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립생태원 캠퍼스 내에서 주요 습지로 자리잡은 국립생태원 건립 전의 논을 자연의 과정에 맡긴 습지, 물길을 내어 자발적 복원을 유도한 습지 그리고 생태적 원리에 바탕을 두고 복원 처리한 저수지, 즉 생태연못을 대상으로 식생의 정착과정을 모니터링하여 복원의 진행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경관변화 분석 결과, 국립생태원의 현존 습지는 주로 이전의 논에 기원하였고, 일부는 주거지와 산림에서 기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의 종 조성 변화에서 초기에는 경작식물이나 인간 간섭에 내성을 갖는 식물이 우세한 경향이었으나 복원이 진행됨에 따라 인간 간섭에 의해 제거되었던 식물들과 습지의 생태적 특성에 어울리는 식물들이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종 다양성과 외래종 출현 비율은 둘 다 복원 사업 진행 단계에서 가장 높았고, 복원 후와 복원 전 단계 순으로 이어져 외래종의 침입이 종 다양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연못에서 나타난 변화는 수변 완충용으로 도입한 식생의 성공적인 정착이 두드러져 향후 외부로부터 오는 환경영향을 완충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국립생태원에 성립한 습지식생의 변화는 묵논에서 일어나는 전형적인 천이 초기과정의 모습을 보여 성공적인 복원을 이루어내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최소한의 인위적 보조를 가한 생태연못에서도 복원의 과정은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생태적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완충식생대의 성공적인 정착은 의미있는 복원효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 완충식생대가 빈약한 구역에 대해서는 그 질을 개선하기 위한 적응관리대책이 요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restoration process of a few wetlands in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NIE). Wetlands were composed of the former rice paddies that passive restoration was led through only natural process and by creating waterway, and an ecological pond, a reservoir tha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모니터링은 복원 실행 후 설정된 목표와 목적의 달성도 확인 또는 복원 공법의 적용에 따른 예상치 못한 문제점 파악과 대응 방안을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향후 다른 장소에서 유사한 복원 사업을 시행할 때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Lee et al.
  • , 2011). 본 연구는 국립생태원 부지의 습지생태원 및 생태연못을 대상으로 사업 전, 사업 중 및 사업 후 식생의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습지 복원사업의 문제점 진단과 향후 관리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습지의 역할은 무엇인가? , 1996). 습지는 홍수조절, 오염조절, 토양안정화, 야생생물의 서식처, 레크리에이션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Admiraal et al., 1997; CERE, 1998; Cylinder et al.
목표에 의해 구분된 복원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가? , 1997). 훼손된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교란되기 전의 상태, 즉 본래 상태로 완전히 회복하고자 하는 복원 (restoration), 본래의 자연수준은 아니지만 그와 유사한 (그보다는 약간 덜한) 균형 있는 자연을 이루고자 하는 부분적 복원 (rehabilitation), 그리고 본래의 자연과 관계없이 기능적 안정을 이루고자 하는 기능적 복원 (reallocation or replacement) 이 있다 (Lee et al., 2011a).
람사협약에서 습지란 무엇인가? 습지의 개념은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으나 람사협약에 따르면, 습지는 “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영구적이든 일시적이든, 정수이든 유수이든, 담수, 기수 혹은 염수이든, 간조 시 수심 6 m를 넘지 않는 해수 지역을 포함하는 늪, 습원, 이탄지 또는 수체”로 규정되고 있다 (Ramsar Convention Secretariat, 2016). 반면에 Cowardin 체계는 수심 2 m까지를 습지의 한계로 보고 그 이상을 깊은 물 (deep water)로 구분하여 람사 협약에 의한 정의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dmiraal, AN, Morris, MJ, Brooks, TC, Olson, JW, Miller, MV (1997). Illinois Wetland Restoration and Creation Guide. Illinois Natural History Survey. Special Publication 19. A Division of the Illinois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2. An, JH, Lim, CH, Lim, YK, Nam KB, Lee, CS (2014). A review of restoration project evaluation and post management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the river. Journal of Restoration Ecology, 4(1), pp. 15-34. [Korean Literature] 

  3. Aronson, J, Floret C, Le Floc'h E, Ovalle C, Pontanier R (1993). Restoration and rehabilitation of degraded ecosystems in arid and semiarid regions. I. A view from the south. Restoration Ecology, 1, pp. 8-17. 

  4. Berger, JJ (1993). Ecological restoration and nonindigenous plant species: a review. Restoration Ecology, 1(2), pp. 74-82. 

  5. Bradshaw, AD (1993). Restoration ecology as a science. Restoration ecology, 1(2), pp. 71-73. 

  6. CERES (1998). ICEMAPS2: Interactive Natural Resources Query System.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http://icemaps.des.ucdavis.edu/scripts. 

