, 유희성, 향수성을 키치제품의 3가지 특성으로 정의하고, 3개 특성을 각각 대표하는 키치제품의 자극물을 선정하여 소비자경험가치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제품속성이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연구(Park, 2008)의하면, 제품이나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전체적인 판단과 태도는 제품의 기능적 특성과 유희적 특성 모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 연구문제 1. 소비자특성에 따른 키치제품에 대한 소비자 경험적 가치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 연구문제 2는 키치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경험적 가치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하여 AMOS 18.
  • 연구문제 2. 키치제품에 대한 소비자 경험적 가치가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1: 키치제품에 대한 소비자 경험적 가치 (심미적, 유희적, 문화적)는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2: 소비자 독특성에 따라 키치제품에 대한 소비자 경험적 가치(심미적, 유희적, 문화적)는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3: 의복관여도에 따라 키치제품에 대한 소비자 경험적 가치(심미적, 유희적, 문화적)는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4: 키치제품에 대한 소비자 경험적 가치 (심미적, 유희적, 문화적)는 브랜드인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5: 키치제품에 대한 소비자 경험적 가치 (심미적, 유희적, 문화적)는 브랜드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6: 키치제품에 대한 소비자 경험적 가치 (심미적, 유희적, 문화적)는 브랜드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키치제품이 경험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소비자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았다. Lee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키치의 사전적 정의는 무엇인가? 키치의 사전적 의미는 미학적으로 보기 괴상한 것, 저속한 사물을 뜻하거나 혹은 고급문화의 미적 기분을 부적절하게 모방한 대량생산된 예술이나 사물을 의미한다(Luicie-Smith, 1984). 이러한 부정적인 의미의 키치는 1900년대 산업혁명 이후 대량생산이 본격화되고 소비가 증가하면서 그 의미가 확장되었으며, 현대 사회에 이르러서는 대중적인 문화예술로서 그의미가 확장되어 예술의 한 부분으로까지 자리잡았다.
소비자들의 특색 있고 개성을 표출 할 수 있는 제품에 대한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방법으로 무엇이 있는가? 다양함이 요구되는 현재 패션시장에서는 대량생산에 의해 획일화된 제품 보다는 특색 있고 개성을 표출 할 수 있는 제품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요구와 감성 충족의 한 방법으로 키치(Kitsch)가 활용되고 있다.
국내에서 키치를 이용한 연예인의 예는? Kim, 2014). 국내에서는 지드래곤, 2NE1 등이 키치 룩을 주도하는 대표적인 아이콘으로 팝아트 그래픽 티셔츠, 거칠게 찢어진 디스트로이드 진, 원색 페이크 퍼 등을 선보였고, 앞서 2012년 전 세계에 강남스타일 열풍을 불러일으킨 싸이 또한 키치를 실현한 대중문화의 아이콘으로 볼 수 있다(H. Kim,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5)

  1. Aaker, D. A. (1991). Managing brand equity. New York, U.S.: The Free Press. 

  2. Aaker, D. A. (1996). Measuring brand equity across products and markets.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28(3), 102-120. 

  3. Ahn, E. S. (2006). A Study on Brand Uniqueness Index & Its Validity. Journal of Korean Design Forum, 14(1), 237-248. 

  4. Ahn, J. A. (200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Factors of Consumer Based Brand Equity.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7(5), 279-310. 

  5. Beak, J. H. & Kan, M. J. (2015). Study on the Utilization for the Identity Design in Fashion Br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5(5), 88-102. 

  6. Calinescu, M. (1994). Five Faces of Modernity: Modernism, Avant-Garde, Decadence, Kitsch, Postmodernism (Y. W. Lee Trands). Seoul, Republic of Korea: Vision and Language. (Original work published in 1987) 

  7. Choo, M. A. & Kim, S. H. (2010). The Influence of customers' uniqueness needs for self-expression and its effect on their purchase intention: Moderating effect of innovativeness. Dong-a University Business Research, 31(1), 73-93. 

  8. Cobb-Walgren, C. J., Ruble, C. A., & Donthu, N. (1995). Brand Equity,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 Journal of Advertising, 24(3), 25-40. 

  9. Fiore, A. M., Yah, X., & Yoh, E. (2000). Effects of a Product Display and Environmental Fragrancing on Approach Responses and Pleasurable Experiences. Psychology & Marketing, 17(1), 27-54. 

  10. Gim, W. S. & Ryu, Y. (2003). Korean version of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4(1), 79-101. 

  11. Gim, W. S. & Kim, Y. J. (2005).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and Consumption: Interactions with purchase purpose and style of product.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6(2), 79-101. 

