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직 공무원과 행정직 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 비교
Comparison of Job Stress, Quality of Life Scal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Public Health Officials and General Administration Official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5 no.4, 2016년, pp.320 - 328  

현혜진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 간호학과) ,  신미진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 간호학과 대학원) ,  이현정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 간호학과 대학원.강릉시보건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job stress,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between public health officials and general administration officials. Methods: Subjects were 60 public health officials and 71 general administration officials in G-City in Korea. Data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G시의 보건직공무원과 행정직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삶의 질, 건강증진 행위를 비교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보건직공무원과 행정직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 건강증진행위, 삶의 질을 비교해 보고자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증진행위 그리고 삶의 질을 파악하였고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보건직공무원과 행정직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 삶의 질, 건강증진행위를 비교해 보고자 시행하였다. 보건직공무원과 행정직공무원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보건직공무원이 행정직공무원에 비해 직무 스트레스는 높은 반면, 삶의 질은 유의하게 낮았다.
  • 본 연구는 보건직공무원과 행정직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를 확인하고 보건직공무원과 행정직공무원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과의 연관성을 규명함으로써 공공보건 향상을 위한 공무원의 건강관리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직공무원과 행정직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증진행위, 삶의 질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공공보건 향상을 위한 공무원의 건강관리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지역사회의 보건직공무원의 건강관리가 선행되어야 주민의 건강증진 및 예방이라는 보건행정의 역할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해서 보건직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 증진행위, 삶의 질에 대하여 조사할 필요가 있다. 최근 더욱 급변하는 보건행정환경의 변화에 따른 지역사회 보건사업의 주체인 보건직공무원에 대한 최신 연구가 부족하므로 보건직공무원과 지방자치단체에 함께 소속된 가장 다수이며, 공무원의 대표 직렬인 행정직공무원 집단을 분류하고, 분류된 공무원 두 집단 간의 연구를 통하여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도한 스트레스는 어떤 역기능을 지녔는가? 적절한 수준의 스트레스는 조직의 활력과 긴장감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과도한 스트레스는 개인의 생활과 건강에도 악영향을 끼칠 뿐 만 아니라 조직구성원의 생산성과 작업동기를 저하시키는 등 역기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Kim & Ham, 2007)고 하였다. 따라서 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 관련 요인들에 대해 선행연구가 지속하여 진행되어 왔다(Hong, 2012; Kim, 2015; Kim, 2011; Kim & Ham, 2007; Kim & Lim, 2010; Park, K.
지역사회 보건사업의 중심주체인 보건직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는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는? 보건복지부(2011)도 늘어나는 보건의료 수요충족을 위해 보건소의 기능 및 업무는 80년대 8개, 90년대 23개에서 2000년대 77개 사업으로 비약적으로 확대되었고,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인적, 물적 인프라가 증가될 것이며, 보건사업의 수가 단기간에 급증하면서 정규직 공무원보다 비정규직 인력이 급격히 증가하고 사업수도 증가하였다. 따라서 지역사회 보건사업의 중심주체인 보건직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는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되며, Chang (2004)도 각 직업군에 대한 직무 스트레스 연구에서 직무 스트레스 점수가 가장 높게 나온 업종은 보건 및사회복지사업 종사자이다.
Chae(2013)의 연구에서 직무 스트레스 평균점수가 행정직공무원이 46.5점, 보건직공무원이 42.0점으로 나타났는데, 본 논문의 연구결과와 Chae(2013)의 연구결과가 차이를 보인 이유는? 0점으로 행정직공무원이 직무 스트레스가 더 높게 보고되어 본 연구결과와는 차이를 보였다. 이는 Chae (2013)의 연구대상자인 보건직공무원은 군단위의 보건의료원 종사자로 일반 보건소 근무 대상으로 한 본 연구와는 근무환경이 다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 방문간호사(Kim & Kim, 2011), 일반근로자(Kim, Hyun, & Yoo, 2015), 연구직근로자(Par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e, S. S., Lee, S. W,. Kim, J. W., & Lee, S. M. (2010). New approach to strengthening of local public health system 2010. 12. 1-258. Korean medical Association. 

  2. Chae, J. H. (2013). A study of Public official job stress affecting health behavior and mental status in rural area. Unpublished mater's thesis, Hallym University, Chuncheon. 

