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공사 위험 정량화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n the Qualitative Risk Assessment Model for Building Construction Sites Based on Claim Payouts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16 no.6, 2016년, pp.487 - 495  

유영진 (School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University of Ulsan) ,  손기영 (School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University of Ulsan) ,  김지명 (Construction Science Department, Texas A&M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보험통계포털에 따르면 건설 부문의 사고로 인한 손실액이 최근 10년 동안 크게 증가하였다. 이처럼 국내 건설 공사의 리스크 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가 매우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내재된 리스크 요인을 도출하고 분석해야하며, 불확실성을 다루기위한 통계학적인 기법이 요구된다. 하지만 건설 리스크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정성적이며 포괄적으로 진행되었으나, 신뢰성있는 리스크 분석을 위해서는 영향이 큰 리스크 인자에 집중하고 정량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사 현장에 집중된 리스크 요인을 수집하기 위해 A보험사의 건설 현장 사고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이를 토대로 피해율과 상관 관계있는 인자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목적인 건설 현장의 사고데이터를 활용한 적정 피해액 정량화 모델을 개발하고자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해서 데이터의 축적 및 효과검증을 통해 발전해 나갈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losses of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past decades. Therefore, the study of risk management measures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has become very important, and the inherent risk factors need to derive and analyze them based on the quantified m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 공사의 리스크 분석을 위해 건설 현장의 내재된 건설 공사 리스크 요인을 도출하고 위험 정량화 모델 개발을 목표로 한다[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토대로 리스크 인자를 수집하고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목적물 손해와 제 3자 손해를 보상한 A 보험사의 건설 현장 사고데이터를 토대로 종속변수인 피해액 및 총 공사금액을 수집하였다.
  • 이를 토대로 피해율과 상관 관계있는 인자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목적인 건설 현장의 사고데이터를 활용한 적정 피해액 정량화 모델을 개발하고자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해서 데이터의 축적 및 효과검증을 통해 발전해 나갈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본 연구는 A보험사의 데이터를 총공사금액에 따른 보상금 지급액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 및 상기 분석을 토대로 식(3)과 같은 회귀모형을 구축하였다.
  • 넷째, 최종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모델 개발을 수행하며, 정규성 검토 및 회귀모델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건설 공사의 특성에 따른 적정 피해 보상금 지급액을 분석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건설 공사의 리스크를 이해코자 한다.
  • 본 연구는 실질적인 건설공사의 손해액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정량적인 방법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Figure 1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환경에 맞는 건설 프로젝트의 보상금 지급액 예측모델 개발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서는 영향 인자 도출이 필요하다.
  • 둘째, 본 연구에서 사용하고 있는 274개의 데이터는 A보험사에서 12년간 수집된 자료의 표본으로 종속변수 및 독립변수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셋째, 피어슨상관분석을 토대로 분류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와의 상관관계 및 리스크 요인을 도출하고자 한다. 넷째, 최종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모델 개발을 수행하며, 정규성 검토 및 회귀모델 검증을 실시하였다.
  • 국내 건설 공사의 리스크 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가 매우 중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A보험사에서 12년간 발생한 건설 현장의 사고데이터를 토대로 피어슨상관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여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먼저, 선행 연구를 통해 리스크 인자를 자연재해, 현장조건, 시공사의 시공 방법 및 시공 능력, 프로젝트 규모로 선정하였으며, 피해율을 종속변수로 가변수 설정하여 정규성 검토를 수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 공사의 리스크 분석을 위해 건설 현장의 내재된 건설 공사 리스크 요인을 도출하고 위험 정량화 모델 개발을 목표로 한다[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토대로 리스크 인자를 수집하고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 상기분석은 단순한 기술 통계 분석 및 상관분석으로 변수의 관계를 분석했지만 피해율 발생에 대한 정량적인 수치를 나타내기엔 한계가 있다. 이에 회귀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보상금 지급액을 확률론적인 추정방법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최종적으로 회귀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예측값과 실측값의 비교 및 검증을 수행하고자 한다. 먼저, 식(4)의 모형은 종속 변수가 로그화된 변수를 이용하였으므로, 실측값과의 비교를 위해 식(5)와 같이 지수화를 통해 변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시공사의 시공 방법 및 시공 능력의 대상은 무엇인가? 시공사의 시공 방법 및 시공 능력은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시공사의 능력 및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시공 방법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Sameh[13]은 리스크 식별단계에서 시공사 및 하도급업자의 특징을 주요 요인으로 도출하였다.
건설프로젝트의 생애주기기간동안 각 단계별 리스크 요인들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와 같이, 건설프로젝트가 대형화됨에 따라 공사를 수행하는 데에 있어 동일한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경험 부족 및 여러 분야의 복합적 작용과 같은 불확실한 요인들이 많아 건설프로젝트의 생애주기기간동안 각 단계별 리스크 요인들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3]. 특히, 건설프로젝트는 공사 착공에서부터 준공까지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건설업의 특성상 불확실한 요인들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공장에서 이루어지는 제조업과는 달리 정밀한 리스크 요인들의 분석 및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다[4,5].
기존의 건설 리스크 식별 및 분석에 관한 연구가 가진 한계점은 무엇인가? 기존의 건설 리스크 식별 및 분석에 관한 연구에서 건설 리스크 인자들은 사회·경제적, 기술·경영적, 지리·환경적 요인으로 구분하거나, 내적·외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범위를 구분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폭넓은 분류체계에서 리스크량과 리스크 인자는 관계만 있고, 상관성이 낮은 인자까지 다루어져 실질적으로 적용이 어려운 평가만 이루어 지고 있는 형편이다. 실질적인 분류체계를 다루기 위해서는 보다 건설 리스크에 대한 영향이 크고, 좀 더 공사 현장에 비중을 둔 리스크 인자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Online Archive of Korea Statistical Yearbook [Internet]. Daejeon(Korea): Statistics Korea. 2005 [cited 2016 May 1]. Available from: http://www.kostat.go.kr/. 

