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추 밭 잡초 관리를 위한 제초제 체계 처리법 개발
Study for Sequential Application of Herbicide to Establish an Efficient Weed Control in Red Pepper Field 원문보기

Weed & Turfgrass Science, v.5 no.4, 2016년, pp.213 - 218  

민이기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  소윤섭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추 생산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잡초 방제를 위한 약제처리 체계와 약제 살포 방법을 시험한 결과 다음과 같이 제초제를 2회 체계 처리 방법이 효율적이었다. 1) 바랭이가 우점하는 포장에서는 잡초 발아 전 토양 처리제인 pendimethalin를 정식 후에 1차 처리하고 약 20~30일 후 바랭이가 3~5엽기일 때 화본과 선택성 제초제 fluazipfop-P-butyl EC와 pendimethalin EC를 혼용하여 2차 체계 처리를 하면, 2차로 비선택성 제초제 glufosinate-ammonium SL를 살포할 경우와 비교하여 약해의 우려 없이 80일간 효율적으로 잡초를 방제 할 수 있었다. 2) 화본과 잡초 외에 방동사니과와 광엽잡초들이 혼재되어 있을 경우에는 비선택성 제초제 glufosinate-ammonium SL과 토양 처리제 pendimethalin EC를 혼용해서 잡초 초장이 20 cm 정도 자랐을 때 1차 처리하고, 30일 후 다시 잡초가 재생하여 20 cm 이하로 자랐을 때 glufosinate-ammonium SL을 2차로 체계 처리하는 것이 효율적이었다. 3) 비선택성 제초제 glufosinate-ammonium SL의 휴간 처리 시 약액의 비산에 의한 고추 약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고추 초장이 18 cm 정도로 낮을 경우(정식 20일 후) 약제살포 노즐의 높이를 15 cm 이하로 하여 살포하면 약해는 거의 없었다. 정식 후 40일경에는 고추 초장이 40 cm 이상인 경우 살포 높이를 30 cm 이하로 조절하여 처리하는 것이 약해 가능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imely application and the choice of herbicides are crucial for red pepper production since the yield is significantly reduced by weed occurrenc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provide efficient weed control methods in red-pepper fields. The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s: 1) in the field of preva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때 비선택성제초제 살포 약액의 비산에 의한 약해를 우려하여 비산 방지 캡이 부착된 살포기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종종 약해가 발생하고 있다. 그 원인으로는 고추의 생육(초장) 정도 및분무기 노즐의 살포 높이가 약해 발생의 중요한 요인이라 판단되어 적정 살포 높이를 구명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 이와 같이 밭에서 잡초를 제대로 방제하지 않으면 농작업이 곤란하고 수확량이 크게 감소되므로, 고추 밭에서도 경제적 방제 수준을 고려한 잡초방제 체계를 수립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시험은 현재 고추 등 밭 작물에 등록되어 농가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토양처리제초제 pendimethalin EC와 화본과 선택성 경엽 처리 제초제 fluazipfop-P-butyl EC, 밭 고랑(휴간)에 발생 잡초를 방제하기 의해 사용되는 비선택성제초제 glufosinate-ammoniumSL를 공시하여 고추 밭에서 효율적인 제초제 처리 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KCPA, 2015).
  • (1999)은 정식 후 6주 이상 제초한 경우에는 고추 수량이 완전 제초와 비슷하며 잡초와 작물의 경합 한계기는 고추 정식 후 2~6주 동안이라고 발표하였으나, 본 연구에서 정식 후 30일과 60일 2회손제초를 하여도 20일 후인 7월 말에 잡초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고추 생육 및 수확작업에 지장을 주었다. 최근 농가에서 흑색PE비닐 멀칭이 보편화되면서 정식 후 비선택성 제초제를 휴간에 빈번하게 주기적으로 처리하고 있어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약해없이 고추 수확이 시작되는 7월 말(80 DAT)까지 방제 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본시험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추를 분류하면? 우리나라에 중요한 작물인 고추는 최근에 다양한 기능성과 함께 소비 및 이용이 확대되고 있다. 조미료로 쓰이는 건고 추와 생식용으로 쓰이는 풋고추로 나누어져 있으며, 주로 건고추의 이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고추는 1975년 이래 채소류 중 가장 넓은 재배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농촌의 노동력 부족과 힘든 노동을 회피하는 등의 이유로 고추 재배면적이 2000년 75,000 ha에서 2015년 34,514 ha로 급감하고 있다(MAFRA, 2016; Statistics Korea, 2016).
화본과 잡초 외에 방동사니과와 광엽잡초들이 혼재되어 있을 경우 잡초 방제를 위한 약제처리방법은? 2) 화본과 잡초 외에 방동사니과와 광엽잡초들이 혼재되어 있을 경우에는 비선택성 제초제 glufosinate-ammoniumSL과 토양 처리제 pendimethalin EC를 혼용해서 잡초 초장이 20 cm 정도 자랐을 때 1차 처리하고, 30일 후 다시 잡초가 재생하여 20 cm 이하로 자랐을 때 glufosinate-ammoniumSL을 2차로 체계 처리하는 것이 효율적이었다.
고추의 재배면적 추이는? 조미료로 쓰이는 건고 추와 생식용으로 쓰이는 풋고추로 나누어져 있으며, 주로 건고추의 이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고추는 1975년 이래 채소류 중 가장 넓은 재배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농촌의 노동력 부족과 힘든 노동을 회피하는 등의 이유로 고추 재배면적이 2000년 75,000 ha에서 2015년 34,514 ha로 급감하고 있다(MAFRA, 2016; Statistics Korea,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hang, Y.H., Kim, C.S. and Youn, K.B. 1990. Weed occurrence in upland crop fields of Korea. Kor. J. Weed Sci. 10(4):294-304. (In Korean) 

