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현장의 사고원인에 따른 내·외부 리스크 핵심 요인 분석
Analysis of Primary Internal and External Risk Factors According to the Accident Causes in Construction Site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16 no.6, 2016년, pp.519 - 527  

유영진 (School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University of Ulsan) ,  김태희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Mokpo National University) ,  손기영 (School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University of Ulsan) ,  이경훈 (National 119 Headquarters, Ministry of P ublic Safety and Security) ,  김지명 (Construction Science Department, Texas A&M University, College Station)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건설 기업들이 질적 성장을 필요로 하면서 리스크 분석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건설 현장의 정량적인 데이터를 활용하여 손해 범위로 리스크 분류를 진행하는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 현장의 사고원인에 따른 내 외부 리스크 핵심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A보험사에서 실제 12년간 발생된 사고 데이터를 329개 수집하였다. 우선 수집한 데이터를 토대로 내 외부 발생 위험도에 따른 사고 원인별 중요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RPN 기법을 수행하였다. 또한, 이러한 차이가 유의미한지를 분석하기 위해 T-test분석을 활용하여 내 외부 발생 위험도 간의 피해율 차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내 외부 발생 위험도 간의 차이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480억 미만의 건설 현장의 사고에서는 시공결함과 진동 소음 먼지가, 480억 이상의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의 현장에서는 호우, 태풍이 주요사고 원인으로 이에 대한 대처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건설 공사 현장에서 리스크 관리를 수행할 때, 내 외부에 따른 체계적인 리스크 식별 데이터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mand of construction risk analysis is rapidly increased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construction companies and the sound management of the construction project. However, estimating the amount and uncertainty of the risk is difficult due to the wide range of risks in the construction ind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외부 및 내부 발생 위험의 평균 차이가 유의미한지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통계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test 분석을 통해 입증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우선 본 연구에서 선정된 표본들의 정규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건설공사의 위험 관리 및 위험 정량화를 위해 건설현장의 사고원인에 따른 내· 외부 리스크 핵심 요인을 도출하고 내·외부 위험량을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따라서본 연구는 건설 현장 사고원인에 따른 내·외부 리스크 핵심요인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건설 공사의 내부 발생 위험과 외부 발생 위험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실제 건설공사의 손해액 데이터를 토대로 리스크 인자의 빈도와 강도 조합을 통하여 인자의 위험성을 평가하는 RPN 기법 및 통계적 분석을 위해 T-test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에 다음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 RPN 평가 방법을 활용하는 대부분의 연구는 사고 발생 빈도와 심도에 대한 결정을 설문 조사나 문헌 분석으로 이루고 있으며, 빈도와 심도를 척도로 나누어 구간으로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와는 달리 실제 사고 사례를 수집하여 경험적이고 정량적인 근거 자료를 토대로 사고원인별 리스크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ypothesis 1은 “480억원 미만의 건설프로젝트에서 내부 발생 위험도와 외부 발생 위험도의 피해율 평균차이는 유의미하다”를 의미하며, Hypothesis 2는 “480억원 이상의 건설프로젝트에서 내부 발생 위험도와 외부 발생 위험도의 피해율 평균차이는 유의미하다”를 나타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RPN 기법은 주로 어디에 사용되는가? RPN 기법은 건설 프로젝트의 정량적인 리스크 분석을 위해 주로 사용되며, 이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Kim[19]은 부동산 개발사업의 리스크 요인 분석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였으며, RPN기법으로 리스크 발생 빈도와 강도로 설명하였다.
건설 프로젝트가 타 산업에 비해 리스크 분석을 위한 불확실한 요소 추정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하지만 건설 프로젝트는 타 산업에 비해 복합적인 산업으로 리스크 범위가 넓어서 리스크 분석을 위한 불확실성 요소 추정이 어렵다[7]. 따라서 리스크를 분석하기에 앞서 리스크 분류체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RPN 기법으로 리스크 중요도를 산출할때 각 요소의 의미는 무엇인가? RPN 기법은 일반적으로 리스크를 평가하는 방법으로써리스크 인자에 대한 빈도와 심도를 파악하고 리스크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식(1)을 바탕으로 상대적인 리스크 중요도를 산출한다. 여기서, 리스크 빈도 (Risk Frequnecy)는 사고 발생 횟수를 뜻하며, 리스크 심도 (Risk Severity)는 사고 원인에 대한 심각성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고 발생에 따른 사고 원인 별 평균 피해액을 의미한다[18]. 또한, 리스크 빈도 및 심도, 두 변수의 상대적인 관계가 불균형하게 리스크 중요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동일한 조건인 0에서 1사이로 범위를 보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im CW, Go SS. A study on the key control elements for activating the construction industry.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16 Feb;18(1):241-8. 