  2. Online Archive of Insurance Statistical Monthbook [Internet]. Seoul(Korea): Korea Insurance Development Institute; 2006-[cited 2016 May 1]. Available form: http://www.insis.or.kr/. 

  3.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alysis of state industrial accidents. Sejong(Korea): Munjung; 2015 Nov. Chapter 2, Total of state industrial accidents; p. 9-32. 

  4. Kim CH, Kang LS, Park HT. Development of a Risk Management Procedure Model for the Construction Project Using Construction Risk Management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10 Jul;30(4):423-32. 

  5. Vaughan EJ, Vaughan TM. Essential of Insurance : A Risk Management Perspective. NewYork: John Wiley & Sons, inc.; 1995, p. 43-78. 

  6. Smith NJ, Merna T, Jobling P. Managing risk in construction projects. 2nd ed. Oxford: Blackwell publishing; 2006. 233 p. 

  7. Lee HS, Kim HS, Park MS, Lee KP, Lee SB. Construction Risk Assessment Methodology Using Site Risk Influence Factor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9 Nov;10(6):117-26. 

  8. Choi HH, Mahadevan S. Construction Project Risk Assessment Using Existing Database and Project-Specific Informatio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8 Nov;134(11):8984-903. 

  9. Yin YJ, Li Y. Probabilistic loss assessment of light-frame wood construction subjected to combined seismic and snow loads. Engineering Structures. 2011 Feb;33(2):380-90. 

  10. Munich Re. NATHAN world map of natural hazards. Munchen (Germany): Munchener Ruckversicherungs -Gesellschaft; 2011, p. 1-7. 

  11. Kangari R, Riggs LS. Construction risk assessment by linguistics. Ieee transactions on enginnering management. 1989 May;36(2):126-31. 

  12. Chan DWM, Chan APC, Lam PTI, Yeung JFY, Chan JHL. Risk ranking and analysis in target cost contracts: Empirical evidence from the construction industry.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2011 Aug;29(6):751-63. 

  13. Sameh ME. Risk assessment and allocation in the UAE construction industry.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2008 May;26(4):431-8. 

  14. Bing L, Akintoye A. Edwards PJ, Hardcastle C. The allocation of risk in PPP/PFI construction projects in the UK.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2005 Jan;23(1):25-35. 

  15. Hsueh SL, Perng YH, Yan MR, Lee JR. On-line multi-criterion risk assessment model for construction joint ventures in China. Auto in construction. 2007 Aug;16(5):607-19. 

  16. Akintoye AS, MacLeod MJ. Risk analysis and management in constru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1997;15(1):31-8. 

  17. Online Archive of Onnara information Service [Internet]. Jinju(Korea):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2015 [cited 2016 May 1]. Available from: http://www.onnara.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