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과 간호근무환경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Job Stres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Nurses in a Regional General Hospital: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7 no.3, 2018년, pp.160 - 170  

장유민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박주영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alleviating nurses' job stress and support health promotion behaviors. Further, the study reviews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in relation to job stress and health promo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긍정심리자본과 간호근무환경에 대한 인식이 미치는 매개효과에 대하여 파악하여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하고 적극적인 건강증진행위를 실천함으로써 간호 서비스 질 향상에 뒷받침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지역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심리자본과 간호근무환경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지역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과 간호근무환경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적극적인 건강증진행위를 실천하기 위해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해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로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건강증진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긍정심리자본과 간호 근무환경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 스트레스가 발생하는 과정에서 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과 간호근무환경이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긍정심리자본과 간호근무환경을 통해서 건강증진행위가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예측변수인 직무 스트레스 보다는 매개변수인 긍정심리자본과 간호근무환경에 초점을 두고 지역 종합병원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시사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근무환경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개선 시에 나타날 수 있는 효과는? 즉, 물리적 환경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직원간의 상호작용, 조직이 체계를 유지하는 방식, 보수 이외의 근무조건, 간호사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든 환경을 총칭하는 것으로 물리적 환경과 인적 환경을 포함한다(Christmas, 2008). 이러한 간호근무환경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간호사가 해당 의료기관에 지속적으로 근무하는데 도움이 되며(Cho, Choi, Kim, Yoo, & Lee, 2011), 환자 안전 및 간호서비스의 질과 직결된다. 일부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이 좋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높아진다(Shin, 2014)고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의 결과를 볼 때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에서 간호근무환경에 대한 인식 또한 중요한 매개변인으로 작용될 수 있을 것이다.
건강증진행위란? 건강증진행위는 바람직한 생활양식을 형성하는 활동으로(Parsons, Pender, & Murdaugh, 2011), 질병에 놓인 환자뿐만 아니라 스트레스에 직면한 간호사들에게도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직종의 근로자들에 비해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 실천율은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Yeun, Kim, & Jeon, 2011),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높아질수록 자신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행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Lee, Tsai, Tsai, & Lee, 2011).
긍정심리자본이란? 한편, 긍정심리자본은 인간의 약점과 부정적인 측면 보다는 강점과 긍정적인 측면의 개발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개념이다(Seligman, 1998). 이러한 긍정심리자본은 간호사의 긍정적인 정서를 향상시킴으로써 간호업무 수행 시 직무 스트레스를 줄이고 신체적 ‧ 정신적 건강상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Chang, S. J., Koh, S. B., Kang, D. M., Kim, S. A., Kang, M. G., Lee, C. G., et al. (2005).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7(4), 297-317. 

  2. Cho, E. H., Choi, M. N., Kim, E. Y., Yoo, I. Y., & Lee, N. J. (2011).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 for Korea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3), 325-332. 

  3. Choi, J., & Park, S. (2012). Comparison of job stress, hardness, and burnout of nurses between advanced general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3), 251-259. 

  4. Choi, Y. J., & Sung, Y. H. (2013). Psychological well-being,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5), 589-598. 

  5. Christmas, K. (2008). How work environment impacts retention. Nursing Economics, 26(5), 316-318. 

  6. Han, K. S. (2014). A study o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tress of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Nambu University, Gwangju. 

  7. Hong, K. J., & Cho, S. (2017). Comparison of nursing workforce supply and employment in South Korea and other OECD countrie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14(2), 55-63. 

  8. Jeong, Y. H., Lee, C. S., Choe, H. N., & Park, J. Y. (2016). Emotional labor,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the regional general hospital.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1), 708-719. 

  9. Jeong, Y. J., Chae, K. S., No, Y. J., Park, M. M., Cho, E. Y., & Kim, H. J. (2013). Survey on the status of hospital nursing staff placement. Seoul: Hospital Nurse's Association. 

