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판 야식증후군 측정도구의 신뢰도, 타당도 및 문항반응이론에 의한 문항분석
Psychometric Properties and Item Evaluation of Korean Version of Night Eating Questionnaire (KNEQ)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6 no.1, 2016년, pp.109 - 117  

김범종 (서원대학교 경영학과) ,  김인자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  최희정 (건국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Night Eating Questionnaire (KNEQ) and test its psychometric properties and evaluate items according to item response theory. Methods: The 14-item NEQ as a measure of severity of the night eating syndrome was translated into Korean,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판 NEQ를 개발하기 위해 Allison 등이 개발한 NEQ 원도구를 Brislin [15]이 제시한 방법에 의해 한국 어로 번역한 후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고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을 적용하여 문항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문항분석을 실시한 주된 이유는 측정문항들이 야식증후군의 심각도가 낮은 상태를 측정하는 문항으로부터 심각도가 높은 상태를 측정하는 문항까지 고르게 구성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또한 야식증후군이 없는 대상자, 야식증후군이 심각하지 않은 대상자 및 심각한 대상자를 잘 변별할 수 있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서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야식증후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야식증후군(night eating syndrome)은 섭식장애의 유형 중 달리 명시된 급식 또는 섭식장애(Eating Disorder Not Otherwise Specified [EDNOS])에 속하는 질환으로서[1] 최근 들어 주목을 받고 있다. 야식증후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야식 행동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야식증후군은 현대사회에 만연되고 있는 수면 장애, 스트레스, 우울, 비만과 같은 건강관련 문제를 동반하고 있기 때문이다.
야식증후군을 정의하기 위해 기존의 주요 개념이었던 야식과도섭취와 오전 식욕부진 외에 어떤 특성들이 추가되었는가? 당시 야식증후군의 주요 특성으로 저녁식사 이후의 많은 양(하루 총 칼로리 섭취량의 25% 이상)을 섭취하는 야식과도섭취(evening hyperphagia), 오전식욕부진(morning anorexia), 수면장애(insomnia)가 제시되었고, 이후 1990년대부터 활발한 연구가 시작되면서 야식증후군을 정의하기 위한 핵심 특성이 구체화되었다[2]. 즉, 기존의 주요 개념이었던 야식과도섭취와 오전 식욕부진 외에 야간 수면 중 깨서 간식을 섭취하는 한밤중야식섭취 (nocturnal ingestion), 3개월 이상 증상의 지속 그리고 신경성폭식 증상이 아닌 야식섭취 등이 주요 특성으로 추가되었다. 이 외에도 여러 연구에서 다양한 정의가 적용되어 왔으나 2008년 개최된 International Night Eating Symposium에서 야식증후군의 진단기준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 졌다[12].
야식증후군은 무엇인가? 야식증후군(night eating syndrome)은 섭식장애의 유형 중 달리 명시된 급식 또는 섭식장애(Eating Disorder Not Otherwise Specified [EDNOS])에 속하는 질환으로서[1] 최근 들어 주목을 받고 있다. 야식증후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야식 행동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야식증후군은 현대사회에 만연되고 있는 수면 장애, 스트레스, 우울, 비만과 같은 건강관련 문제를 동반하고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Eating Disorders Victoria. Classifying eating disorders-DSM-5: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Internet]. Victoria, AU: Author; 2015 [cited 2015 July 30]. Available from: https://www.eatingdisorders.org.au/eating-disorders/what-is-an-eating-disorder/classifying-eating-disorders/dsm-5. 

  2. Birketvedt GS, Florholmen J, Sundsfjord J, Osterud B, Dinges D, Bilker W, et al. Behavioral and neuroendocrine characteristics of the night-eating syndrom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999;282(7):657-663. 

  3. Milano W, De Rosa M, Milano L, Capasso A. Night eating syndrome: An overview. The Journal of Pharmacy and Pharmacology. 2012;64(1):2-10. http://dx.doi.org/10.1111/j.2042-7158.2011.01353.x 

  4. Allison KC, Ahima RS, O'Reardon JP, Dinges DF, Sharma V, Cummings DE, et al. Neuroendocrine profiles associated with energy intake, sleep, and stress in the night eating syndrome.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2005;90(11):6214-6217. http://dx.doi.org/10.1210/jc.2005-1018 

  5. Howell MJ, Schenck CH, Crow SJ. A review of nighttime eating disorders. Sleep Medicine Reviews. 2009;13(1):23-34. http://dx.doi.org/10.1016/j.smrv.2008.07.005 

  6. de Zwaan M, Roerig DB, Crosby RD, Karaz S, Mitchell JE. Nighttime eating: A descriptive study.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2006;39(3):224-232. http://dx.doi.org/10.1002/eat.20246 

  7. Kim MH, Jeong ES, Kim EJ, Cho HK, Bae YJ, Choi MK. Night eating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in partial area of Chungnam.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2011;21(4):563-576. 

