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스타그램 이용자 성격이 브랜드 만족도와 충성도에 끼치는 영향
Effects of Instagram User Personality on Brand Satisfaction and Loyalt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6, 2016년, pp.450 - 461  

김혜빈 (이화여자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SNS의 이용에 관한 영향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이용자의 성격이 SNS 브랜드 만족도와 충성도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여러 가지 SNS 중 상대적으로 높은 이용률 증가를 보이는 인스타그램에 주목하고, 인스타그램 이용자 성격 요인 중 외향성, 호기심, 자존감 3개 요인을 외생변수로 정의하였다. 브랜드 만족도와 브랜드 충성도를 내생변수로 상정하고 성격 요인이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브랜드 만족도를 매개변수로 상정하였다. 인스타그램 이용 경험이 있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총 396부의 설문조사 결과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3개의 성격 요인 모두 브랜드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끼쳤으며 브랜드 충성도에는 외향성과 호기심만이 정(+)의 영향을 끼쳤다. 브랜드 만족도는 매개변수로 검증되었으며 브랜드 만족도와 충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성격 요인은 호기심인 것으로 밝혀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effects of user personality on the brand satisfaction and loyalty of SN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SNS usage. For that purpose, the study defined extraversion, curiosity, and self-esteem, three factors of Instagram user personality, as exogenous variables, fo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SNS 이용에 관한 다양한 영향요인 중 SNS 이용자의 “성격”에 주목한다. SNS 이용자의 특정한 성격 요인이 인스타그램 이용에 끼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SNS 브랜드의 지속적인 이용 원인에 대한 단초를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 특정 SNS에 만족하여 지속적으로 이용하게 하는 동인은 해당 SNS의 차별화된 특징에서만 발로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SNS 중 인스타그램으로 연구대상의 범위를 좁히고, 인스타그램의 지속적인 이용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에 관하여 탐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SNS 이용에 관한 다양한 영향요인 중 SNS 이용자의 “성격”에 주목한다.
  • 따라서 여러 가지 영향 요인을 외생변수로 설정하여 종합적인 영향요인을 검증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의 특징만을 살펴보았으나 SNS 이용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전술하였던 SNS의 특성, 이용 환경 등을 검증하여 종합적인 연구모형을 만들기를 제안한다.
  • 인스타그램 이용은 이용량(이용시간), 이용 양식(업데이트하는 콘텐츠 수, 반응하는 콘텐츠 수와 내용을 통해 살펴보는 적극성과 소극성) 그리고 인식(SNS 사용을 통해 느끼는 감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스타그램을 이용하면서 이용자가 느끼는 감정을 변수로 두고, 이용자가 인스타그램 서비스에 느낄수 있는 감정 중 브랜드 만족도와 충성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표는 ‘인스타그램 이용자 성격인 외향성, 호기심, 자존감이 브랜드 만족도와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끼치는지’, ‘외향성, 호기심, 자존감이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브랜드 만족도가 매개하는지’를 검증하는 데 있다.
  • 이러한 목표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 성격을 외생변수로, 인스타그램에 느끼는 감정(만족도와 충성도)을 내생변수로 설계하여 각 성격 요인이 인스타그램 브랜드 만족도와 충성도에 끼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인스타그램 이용자 성격을 도출하기 위하여 SNS 연구 및 기타 미디어 연구를 살펴보았다. 그 중 대체적으로 이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성격 요인으로 검증되었던 외향성, 자아존중감, 호기심의 3가지 요소를 상술한다.