  10. Kim, I. S., Seo, R. B., Kim, B. N., & Min, A. R. (2015).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rganizational commitment, customer orientation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1(1), 10-19. 

  11. Kim, J. S., & Kim, C. J. (2016). Association of job stress with healthpromoting behaviors and health status in clinical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5(4), 311-319. 

  12. Kim, J. Y., & Lee, T. W. (2016). The influence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Research, 22(2), 109-117. 

  13. Kim, S. H. (2015). The effects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workplace bullying on nursing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14. Kim, T. W., Choi, K. M., & Kim, K. T. (2015). A mediating effect of happiness and stress to the influence of positive psychology capital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secondary school teachers.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1(4), 211-240. 

  15. Ko, J. K., Kwon, D. M., & Kang, Y. H. (2009).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related to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hospital radiological technologis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ical Technology, 32(4), 381-391. 

  16. Lake, E. T. (2002). Development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5(3), 176-188. 

  17. Lee, D. S., & Choi, Y. D. (2010). Study 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organizations. Korean Management Review, 39(1), 1-28. 

  18. Lee, E. H., Chang, S. J., Kim, H. O., Roh, J., Park, E. J., & Won, J. U. (2007).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of registered nurses in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9(2), 93-104. 

  19. Lee, J. Y., & Park, S. Y. (2014). Relationship between the practice environment of nursing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es in local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2), 145-153. 

  20. Lee, M. Y., & Kim, K. H. (2012). Influence of head nurse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staff nurse's psychological well-being, stress and somatization-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8(2), 166-175. 

  21. Lee, W. L., Tsai, S. H., Tsai, C. W., & Lee, C. Y. (2011). A study on work stress,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among district hospital nurses in Taiw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53(5), 377-383. 

  22. Luthans, F., & Youssef, C. M. (2007). Emerging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Journal of Management, 33, 321-349.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March 20). A study on the nurses' working environment and improvement. Retrieved July 17, 2018,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44262&page1 

  24. Moos, R. H. (1994). Work environment scale manual.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25. O'Brien-Pallas, L., Murphy, G. T., Shamian, J., Li, X., & Hayes, L. J. (2010). Impact and determinants of nurse turnover: A pan Canadian study.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8(8), 1073-1086. 

  26. Oh, S. J., Shin, S. H., Go, G. Y., & Pratibha, B. (2014). The effect of job stres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nurses: Mediating selection, optimization and compensation strateg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6(2), 149-158. 

  27. Park, B., Seo, S., & Lee, T. (2013). Structure of nurse labor market and determinants of hospital nurse staffing leve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1), 39-49. 

  28. Park, M. Y., Chang, Y. C., & Lee, K. H. (2015). A study on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employee engagement and career satisfaction: focused on the employee organization of hospital in Seoul area by multi-group analysis.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8(12), 3095-3130. 

  29. Parsons, M. A., Pender, N. J., & Murdaugh, C. (2011).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6th ed.). Pearson Education. 

  30. Seligman, M. (1998). Learned optimism: How to change your mind and your life. New York: Pocket Books. 

  31. Shin, Y. S. (2014). Effects of job stress, work environment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general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llym University, Chuncheon. 

  32. Snyder, C. R. (2002). Hope theory: Rainbows in the mind. Psychological Inquiry, 13(4), 249-275. 

  33. Vecchio, N., Scuffham, P. A., Hilton, M. F., & Whiteford, H. A. (2011). Work related injury in the nursing profession: An investigation of modifiable factor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7(5), 1067-1078. 

  34.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 (1987).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36(2), 76-81. 

  35. Yeun, E. J., Kim, H. J., & Jeon, M. S. (2011).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among hospital registered nursesmood states, resourcefulness, and health percep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2), 198-208. 

  36. Yu, J. I. (2015). Effects of nursing work environment, job stress and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in clinic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Chungbuk. 

  37. Yun, S. N., & Kim, J. H. (1998).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the women workers at the manufacturing industry: Based on the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8(2), 130-14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