  2. Cho, J.L., Choi, H.S., Lee, Y., Lee, B.M., An, N.H., et al. 2011. Rate of ground cover and weed occurrence in pepper cultivation as affected by seedling of ground cover. Kor. J. Weed Sci. 31(4):355-359. (In Korean) 

  3. KCPA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2015. User's manual of crop protection product. Seoul, Korea. pp. 1070-1129. (In Korean) 

  4. Lee, I.Y., Oh, Y.J., Hong, S.H., Choi, J.K., Heo, S.J., et al. 2015. Weed flora diversity and composition on upland field of Korea. Weed Turf. Sci. 4(3):159-175. (In Korean) 

  5. MAFRA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6. Major statistics of agriculture and food. Sejong, Korea. pp. 308-309. (In Korean) 

  6. NIA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2002. Method of biological trials on crop protection products. Suwon, Korea. pp. 291-345. (In Korean) 

  7. Park, J.E., Lee, I.Y., Park, T.S., Lim, S.T., Moon, B.C., et al. 2003.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in upland field in Korea. Kor. J. Weed Sci. 23(3):277-284. (In Korean) 

  8. Pyon, J.Y., Piao, R.Z., Roh, S.W. and Lee, J.J. 1999. Effects of weed competition on growth and yield of red pepper. Kor. J. Weed Sci. 19(2):156-160. (In Korean) 

  9. Statistics Korea. 2016. Findings Survey on Rice and Red pepper cultivation area. Daejeon, Korea. pp. 1-3. (In Korea) 

  10. Won, J.G., Jang, K.S., Hwang, J.E., Kwon, O.H., Jeon, S.G., et al. 2011. Competitiveness and yield loss of red pepper by Densities of Echinochloa crus-galli (L.) P. Beauv. and Chenopodium album L. Kor. J. Weed Sci. 31(1):71-77. (In Korean) 

  11. Won, J.G., Jang, K.S., Hwang, J.E., Kwon, O.H., Kwon, T.Y., et al. 2012. Yield response of red pepper by densities of D. ciliaris and A. patulus in Eco-friendly cultivated field. Weed Turf. Sci. 1(4):38-43.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