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웨덴 노인용 코하우징 주민의 공동활동 참여도와 생활만족도 시계열 차이 : 2001년도와 2010년도 비교
Differences of Participation in Common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in Swedish Senior Cohousing by Longitudinal Analyses : Focus on Differences Between the Years of 2001 and 2010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4 no.1, 2016년, pp.1 - 12  

최정신 (Major in Consumer & Housing Studie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조재순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participation in common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of Swedish senior cohousing residents between the years of 2001 and 2010 by conducting a longitudinal study. The same questionnaire were surveyed nationwide to 186 residents of 8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2001년과 2010년에 스웨덴 전역에서 동일한 질문지로 조사한 두 시점의 자료를 활용하여 스웨덴 노인용 코하우징 주민의 이주동기의 시계열적 차이를 분석한 선행연구(J. Choi, 2013b)의 후속연구로, 같은 데이터를 활용하여 두 시점의 공동활동 참여도와 생활만족도 차이를 분석해 변화를 찾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2001년표본은 JM주택회사에서 입주예정자와 함께 개발하여 분양한 시니어 코하우징 8개단지 186세대이며, 2010년 표본은 노인용 코하우징의 입주연령이 55세 이상에서 40세 이상으로 완화된 ‘+40 코하우징’ 4단지 127세대로, 연구대상은 총 12개단지 313가구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웨덴 전역의 노인용 코하우징 주민들을 대상으로 2001년과 2010년에 조사한 같은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주동기에 이어 노인용 코하우징 거주자의 두 시점의 공동생활활동 참여도와 생활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10년간의 시계열적 변화를 추적해 보고자 한다.
  • 이에 이 연구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노인용 코하우징이잘 정착, 운영되고 있다고 평가받고 있는 스웨덴 전역의 노인용 코하우징 주민을 대상으로 2001년과 2010년에 조사한 자료를 활용하여 스웨덴 노인용 코하우징 주민의 이주동기의 시계열적 차이를 분석한 연구(J. Choi, 2013b)의 후속연구로, 같은 데이터를 활용하여 노인용 코하우징 거주자의 두 시점의 공동생활활동 참여도와 생활만족도 차이를 분석하여 변화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코하우징이란 무엇인가? 코하우징(cohousing)은 산업사회이후 심화되는 개인주의 경향, 노인가구 증가, 독신가구 증가, 한부모 가족과 맞벌이 가족 증가, 기혼 여성의 시장경제 활동 참여 증가 등으로 인해 경험하게 되는 외로움과 소외감, 아동양육의 어려움, 가사노동부담, 일상생활시간 부족문제 등에 대한 해결책으로 개발된 생활공동체이다(Housing Study Group, 2000; D. U.
코하우징에 서의 생활의 두 가지 특징적 장점은 무엇인가? 최근 일본과 한국에도 소규모 사례가 생겨나고 있다. 코하우징에 서의 생활은 두 가지 특징적 장점이 있는데, 하나는 주민 들의 자발적인 공동활동 참여로 가족적인 분위기 속에서 이웃공동체의 지원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노동력 제공과 공동구매 등을 통해 생활비를 절약하는 실질적 지원이 된다는 점이다.
어떠한 이점 때문에 스칸디나비아에서는 건강하고 비교적 젊은 층의 노후세대들 사이에서 스스로 자치관리모델의 코하우징을 설립하여 이주하는 경향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가? 1987년 사회복지법(Ädel) 개정 이전에는 노인들이 일정한 연령에 도달하면 개인 건강상태와 요구에 관계없이 주거와 서비스가 패키지로 마련된 요양원(nursing home)에 입주하여 수동적으로 생활하던 방식이었으나, 관련법의 개정에 따라 본인이 희망하면 최대한 오래도록 자기 집에서 살 수 있는 권리를 보장받게 되었다. 이에 따라 실질적으로 노인들이 자기 집에 최대한 오랫동안 거주할 수 있도록 주택개선자금 보조, 가사보조원을 이용한 가사원조서비스, 지역간호사를 통한 재택의료서비스, 휠체어를 사용하는 노인들을 위한 급식서비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재택보호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이점 때문에 스칸디나비아에서는 건강하고 비교적 젊은 층의 노후세대들 사이에서 스스로 자치관리모델의 코하우징을 설립하여 이주하는 경향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ars, G. (2010). The welfare model provides a framework for Swedish housing policy. In D.U. Vestbro (Ed.), In Living together: Cohousing ideas and realities around the world. Division of urban and regional studies, royal institute of technology in collaboration with kollektivhus NU, 33-41. 

  2. Choi. J. S. (2003a). The design feature of self-work model senior cohousing projects in Denmark.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1(4),1-19. 

