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습지 복원을 위해 하나의 대조지소로 선정된 둠벙의 식생
Vegetation of Doombeong selected as a reference site for restoring wetland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9 no.2, 2017년, pp.193 - 201  

안지홍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명환경공학과) ,  임치홍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명환경공학과) ,  정성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명환경공학과) ,  이창석 (서울여자대학교 생명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습지가 크게 부족한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습지 복원에 요구되는 기초 생태 정보를 얻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온전한 둠벙을 유지하고 있는 충북 괴산 일원의 둠벙을 대상으로 습지 복원을 위한 기초생태정보를 수집하였다. 둠벙에 성립한 식생 중 인위적 간섭으로 성립한 식생을 제외하고 자연적으로 성립한 식생을 대상으로 식생의 수평적 분포를 종합하면, 수역에는 개구리밥군락, 마름군락, 가래군락, 보풀군락, 긴흑삼릉군락 및 송이고랭이군락, 수변에는 고마리군락, 골풀군락, 여뀌바늘군락, 환삼덩굴군락, 큰개여뀌군락, 물억새군락, 달뿌리풀-갈대군락 및 도루박이군락, 지하수위가 중간 정도인 관목식생대에는 찔레꽃군락, 조팝나무군락 및 갯버들군락, 지하수위가 높은 곳에 성립한 교목 및 아교목식생대에는 신나무군락과 버드나무군락이 성립하는 경향이었다. 수집한 식생정보에 기초하여 서열화한 결과, 수생식물 우점 식분, 습생대식물 우점 식분 및 수변식물 우점 식분으로 대별되는 경향이었다. 이러한 식분을 이루는 주요 식물군락의 생태적 위치와 종 조성을 생태연못을 조성하기 위한 대조생태정보로 제시하였다. 나아가 습지가 발휘하는 기능을 통해 그것의 중요성과 복원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basic ecological information required for wetland restoration in Korea where wetland is very deficient. To arrive at the objective, we collected the basic ecological information for wetland restoration in four Doombeongs located on Goesan of Chungcheongbuk-do (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습지가 크게 부족한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습지 복원에 요구되는 기초 생태 정보를 얻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러한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온전한 둠벙을 가지고 있는 충북 괴산 일원의 둠벙을 대상으로 습지 복원을 위한 기초생태정보를 수집하였다.

가설 설정

  • 이러한 식물군락은 단순한 군락으로서 우점종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초본식생대에는 고마리 군락, 골풀군락, 여뀌바늘군락, 환삼덩굴군락, 큰개여뀌군락, 물억새군락, 달뿌리풀-갈대군락 및 도루박이군락이 성립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들 군락도 수역에 도입할 식물군락과 마찬가지로 대체로 우점종 중심의 순 군락이거나 우점종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단순한 군락으로서 군락의 우점종을 주요 도입 식물로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습지는 무엇인가? 습지 (wetland)는 영구적 또는 계절적으로 습윤 상태를 유지하면서, 특별히 그 상태에 적응된 식생이 성립해 있는 곳을 말한다 (Cylinder et al., 1995).
둠벙은 어느곳에 있는가? 둠벙은 논의 일부로서 주로 지하수가 솟아 나오는 지역에 위치한다. 따라서 그 물을 벼가 자라는 곳으로 직접 흘려보내지 않고 가두어 수온을 조절하고 가뭄 시에는 관개수를 공급하여 논 경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공간이다.
람사협약의 제 2조 1항에서는 무엇을 습지로 고려하고 있는가? 람사협약의 제1조 1항에서는 자연적이든 인공적이든, 영구적이든 일시적이든, 정수이든 유수이든, 담수, 기수 혹은 염수이든, 간조 시 수심 6 m를 넘지 않는 해수 지역을 포함하는 늪, 습원, 이탄지 또는 수체를 습지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제2조 1항에서는 습지에 인접한 수변과 섬, 그리고 습지 내의 저수위 시 6 m를 초과하는 해양도 함께 습지로 고려하고 있다. 그밖에 양어장, 농경지, 연못, 관수 농경지, 저수지, 운하 등과 같은 곳은 인공습지 (human-made wetlands)로 분류하고 있다 (Mitsch and Gosselink,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Acreman, M, Holden, J (2013). How Wetlands Affect Floods. Wetlands 33, pp. 773-786. 

