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기방사법으로 제작한 In2O3 나노섬유 기반 고감도 실내독성 CO 및 HCHO 가스센서
Highly Sensitive Gas Sensors Based on Electrospun Indium Oxide Nanofibers for Indoor Toxic CO and HCHO Gases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29 no.12, 2016년, pp.803 - 808  

임동하 (한국세라믹기술원 나노융합소재센터) ,  황성환 (한국세라믹기술원 나노융합소재센터) ,  권세훈 (부산대학교 재료공학과) ,  정현성 (한국세라믹기술원 나노융합소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work, one dimension $In_2O_3$ nanostructures as detecting materials for indoor toxic gases were synthesized by an electrospinning process. The morphology of electrospun $In_2O_3$ nanofibers was controlled by electrolyte composition, applied voltage and working distanc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가스센서의 효과적인 트랜스듀서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보다 재현성 있는 페이스트 집적화를 가능하도록 한다. 본 논문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카본블랙만을 감지소재로 사용했을 경우 CO 및 HCHO 가스에 아무런 센싱 특성을 보여주지 않았다.
  • 본 연구에서는 CO 및 HCHO 실내독성 가스검출을 위한 In2O3 나노섬유 감지소재 기반의 가스센서를 제작하고 가스센싱 특성을 평가하였다. 감지소재인 In2O3 나노섬유는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고, 그 형상은 전해질 농도, 노즐과 기판 사이의 거리 및 전압에 의해 제어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반도체식 가스센서로 사용할 수 있는 감응물질에는 무엇이 있는가? 반도체식 가스센서로 사용할 수 있는 감응물질은 In2O3, TiO2, NiO, SnO2, ZnO 등이 있고 In2O3에 촉매를 첨가한 경우 좋은 응답특성을 나타내는 결과들도 보고되고 있다 [8-15]. 나노소재를 이용한 반도체식 가스센서는 벌크 소재 기반의 가스센서에 비교하여 매우 향상된 감도, 응답속도, 회복속도 등의 가스센서 특성을 보여준다 [16-18].
나노소재를 이용한 반도체식 가스센서의 특징은? 반도체식 가스센서로 사용할 수 있는 감응물질은 In2O3, TiO2, NiO, SnO2, ZnO 등이 있고 In2O3에 촉매를 첨가한 경우 좋은 응답특성을 나타내는 결과들도 보고되고 있다 [8-15]. 나노소재를 이용한 반도체식 가스센서는 벌크 소재 기반의 가스센서에 비교하여 매우 향상된 감도, 응답속도, 회복속도 등의 가스센서 특성을 보여준다 [16-18]. 감지소재로 나노소재의 적용은 벌크소재와 비교하여 보다 많은 비표면적과 상대적으로 큰 공핍층 변화 및 향상된 전기적 특성 등에 의해 향상된 가스센싱 특성을 나타낸다 [19-21].
나노소재를 사용한 소자제작의 한계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하지만 나노소재를 사용한 소자제작은 집적화의 어려움, 고가의 공정 및 신뢰성 부족 때문에 그 적용의 한계가 존재한다 [22,23]. 나노소재 기반의 페이스트 제조와 페이스트 프린팅 공정을 통한 가스센서 제작은 나노소재 적용 한계인 집적화, 공정의 경제성, 신뢰성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 dutta, N. Kaabbuathong, M. L. Grilli, E. D. Bartolomeo, and E. Traversa, J. Electrochemical. Soc., 150, H33 (2003). 

  2. Y. Zhang, M. Zhang, Z. Cai, M. Chen, and F. Cheng, Electrochim. Acta, 68, 172 (2012). [DOI: https:/doi.org/10.1016/j.electacta.2012.02.050] 

  3. M. Hammerle, E.A.H. Hall, N. Cade, and D. Hodgins, Biosens. Bioelectron., 11, 239 (1996). [DOI: https:/doi.org/10.1016/0956-5663(96)88410-7] 

  4. T. Hyodo, C. Ishibashi, K. Matsuo, K. Kaneyasu, and Y. Shimizu, Electrochim. Acta, 82, 19 (2012). [DOI: https:/doi.org/10.1016/j.electacta.2012.03.142] 

  5. G. F. Fine, L. M. Cavanagh, A. Afonja, and R. Binions, Sensors, 10, 5469 (2010). [DOI: https:/doi.org/10.3390/s100605469] 

  6. D. James, S. M. Scott, Z. Ali, and W. T. O'Hare, Microchim. Acta, 149, 1 (2005). [DOI: https:/doi.org/10.1007/s00604-004-0291-6] 