  3. Choi, J. S. (2003b). Moving motivation of senior cohousing inhabitants in scandinavian countries. Journal of the Korean Architectural Institute (Planning), 19(12), 129-138. 

  4. Choi, J. S. (2004). Evaluation of community planning and life of senior cohousing projects in northern european countries. European Planning Studies, 12(8), 1189-1216. 

  5. Choi, J. S. (2005). Comparative study of inhabitants' life satisfaction in senior cohousing communities between Sweden and Denmark.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6(6), 149-160. 

  6. Choi, J. S. (2013a). Why do people move to cohousing in Sweden?: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40 cohousing and the mixed-age cohousing? Architectural Research, 15(2). 77-86. 

  7. Choi, J. S. (2013b). Difference of motivation of move to Swedish senior cohousing by longitudinal analysis: Focus on differences between the years of 2001 and 2010.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1(3). 81-92. 

  8. Choi, J. S., & Cho, J. S. (2006).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in moving motiv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senior cohousing residents in scandinavia. Journal of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4(1), 117-128. 

  9. Choi, J. S. Cho, J. S., & Suh, K. S. (2014). Participation in common activities and satisfaction with common space: In a tentative framework of housing adjustment for swedish cohousing resident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5(4), 125-133. 

  10. Choi, J. S., & Paulsson, J. (2006).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scandinavian senior cohousing projects. Seoul, Korea: Jipmundang Publishing Co. 

  11. Choi, J. S., & Paulsson, J. (2011). Evaluation of common activity and life in Swedish cohousing unit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12(2), 133-146. 

  12. Choi, J. S., & Paulsson, J. (2015). Senior cohousing in scandinavia. Seoul Korea: Amunhaksa Publishing Co. 

  13. Durrett, C. (2009). The senior cohousing handbook: A community approach to independent living (2nd ed.). Gabriola Island, BC, Canada: New Society Publishers. 

  14. Egero, B. (2010). Cohousing: issues and challenges. In D.U. Vestbro (Ed.), In Living together: Cohousing ideas and realities around the world. Division of urban and regional studies, royal institute of technology in collaboration with kollektivhus NU, 11-20. 

  15. Glass, A. P. (2009). Aging in a community of mutual support: The emergence of an elder intentional cohousing community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Housing for the Elderly 23(4), 283-303. 

  16. Glass, A. P., & Vander Plaats, R. S. (2013). A conceptual model for aging better together intentionally. Journal of Aging Studies, 27, 428-442. 

  17. Hong, H. O., Rhee, K. H., Choi, J. S., Kim, D. Y., Cho, J. S., & Kyon, O. J. (2004). Where to live in later life. Yangpyung, Kyunggido, Seoul Korea: Jisicmadang. 

  18. Housing Study Group (2000), Cohousing in the world. Seoul Korea: Kyomunsa Publishing Co. 

  19. Im, G. & Baek, S. (2011). A study on residential mobility of baby boomers in Korea. Proceedings of 2011 Annual Conference of Korean Association for Housing Policy Studies, 1-10. 

  20. Kim, H., Lee, Y., & Yoon, H. (2010). The study on housing characteristics preferred by baby boomers after retirement: Focusing on apartment's residents of gangnam region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1(5), 83-92. 

  21. Koyabe, I. (1994).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e design of housing: A study of the Swedish collective hou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TH, Stockholm, Sweden. 

  22. Paulsson, J. (2007, Sep. 07) Housing environments for elderly people: Priorities in a scandinavian perspective. Paper presented for the seminar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South Korea. 

  23. Russell, L. (2000). Housing options for older people. London, England: Age Concern. 

  24. Sangregorio, I-L. (2000). Collaborative housing in Sweden. Centraltryckeriet, Boras, Sweden: The Swedish council for building Research. 

  25. Sangregorio, I-L. (2010). Collaborative housing from woman's perspective. In D.U. Vestbro (Ed.), In Living together: Cohousing ideas and realities around the world. Division of urban and regional studies, royal institute of technology in collaboration with kollektivhus NU, 114-123. 

  26. Toker, Z. (2010). New housing for new households: Comparing cohousing and new urbanist developments with women in mind. Journal of Architectural and Planning Research, 27(4), 325-339. 

  27. Vestbro, D. U. (2010). History of cohousing: Internationally and in Sweden. In D.U. Vestbro (Ed.), In Living together: Cohousing ideas and realities around the world. Division of urban and regional studies, Royal institute of technology in collaboration with kollektivhus NU, 42-55. 

  28. Williams, J. (2006). Designing neighborhoods for social interaction: The case of cohousing. Journal of Urban Design, 10(2), 195-227. 

  29. Williams, J. (2008). Predicting an American future for cohousing. Futures, 40, 268-286. 

  30. www.kollektivhus.nu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