  7. Cowardin, LM, Carter, V, Golet, FC, LaRoe, ET (1979). Classification of Wetland and Deepwater Habitats of the United States,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Fish and Wildlife Service Office of Biological Services. 

  8. Cylincer, PD, KM, Bogdan, EM, Davis, AI, Herson (1995). Wetlands Regulation: A Complete Guide to Federal and California Programs. Point Arena: Solano Press Books. Washington, DC. 

  9. Dobson, AP, Bradshaw, AD, Baker, AA (1997). Hopes for the future: restoration ecology and conservation biology. Science, 277 (5325), pp. 515-522. 

  10. Hong, SK, Lee, EJ, Kang, H, Kim, CH, Choung, HL, Ihm, BS, Kim, ES (2005). Restoration ecology and engineering: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habitats and ecotope. Life Science. [Korean Literature]. 

  11. Howe, EA, Harrington JA, Glass SB (2012). Introduction to Restoration Ecology. Island Press. 

  12. Lee, CB (1985). Daehan Plant Handbook. Hyangmoonsa, Seoul, pp. 213-214. [Korean Literature] 

  13. Lee, CS (2016). Role and task of restoration ecology in the changing environment. Trend and issues of study (Biology).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5, pp. 481-527. [Korean Literature] 

  14. Lee, CS, Cho, YC, Shin, HC, Kim, GS, Pi, JH (2010). Control of an invasive alien species, Ambrosia trifida with restoration by introducing willows as a typical riparian vegetation.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32(3), pp. 207-215. 

  15. Lee, CS, Jeong, YM, Kang, HS (2011a). Concept, direction and task of ecological restoration. Journal of restoration ecology, 2(1), pp. 59-71. [Korean Literature] 

  16. Lee, CS, Kim, GS, Pi, JH, Kim, SM (2011b). Ecological diagnosis and restoration plan of the National Ecological Institute(Ecoplex) construction area. Journal of Restoration Ecology, 2(1), pp. 79-89. [Korean Literature] 

  17. Lee, CS, You, YH (2001). Development and outlook of restoration ecology as an ecology for the future.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4, pp. 191-202. [Korean Literature] 

  18. Lee, CS, You, YH, Robinson, GR (2002). Secondary succession and natural habitat restoration in abandoned rice fields of central Korea. Restoration Ecology, 10(2), pp. 306-314. 

  19. Lee, SM, Cho, YC, Shin, HC, Oh, WS, Seol, ES, Park, SA, Lee, CS (2008). Successional Changes in Seed Banks in Abandoned Rice Fields in Gwangneung, Central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31, pp. 269-276. 

  20. Ju, EJ, Kim, JG (2009). The Analysis of Soil Seed Bank at Major Wetlands in Nakdong River Basin and Central Ko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2(5), pp. 77-91. [Korean Literature] 

  21. Kim, CH, Choi, YE, Kim, JW, Kim, HM, Myong, H, Lee, SI (2011). 3-year Change of Vegetation and Life Form at the Man-made Wetland in Sinpyeoncheon City.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5(1), pp. 57-64. 

  22. Kim, GG (2003). Wetland and Environment. Academy Co. Seoul. [Korean Literature] 

  23. Kim, GS, Lim, YK, An, JH, Lee, JS, Lee, CS (2014). Carbon budget in campu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7(3), pp. 167-175. [Korean Literature] 

  24. Kusler, J, Opheim, T (1996). Our National Wetland Heritage : A Protection Guide (2nd. ed.). An Environmental Law Institute Publication. 

  25. Mulamoottil, G, Warner, BG, McBean (ed.), EA (1996). Wetlands: Environmental Gradients, Boundaries, and Buffers. Lewis Publishers. 

  26. NIE (Planning Office for Construction of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2). Development of a program to estimate $CO_2$ budget in the whole operation proces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NIE, Gwacheon. [Korean Literature] 

  27.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1). The Restoration of Aquatic Ecosystems: Science, Technology, and Public Policy.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28. Park, SH (1995).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pp. 256-257. [Korean Literature] 

  29. Park, SH (2001).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Appendix). Ilchokak. Korea, 1995, pp. 51-59. [Korean Literature] 

  30. Ramsar Convention Secretariat (2016). An Introduction to the Convention on Wetlands. Ramsar Convention Secretariat, Gland, Switzerland. 

  31. SERI (Society for Ecological Restoration International Science & policy Working Group) (2004). The SER International Primer on Ecological Restoration. 

  32. Shannon, CE (2001). A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ACM SIGMOBILE Mobile Computing and Communications Review, 5(1), pp. 3-55. 

  33. United States Army Corps of Engineers (USACE) (1998). Recognizing Wetlands. US Army Corps of Engineers. 

  34.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USGS) (1999). Restoration, Creation, and Recovery of Wetlands : Wetland Functionsm Values, and Assessment, National Water Summary on Wetland Resource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Water Supply Paper 24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