가설 설정

  • • 인스타그램 브랜드 만족도는 인스타그램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끼친다.
  • 앞선 논의에 따르면 이용자의 외향성이 높을수록 SNS 이용이 활발하고 SNS 브랜드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생각을 가질 가능성이 높다. 선행연구의 내용을 근거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외향성이 인스타그램 이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가정한다.
  • 연구가설 1-1: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외향성이 높을수록 인스타그램 브랜드 만족도에 정(+) 의 영향을 끼칠 것이다.
  • 연구가설 1-2: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인스타그램 브랜드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끼칠 것이다.
  • 연구가설 1-3: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호기심이 많을수록 인스타그램 브랜드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끼칠 것이다.
  • 연구가설 2-1: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외향성이 높을수록 인스타그램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끼칠 것이다.
  • 연구가설 2-2: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인스타그램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끼칠 것이다.
  • 연구가설 2-3: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호기심이 많을수록 인스타그램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끼칠 것이다.
  • 연구가설 3-1: 이용자의 외향성이 높을수록 브랜드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끼치고, 브랜드 만족도가 높을수록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끼칠 것이다.
  • 연구가설 3-2: 이용자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브랜드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끼치고, 브랜드 만족도가 높을수록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끼칠 것이다.
  • 연구가설 3-3: 이용자의 호기심이 많을수록 브랜드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끼치고, 브랜드 만족도가 높을수록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끼칠 것이다.
  • 즉 기존의 논의를 살펴보면, 자아존중감은 SNS 이용에 부정적인 영향보다는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내용을 근거로 하여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자아존중감이 인스타그램 이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아존중감이란 무엇인가? 자아존중감(self-esteem)은 자신의 능력이나 가치 또는 중요성에 대해 스스로가 내리는 주관적 평가이다[7]. 개인의 자아존중감이 높다는 것은 자신의 내외면적인 모습을 수용하고 존중하는 것, 스스로를 가치 있는 인간으로 느끼는 것을 의미한다[8].
이용자가 SNS를 선택할 때 기능적인 속성뿐만 아니라 해당 서비스의 차별화된 특징이 강조되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SNS가 대중들에게 알려지고 이용이 활성화되기 시작한 2000년대 초반에는 과거 다른 웹 서비스와 차별화되는 SNS의 “인맥 형성” 기능만으로 많은 이용자에게 주목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다양한 SNS 브랜드가 존재하는 현재, SNS의 기본 기능인 사회적 관계 형성만으로는 이용자들에게 주목 받지 못 한다. SNS의 디자인과 구성은 상위 평준화된 상태이며 SNS의 기능적인 속성만으로 차별화를 이뤄내기 어려워졌다. 그렇기 때문에 이용자가 SNS를 선택할 때에는 기능적인 속성 뿐 아니라 해당 서비스의 차별화된 특징이 강조되어야 한다[1].
SNS는 어떠한 기능을 제공하는가?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는 사람과 사람 간의 사회적 관계망을 생성, 확산하고 강화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SNS 이용자는 이러한 기능을 통해 개인의 감정과 생각을 특정 다수 또는 불특정 다수에게 공유할 수 있고, 타자의 콘텐츠에 반응하여 상호 소통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하주용, 한영주, "SNS 브랜드개성, 자아동일시, 브랜드감정이 SNS 추천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7호, pp.389-402, 2015. 

  2. http://blog.instagram.com/post/129662501137/150922-400million 

  3. N. Lin, "Social networks and status attainment," Annual Review of Sociology, Vol.25, pp.467-487, 1999. 

  4. K. Lee and M. C. Ashton,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HEXACO personality inventory,"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Vol.39, No.2, pp.329-358, 2004. 

  5. P. T. Costa and R. R. McCrae, "Normal personality assessment in clinical practice: The NEO personality inventory,"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Vol.4, No.1, pp.5-13, 1992. 

  6. S. K. Choi, K. T. Kwak, and B. G. Lee, "The study of influential effects of mobile SNS attachment and communication traits to the offlin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 and the SNS interaction,"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Vol.29, No.1, pp.159-200, 2012. 

  7. T. Wilson, S. Lindsey, and T. Y. Schooler, "A model of dual attitudes," Psychological Review Vol.107, pp.101-126, 2000. 

  8. M. Rosenberg, C. Schooler, C. Schoenbach, and F. Rosenberg, "Global self-esteem and specific self-esteem: Different concepts, different outcom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60, No.1, pp.141-156, 1995. 

  9. H. Gangadharbatla, "Collective self-esteem, need to belong, and Internet self-efficacy as predictors of the iGeneration's attitudes toward social networking sites," Journal of Interactive Advertising, Vol.8, No.2, pp.5-15, 2008. 

  10. V. Barker, "Older adolescents' motivations for social network site use: The influence of gender, group identity, and collective self-esteem," Cyber Psychology & Behavior, Vol.12, No.2, pp.209-213, 2009. 

  11. T. B. Kashdan, P. Rose, and F. D. Fincham, "Curiosity and exploration: Facilitating positive subjective experiences and personal growth opportunitie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89, pp.291-305, 2004. 

  12. P. J. Su, "Mediated voyeurism on social networking sites: The possible social needs and potential motivations of the voyeurs on Facebook; Thesis," Rochester Institute of Technology, 2012. 

  13. A. S. Dick and K. Basu, "Customer loyalty: Toward an integrated conceptual framework,"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22, No.2, pp.99-113, 1994. 

  14. J. Jacoby and D. B. Kyner, "Brand loyalty vs. repeat purchasing behavi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9, pp.1-9, 1973. 

  15. C. Fornell, "A national customer satisfaction barometer: The swedish experience," Journal of Marketing, Vol.56, No.1, pp.6-21, 1992. 

  16. J. Heskett, T. Jones, G. Loveman, W. Sasser, and L. Schlesinger, "Putting the service profit chain to work," Harvard Business Review, Vol.72, No.2, pp.99-113, 1994. 

  17. 김경희, "인터넷 포털이미지가 장기지향성, 소비자 만족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8호, pp.333-340, 2009. 

  18. T. O. Jones and W. E. Sassers, "Why satisfied customers defect?," Harvard Business Review Vol.73, No.6, pp.88-99, 1995. 

  19. R. L. Oliver, "Whence customer loyalty?," Journal of Marketing, Vol.63, No.4, pp.78-93,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