  12. Greenberge, C. (1987). Avantgarde and Kitsch. 'Contemporary Art Criticism 30'. Seoul, Republic of Korea: Jungangilbo. 

  13. Holbrook, M. B. (1994). The Nature of Customer Value: An Axiology of Services in the Consumption Experience. Service Quality: New Directions in Theory and Practice, Roland T. Rust and Richard L. Oliver, (Eds.), Newbury Park, CA: Sage. 

  14. Hwang, J. S. (2002). The Effect of Clothing Involvement on the Perceived Risk in Internet Shopping and Store Selection Criteria.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0(12), 49-61. 

  15. Hwang, S. H., Oh, J. C., & Yoon, S. J. (2012).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Shopping Values, Brand Equity, and Store Loyalty of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Asia Marketing Journal, 14(2), 209-237. 

  16. Im, H. B. & Ko, H. Z. (2011). FUN Fashion Design in the Emotional Consumption Er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1(5), 93-105. 

  17. Jang, B. J., Yoon, T. K., & Song, S. H. (2011). The Effect of Brand Value of Boutique Hotel on Brand Image, Brand Attitude, and Brand Loyalty.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4(2), 817-835. 

  18. Jeon, K. S. (2005). The Effect of Fashion Orientation and Consumer Needs for Uniqueness on Buying Intentions for Luxury Bran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2), 231-241. 

  19. Ji, S. K. (2010). The Impa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Brand Equity.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3(4), 2251-2269. 

  20. Jo, J. Y. (1999). Mass/Popular Culture and Kitsch. Journal of Contemporary Arts, 2, 207-245. 

  21. Jun, D., Choo, H., & Kim, H. (2010). A Study on the Clothing Involvement, Fashion Innovativeness, Impulsive Buying, and Brand Loyalty of 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3), 424-436. 

  22. Keller, K. L. (1993).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57(1), 1-22. 

  23. Kim, A. M. (2014, May 15). Why they are fanatical about Kitsch look. Heraldcorp. Retrived from http://news.heraldcorp.co/view.php?ud20140515000120&md2014518005139_BL. 

  24. Kim, H. C. (2014, August 12). 'Kitsch' considered as low class culture, now it became as a fashion trends. Metroseoul. Retrived from http://www.metroseoul.co.kr/news/newsview?newscd2014081200245. 

  25. Kim, H. J. (2009). The structural model of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vanity, the internet shopping value, and buying inten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26. Kim, H. J. (1995). A study of Kitsch in modern fas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27. Kim, H. Y. (2007). Policing the Border: Is Kitsch Still the Antagonist of Art?. The Journal of Art Theory & Practice, 5, 20-41. 

  28. Kim, I. S. & Kim, K. O. (1999). A Study on Kitsch in Modern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47, 143-159. 

  29. Kim, J. Y. (2008).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and Clothing Interest's Effects on Brand Consciousness, Brand Loyalty and Purchase Intention. Journal of the Korean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0(1), 125-134. 

  30. Kim, J. Y. & Ko, E. (2010). The Impact of Design Characteristics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Focus on Luxury Fashion Bran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2), 252-265. 

  31. Kim, J. W. (2014). The Shopping Experience Values at Department Stores and Their Effects on the Brand Asset and the Store Loyal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2), 151-162. 

  32. Kim, K. H., Ko, E., Graham, H., & Lee, N. (2008). Brand equity and purchase intention in fashion products: a cross-cultural study in Asia and Europe. Journal of Global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8(4),245-276. 

  33. Kim, K. H., Ko, E., Xu, B., & Han, Y. (2012). Increasing customer equity of luxury fashion brands through nurturing consumer attitud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5(10), 1495-1499. 

  34. Kim, K., Ko, E., Lee, M., Mattila, P., & Kim, K. H. (2014). Fashion collaboration effects on consumer response and customer equity in global luxury and SPA brand marketing.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24(3), 350-364. 

  35. Kim, S. J. (2008). The Influence of Online Experiential value on affect and Trust, and re-visit Intention.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10(1), 117-135. 

  36. Kim, S. J. (2001). The Socio-cultural Meanings on Kitsch in Consumption of Fashion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1(1), 145-162. 

  37. Kim, S. Y., Yoon, J. A., & Lee, Y. H. (2014). Kitsch Features Expressed in Contemporary Fashion Accesso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4(6), 102-119. 

  38. Ko, E., Chun, E., & Lee, S. (2011). Korean Beauty in a Global Cultural Context, Journal of Global Fashion Marketing, 2(4), 200-212. 