  7. Y. F. Sun, S. B. Liu, F. L. Meng, Y. J. Liu, Z. Jin, L. T. Kong, and J. H. Liu, Sensors, 12, 2610 (2012). [DOI: https:/doi.org/10.3390/s120302610] 

  8. V. D. Kapse, S. A. Ghosh, G. N. Chaudhari, F. C. Raghuwanshi, and D. D. Gulwade, Vacuum, 83, 346 (2009). [DOI: https:/doi.org/10.1016/j.vacuum.2008.05.027] 

  9. B. Karunagaran, P. Uthirakumar, S. J. Chung, S. Velumani, and E. K. Suh, Mater. Charact., 58, 680 (2007). [DOI: https:/doi.org/10.1016/j.matchar.2006.11.007] 

  10. J. A. Dirksen, K. Duval, and T. A. Ring, Sens. Actuators B Chem., 80, 106 (2001). [DOI: https:/doi.org/10.1016/S0925-4005(01)00898-X] 

  11. N. Barsan and U. Weimar, J. Phys. : Condens. Matter, 15, R813 (2003). [DOI: https:/doi.org/10.1088/0953-8984/15/20/201] 

  12. Q. Wan, Q. H. Li, Y. J. Chen, T. H. Wang, X. L. He, J. P. Li, and C. L. Lin, Appl. Phys. Lett., 84, 3654 (2004). [DOI: https:/doi.org/10.1063/1.1738932] 

  13. A. Prim, E. Pellicer, E. Rossinyol, F. Peiro, A. Cornet, and J. R. Morante, Adv. Funct. Mater., 17, 2957 (2007). [DOI: https:/doi.org/10.1002/adfm.200601072] 

  14. A. Gurlo, N. Barsan, M. Ivanovskaya, U. Weimar, and W. Gopel, Sens. Actuators B Chem., 47, 92 (1998). [DOI: https:/doi.org/10.1016/S0925-4005(98)00033-1] 

  15. W. Zheng, X. Lu, W. Wang, Z. Li, H. Zhang, Y. Wang, Z. Wang, and C. Wang, Sens. Actuators B Chem., 142, 61 (2009). [DOI: https:/doi.org/10.1016/j.snb.2009.07.031] 

  16. E. Comini, Anal. Chim. Acta, 568, 28 (2006). [DOI: https:/doi.org/10.1016/j.aca.2005.10.069] 

  17. E. Comini, G. Faglia, G. Sberveglieri, Z. W. Pan, and Z. L. Wang, Appl. Phys. Lett., 81, 1869 (2002). [DOI: https:/doi.org/10.1063/1.1504867] 

  18. Z. Y. Chu, H. X. Sun, H. Xu, J. Zhou, G. Zhou, Y. Xie, L. Li, and K. Y. Shi, RSC Adv., 5, 101760 (2015). [DOI: https:/doi.org/10.1039/C5RA17575E] 

  19. J. X. Wang, X. W. Sun, Y. Yang, H. Huang, Y. C. Lee, O. K. Tan, and L. Vayssieres, Nanotechnology, 17, 4995 (2006). [DOI: https:/doi.org/10.1088/0957-4484/17/19/037] 

  20. J. Y. Pakr, S. W. Choi, and S. S. Kim, Nanoscale Res. Lett., 5, 353 (2010). [DOI: https:/doi.org/10.1007/s11671-009-9487-3] 

  21. R. S. Devan, R. A. Patil, J. H. Lin, and Y. R. Ma, Adc. Funct. Mater., 22, 3326 (2013). [DOI: https:/doi.org/10.1002/adfm.201201008] 

  22. R. P. Sharma and P. K. Khanna, Fuel, 112, 550 (2013). [DOI: https:/doi.org/10.1016/j.fuel.2012.02.070] 

  23. A. A. Vasiliev, A. V. Pisliakov, A. V. Sokolov, N. N. Samotaev, S. A. Soloviev, K. Oblov, V. Guarnieri, L. Lorenzelli, J. Brunelli, A. Maglione, A. S. Lipilin, A. Mozalev, and A. V. Legin, Sens. Actuators B Chem., 224, 700 (2016). [DOI: https:/doi.org/10.1016/j.snb.2015.10.066] 

  24. D. H. Reneker and A. L. Yarin, Polymer, 49, 2387 (2008). [DOI: https:/doi.org/10.1016/j.polymer.2008.0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