  2. Admiraal, AN, Morris, MJ, Brooks, TC, Olson, JW, Miller, MV (1997). Illinois Wetland Restoration and creation Guide. Illinois National History Survey. Special Publication 19. A Division of the Illinois Department of National Resources. 

  3. Amezaga, JM, Santamaria, L and Green AJ (2002). Biotic wetland connectivity-supporting a new approach for wetland policy. Acta oecologica, 23(3), pp. 213-222. 

  4. An, JH, Lim, CH, Lim, YK, Nam, KB and Lee, CS (2014). A review of restoration project evaluation and post management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the river. J. of Restoration Ecology, 4(1), pp. 15-34. [Korean Literature] 

  5. An, JH, Lim, CH, Lim, YK, Nam, KB, Jung, SH and Lee, CS (2016a). Passive restoration under progress in wetland of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J. of Wetlands Research, 18(4), pp. 465-473.[Korean Literature] 

  6. An, JH, Lim, CH, Lim, YK, Nam, KB, Pi, JH, Moon, JS and Lee, CS (2016b).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Model for Restoring a Vegetation Belt to Buffer Pollutant Discharge. J.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2(2), pp. 205-215.[Korean Literature] 

  7. Aronson, J, Floret, C, Floc'h, ELe, Ovalle, C and Pontanier, R (1993). Restoration and rehabilitation of degraded ecosystems in arid and semiarid regions. I. A view from the south. Restoration Ecology 1, pp. 8-17. 

  8. Berger, JJ (1993). Ecological restoration and nonindigenous plant species: a review. Restoration Ecology. 1(2), pp. 74-82. 

  9. Braun-Blanquet, J (1964). Pfanzensoziologie. 3. Aufl, Springer-Verlag, Wein. New York. pp. 865. 

  10. Clarkson, BR, Ausseil, AGE and Gerbeaux, P (2013). Wetland ecosystem services. Ecosystem services in New Zealand: conditions and trends. Manaaki Whenua Press, Lincoln, pp. 192-202. 

  11. Cohen, MJ, Creed, IF, Alexander, L, Basu NB, Calhoun AJ, Craft C, D'Amico, E, DeKeyser, E, Fowler L, Golden, HE and Jawitz, JWQ (2016). Do geographically isolated wetlands influence landscape function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3(8), pp. 19 

  12. Cowardin, LM, Carter, V, Golet, FC and LaRoe, ET (1979). Classification of Wetlands and Deepwater Habitats of the United States,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Fish and Wildlife Service Office of Biological Services. 

  13. Cylinder, PD, Bogdan, KM, David, EM and Herson AI (1995). Wetlands Regulation : A complete Guide to Federal and California Programs. Point Arena : Solano Press books. 

  14. Doll, BA, Grabow, GL, Hall, KR, Halley, J, Harman, WA, Jennings, GD and Wise, DE (2003). Stream Restoration: A Natural Channel Design Handbook. NC Stream Restoration Institute. NC State University. 

  15. Kang, SJ, Jo, GS and Choi, GY (2010). Museum of Alive Nature History Yongnup (High Moor) of Mt. Daeamsan in Korea, pp. 215-218. [Korean Literature] 

  16. Kim, JH, Chung, HY, Kim, SH and Kim, JG (2016). The influence of water characteristics on the aquatic insect and plant assemblage in small irrigation ponds in Civilian Control Zone, Korea, J. of Wetlands Research, 18(4), pp. 331-341. [Korean Literature] 

  17. Kim, SH, Kim, JH and Kim, JG (2011a). Classification of small irrigation ponds in western Civilian Control Zone in Korea, J. of Wetlands Research, 13(2), pp. 275-289. [Korean Literature] 

  18. Kim, SH, Kim, JH and Kim, JG (2011b). Water characteristics and similarity analysis of wetland plant communities in 4 types of small irrigation ponds in western Civilian Control Zone in Korea, J. of Wetlands Research, 13(3), pp. 581-591. 

  19. Kleinhenz, V, Schnitzler WH and Midmore, DJ (1996). Managing nitrogen fertilization for year-round vegetable production in paddy rice fields. Gartenbauwissenschaft, 61(1), pp. 25-32. 