  2. Kim MH, Lee HI, Choi SI.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struction market outlook and pending issues. 1st ed. Seoul: Construction & economy eesearch institute of korea; 2015. 120p. 

  3. Choi SJ, Lee KW, Han SH. Selection and Strategies of New Leading Businesses in International Construction Market.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12 May;13(2):25-36. 

  4. Lee JS, Ahn BJ, Kim JJ. Evaluating and suggesting sey risk factors according to risk hierarchy of occurrence field of occurrence field in the overseas development project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12 May; 13(2):70-9. 

  5. Kim JE, Kim YS. An Analysis of Profitability Study of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s using Multiple-Regression.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14 Mar; 15(2):95-103. 

  6. Kim CH, Kang LS, Park HT. Risk Level Assessment in the Preconstruction Phase of a Large Construction Projec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00 Sep;20 (5D):559-69. 

  7. Yoo WH, Hyun CT, Moon HS, Kim JH. Contractual Risk Evaluation Model for International Construction Projects using FIDIC Silver Book. Journal of the Achitetural Institute of Koarea Structure & Construction. 2011 Nov;27(11):159-68. 

  8. Kang IS, Kim CH, Kwok JM. Analysis for the Importance of Risk Factors through the Project Life Cycl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001 Aug;17(8):103-10. 

  9. Yoon YS, Suh SW. Park MS. Jang MH. Construciton process based schedule risk management system.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8 Aug;9(4):101-10. 

  10. Kim CH, Lee BH, Kang LS. Contingency Estimating through Risk Analysis of Construction Proje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999 Sep;813-23. 

  11. Ryu HG, Son KY, Kim JM, Loss Prediction Model for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Using Insurance Claim Payout.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2016 Jan;15(3):441-6. 

  12. Dariusz Skorupka, Identification and Initial Risk Assessment of Construction Projects in Poland. Journal of Management in Engineering. 2008 July;24(3):120-7. 

  13. Kuo YC, Lu ST, Using fuzzy multiple criteria decision making approach to enhance risk assessment for metropolitan construction proj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2003 May;31(4):602-14. 

  14. Daniel W.M. Chan, Albert P.C. Chan, Patrick T.I. Lam, John F.Y. Yeung b, Joseph H.L. Chan. Risk ranking and analysis in target cost contracts: Empirical evidence from the construction industry. Internation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2011 Aug;29(6):751-63. 

  15. Odeyinka HA. An evaluation of the use of insurance in managing construction risks. Construction Management and Economics. 2000 Oct;18(5):519-24. 

  16. Griffis FH, Christodoulou S. Construction Risk Analysis Tool for Determining Liquidated Damages Insurance Premiums: Case Study,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0 Dec;126(6):407-13. 

  17. Lee HY, Kim YT, Koo KJ, Hyun CT. An application of contractor's risk to the premium rate of CAR.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2003;4(1):122-30. 

  18. Kim HK. the assessment of risk factors to establish risk management system in local government. Korean Review of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2010 Mar;6(1):159-83. 

  19. Kim MH. A Study on the Method of the Risk Management in the Real Estate Development Project. Seoul: Construction &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2005 Dec. 57 p. 

  20. Osama AJ, Salman A. risk assessment in construciton. ASCE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3 Oct;129(5):492-500. 

  21. Mohamed A, Aminah RF. risk managemen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unsing combined fuzzy FMEA and fuzzy AHP. ASCE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10 Sep;136(9):1028-36. 

  22. Lee YM, Kim YS. A Study for Major Delay Risk Factors in Curtain Wall Work of High-rise Building using FMEA. Jou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011 Jan;27(1):189-96. 

  23. Yu YJ, Son KY, Kim JM. risk analysis according to construction insurance claim payout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16;16(3):22-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