  8. Hong SH, Yeon JY, Bae YJ. Relationship among night eating and nutrient intakes status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2013;23(3):297-310. 

  9. Allison KC, Lundgren JD, Moore RH, O'Reardon JP, Stunkard AJ. Cognitive behavior therapy for night eating syndrome: A pilot study. American Journal of Psychotherapy. 2010;64(1):91-106. 

  10. Pawlow LA, O'Neil PM, Malcolm RJ. Night eating syndrome: Effects of brief relaxation training on stress, mood, hunger, and eating pattern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and Related Metabolic Disorders. 2003;27(8):970-978. http://dx.doi.org/10.1038/sj.ijo.0802320 

  11. Stunkard AJ, Grace WJ, Wolff HG. The night-eating syndrome; A pattern of food intake among certain obese patients.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955;19(1):78-86. 

  12. Vander Wal JS. Night eating syndrome: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Clinical Psychology Review. 2012;32(1):49-59. http://dx.doi.org/10.1016/j.cpr.2011.11.001 

  13. Allison KC, Lundgren JD, O'Reardon JP, Geliebter A, Gluck ME, Vinai P, et al. Proposed diagnostic criteria for night eating syndrom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2010;43(3):241-247. http://dx.doi.org/10.1002/eat.20693 

  14. Allison KC, Lundgren JD, O'Reardon JP, Martino NS, Sarwer DB, Wadden TA, et al. The Night Eating Questionnaire (NEQ): Psychometric properties of a measure of severity of the night eating syndrome. Eating Behaviors. 2008;9(1):62-72. http://dx.doi.org/10.1016/j.eatbeh.2007.03.007 

  15. Brislin RW. Back-translation for cross-cultural research.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1970;1(3):185-216. http://dx.doi.org/10.1177/135910457000100301 

  16. Kim I, Choi H, Kim B. Psychometric properties of Korean version of modified Leeds Sleep Evaluation Questionnaire (KMLSEQ).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14;17(1):10-17. 

  17. Cho MJ, Kim KH.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 (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3;32(3):381-399. 

  18. Cohen S. Laboratory for the study of stress, immunity and disease [Internet]. Pittsburgh, PA: Carnegie Mellon University; 2014 [cited 2015 July 30]. Available from: http://www.psy.cmu.edu/-scohen/. 

  19. Linacre JM. FACETS: Rasch measurement computer program. Chicago, IL: Winsteps.com; 2005. 

  20. Seong TJ.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item response theory. Paju: Kyoyookbook; 2009. 

  21. Ware JE, Jr., Gandek B. Methods for testing data quality, scaling assumptions, and reliability: The IQOLA project approach.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1998;51(11):945-952. http://dx.doi.org/10.1016/S0895-4356(98)00085-7 

  22. Wright B, Linacre JM. Reasonable mean-square fit values [Internet]. Chicago, IL: Institute for Objective Measurement; 2012 [cited 2014 August 14]. Available from: http://www.rasch.org/rmt/rmt83b.htm. 

  23. Linacre JM. Facets: Many-facet rasch measurement tutorials: WINSTEPS & fcets rasch software [Internet]. Beaverton, OR: Winsteps.com; 2012 [cited 2014 July 7]. Available from: http://www.winsteps.com/tutorials.htm. 

  24. Allison KC, Engel SG, Crosby RD, de Zwaan M, O'Reardon JP, Wonderlich SA, et al. Evaluation of diagnostic criteria for night eating syndrome using item response theory analysis. Eating Behaviors. 2008;9(4):398-407. http://dx.doi.org/10.1016/j.eatbeh.2008.04.004 

  25. Bond TG, Fox CM. Applying the rasch model: Fundamental measurement in the human sciences. 2nd ed.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7. 

  26. Lundgren JD, Allison KC, Vinai P, Gluck ME. Assessment instruments for night eating syndrome. In: Lundgren JD, Allison KC, Stunkard AJ, editors. Night eating syndrome: Research, assessment, and treatment. New York, NY: Guilford Press; 2012. p. 197-2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