  20. Korea National Arboretum (2015). A Report on Conservation Project of Forest Wetland: A Study Function and Criteria of Forest Wetland.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n Literature] 

  21. Kusler, J and Opheim, T (1996). Our National Wetland Heritage : A Protection Guide (2nd. ed.). An Environmental Law Institute Publication. 

  22. Lee, CB (1985). Daehan Plant Handbook. Hyangmoonsa, Seoul, pp. 213-214. [Korean Literature] 

  23. Lee, CS, Hong, SG, Cho, HJ, and Oh, JM (1999). The Technology of Environment Restoration, Dong Hwa Publishing Co, Seoul, pp. 283. [Korean Literature] 

  24. Lee, CS and You, YH (2001). Development and outlook of restoration ecology as an ecology for the future. J. of Ecology and Environment, 24, pp. 191-202. [Korean Literature] 

  25. Lee, CS, Cho, YC, Shin, HC, Moon, JS, Lee, BC, Bae, YS, Byun, HG and Yi, H (2005). Ecological response of streams in Korea under different Management regimes. Water Engineering Research 6, pp. 131-147. 

  26. Lee, CS (2015). Role and task of restoration ecology in changing environment.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pp. 481-527. [Korean Literature] 

  27. McCune, B and Mefford, MJ (1999). PC-ord.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version 4.0. 

  28. Ministry of Environment (2013). Preparation of master plan for managing the National center for biodiversity. pp. 271. [Korean Literature] 

  29. Ministry of Environment (2016). http://www.me.go.kr. 

  30. Mitsch, WJ and Gosselink, JG (2000). Special Issue. The values of wetlands: Landscapes and institutional perspectives. The value of wetlands: importance of scale and landscape setting. Ecological Economics, 35, pp. 25-33. 

  31. Mulamoottil. G, Warner, BG and Mcbean EA (1996). Wetlands: Environmental Gradients, Boundaries, and Buffers, Lewis Publishers. 

  32.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1). The Restoration of Aquatic Ecosystems: Science, Technology, and Public Policy.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33. Novitzki, RP, Smith, RD and Fretwell, JD (1997). Restoration, Creation, and Recovery of Wetlands: Wetland Functions, Values, and Assessment. National Water Summary on Wetland Resource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Water Supply Paper 2425. 

  34. Park, SA, Kim, GS, Pee, JH, Oh, WS, Kim, HS and Lee, CS (2013). Reference information for realizing ecological restoration of river: A case study in the Bongseonsa stream, J.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36(4), pp. 235-243. 

  35. Park, SH (1995).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pp. 256-257. [Korean Literature] 

  36. Park, SH (2001).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Appendix). Ilchokak. Korea, 1995, pp. 51-59. [Korean Literature] 

  37. Pethick, J (2002). Estuarine and Tidal Wetland Restoration in the United Kingdom: Policy Versus Practice. Restoration Ecology, 10(3), pp. 431-437. 

  38. Ramsar Convention on Wetlands (Ramsar, Iran 1971) (2000). Frameworks for managing wetlands of International Importance and other wetlands, Handbook 8. 

  39. Ryang, HS, Kim, DS and Park, SH (2004). Weeds of Korea. LoBo-Media, Korea, 612-615. [Korean Literature] 

  40. SERI (Society for Ecological Restoration International Science & policy Working Group) (2004). The SER International Primer on Ecological Restoration. 

  41. Shutes, RBE (2001). Artificial wetlands and water quality improvement. Environment International 26, pp. 441-447. 

  42. Song, JS (1997). A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weed communities in the cultivated and abandoned fields of Korea. The Korean J. of Ecology. 20(3), pp. 191-200. [Korean Literature] 

  43. Spellberg, IF (1994). Evaluation and assessment for conservation: ecological guidelines for determining priorities for nature conservation (Vol. 4).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44. USGS (1999). Restoration, creation and Recovery of Wetlands Wetland Functions, Values, and Assessment, National Water Summary on Wetland Resource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Water Supply paper 2425. 

  45. Zedler, PH (2003). Vernal pools and the concept of "isolated wetlands". Wetlands, 23(3), pp. 597-6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