  39. Ko, E. & Jo, O. S. (2002). Internet Fashion Business: Environmental Analysi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Journal of Global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9(1), 203-219. 

  40. Ko, E., Kim, K. H., Kim, S. H., Li, G., Zou, P., & Zhang, H. (2009). The relationship among country of origin, brand equity and brand loyalty: comparison among USA, China and Korea. Journal of Global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9(1), 47-58. 

  41. Ko, E., Lee, S., & Whang, H. (2013). Authenticity in Traditional Cultural Marketing: Consumers'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Journal of Global Fashion Marketing, 4(2), 93-111. 

  42. Kim, S. R. & Yang, H. S. (2014). Study on the Formation of Brand by Cultural Values : Focused on the Building of Brand Equity. The Journal of Cultural Exchange, 3(2), 21-41. 

  43. Lee, H. K. (2009). Research on the Effect of Culture Marketing on Image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Formation of Brand Equity & Brand Loyal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44. Lee, H. S. (2013). Analysis of the 'Gangnam style' Music Video through the Concepts of Kitsch and Mem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11), 148-158. 

  45. Lee, J. H., You, J. J., & Lee, J. H. (2012). The Effect of Golf Product Consumer's Needs for Uniqueness and Emotional Consumption Value on Brand Identification and Purchase Intention. The Korea Journal of Sport Science, 21(6), 837-850. 

  46. Lee, Y. S. (2006). A Study of Kitsch Fashion Reflected in Korea Comedy Movi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6(5), 96-103. 

  47. Lucie-Smith, E. (1984). The Thames and Hudson Dictionary of Art Terms. London, U.K.: Thames & Hudson. 

  48. Mathwick, C., Malhotra, N., & Rigdon, E. (2001). Experiential value: conceptualization, measurement and application in the catalog and Internet shopping environment. Journal of Retailing, 77(1), 39-56. 

  49. Moles, A. A. (1977). Psychologie du Kitsch. L art du Bonheur. Paris: Denoel. 

  50. Na, H. S. & Jang, A. R. (2012). A Study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Kitsch in K-Pop Stars Fashion. Journal of Korea Design Knowledge, 24, 62-71. 

  51. Nedungad, P. (1990). Recall and Consumer Consideration Sets: Influencing Choice without Altering Brand Evaluation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7(3), 263-276. 

  52. Park, C. (2002, 11). A Study on Online Experiential Value Model in the Internet Shopping. Seoul, Republic Korea: Paper presented at Korea Distribution Association 2002. 

  53. Park, K. H. (2003). Study of Formative Beauty of Kitsch-fas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54. Park, K. Y., Yoo, S. Y., & Seo, J. W. (2013). The Effect of perceived quality on experiential value and satisfactio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5(7), 401-415. 

  55. Park, J. S. (2008). Effects of Product Attributes on User Experience in Interactive Systems. Journal of Digital Design, 8(2), 1-10. 

  56. Park, J. H. (2010). A Study on Art Marketing Trends to Improve Brand Awareness. Korea Science & Art Forum, 7, 65-75. 

  57. Park, J., Song, H., & Ko, E. (2011). The Effect of the Lifestyles of Social Networking Service Users on Luxury Brand Loyalty.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21(4), 182-192. 

  58. Seo, S. M. & Yang, S. H. (2000).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Design of Korean Kitsch Fashio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4(2), 1-17. 

  59. Song, S. J. & Hwang, J. S. (2007). The Effect of Online Word-of-mouth on Fashion Involvement and Internet Purchase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3), 410-419. 

  60. Song, M. K. & Cho, M. H. (2013). A Study of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in Kitsch Fashion: Focusing on K-Pop Idol Fash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Knit Design, 11(1), 27-42. 

  61. Tepper, K., Bearden, W. O., & Hunter, G. J. (2001).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8 (1), 50-66. 

  62. Won, D. H. & Lyu, H. C. (2012). Sensitivity Factors of Kitsch Expression in Food and Beverage Space: Focused on The Correlations with Characteristics of Kitsch and Design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1(5), 298-307. 

  63. Yoo, H. S. (2010). A Study on Culture Marketing in Fashion Industry.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3(3), 59-75. 

  64. Yoo, J. J. (2004). A Study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Kitsch in Modern Fashion Show Make-up: Centering on the collection in the latter half of 1990's to 2004.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5(2), 307-326. 

  65. Yuan, Y. H., & Wu, C. (2008). Relationships among Experiential Marketing, Experiential Value, and Customer Satisfaction.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 Research, 32(3), 387-4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