  3. Chang, S. J. (2004). Standardiz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job stress questionnaire. Occupational Safety & Health Research Institute. 

  4. Chang, S. J., Koh, S. B., Kang, D. M., Kim, S. A., Kang, M. G., Lee, C. G., et al. (2005).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al Medicine, 17(4), 297-317. 

  5. Ha, Y, M., & Choi, H. K. (2014). Relationships among self efficacy, social support,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correctional offic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3(3), 163-170. 

  6. Han, S. J. (2008). The Comparison study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a school nurse teacher and a woman teach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honju. 

  7. Hong, M. H. (2012). The effects of occupational stress on 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 in local government workers. Journal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2(3), 471-483. 

  8. Kim, E. J., & Lim, J. Y. (2010). A correlation study of job stress, drinking and smoking of local government staff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6(1), 61-694. 

  9. Kim, H. (2015). Job stress, coping type, and job satisfaction in firefight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4(4), 323-330. 

  10. Kim, H. G. (2010). The study on job stress in public health center workers. Unpublished ma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1. Kim, H., & Kim, H. L. (2011). A study on occupational satisfaction and stress of visiting nurses at district health centers in Chungnam provinc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2), 204-211. 

  12. Kim, J. H., Lee, E. H., Hyun, H. J., Gil, J. H., Kim, J. S., Park, Y. S., et al. (2009). A study of the affecting factors on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the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1(2), 143-148. 

  13. Kim, J. W., & Ham, S. G. (2007). An Analysis of job stressor in korean local civil serva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6(1), 131-161. 

  14. Kim, M. G. (2011).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ous stress and the quality of life of public officials in public health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15. Kim, S. (2009).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motional labor in public sector: Focused on street-level bureaucrats in the civil service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13(1), 51-70. 

  16. Kim, S. W., Jung, H. Y., Na, K. S., Lee, S. Y., Kim, S. G., Lee, A. R., et al. (2014).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warwick- edinburgh mental well-being scale. Korean Journal of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53(4), 237-245. 

  17. Kim, Y. Y., Hyun, H. S., & Yoo, J. H. (201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level,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for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4(4), 372-380. 

  18. Lee, C. Y., Park, S. A., Kim, B. I., Yang, K. H., Yu, J. S., & Jung, U. S., et al. (2007). Epidemiology and health promotion. Seoul: Sumunsa. 

  19. Lee, E. H., & So, A. Y. (2009). Comparison of health locus of control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between middle aged Koreans and Korean-americans.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INC 2009, Seoul, Korea.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39th Health Day Press release 1, Health Policy Bureau,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1. Nam, S. D. (2007). A study of job stress,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ng life style among the community health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6(1), 89-97. 

  22. Park, H. H., Ryu, S. Y., Kim, B. E., Chun, I. A., & Kim, M. G. (2013). The associated domains of job stress for the depression among local public officials.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8(9), 1373-1382. 

  23. Park, H. J., Kim, Y. Y., Park, K. H., Lee, S. W., & Yoo, J. H. (2014). Correlation between fatigue and quality of life caused by stress of researchers' work.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3(3), 171-179. 

  24. Park, K. G. (2008). A study on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local governments. Journal The Korea Local Administration Review, 22(2), 171-202. 

  25. Park, S. M. (2008). The study on job stress and presentism of public officials in public health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6. Stewart, S., Janmohamed, K., & Parkinson, J. (2008). WarwickEdinburgh Mental Well-bing Scale (WEMWBS) User Guide Version 1. Coventry, UK Warwick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Warwick. 

  27. Um, T. S., & Kim, H. S. (2013). Impacts o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n depression among local public servants. Journal Health and Social Science, 34, 135-158. 

  28. Walker, S. N., & Hill, D. M. (1996).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s Profile II.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from Web site: http://appl.unmc.edu/nursing/conweb/view._profile.cfm?levlfacstf&lev2fac&lev3facswalker&PubStat(none)&webpub. 

  29. Yun, J. Y. (2011). Effect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mental health status of shift and non-shift nurses on quality of 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30. Yun, M. R. (2010). Comparison of health related behaviors of health technology duty and general administration duty offic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