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노드의 결정성에 따른 전기도금 구리박막의 기계적 특성 연구
Crystallographic Effects of Anode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Electrochemically Deposited Copper Films 원문보기

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26 no.12, 2016년, pp.714 - 720  

강병학 (부산대학교 차세대기판학과 대학원) ,  박지은 (부산대학교 인지메카트로닉스공학과 대학원) ,  박강주 (부산대학교 나노융합기술학과 대학원) ,  유다영 (부산대학교 나노융합기술학과 대학원) ,  이다정 (부산대학교 나노융합기술학과 대학원) ,  이동윤 (부산대학교 차세대기판학과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performed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effect of a single-crystalline anode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as-deposited films during electrochemical deposition. We used a (111) single- crystalline Cu plate as an anode, and Si substrates with Cr/Au conductive seed layers were prepared for the c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Kim 등은 다결정 구리 대전극을 사용하여 구리 박막을 전착할 때 초음파 에너지를 인가하면 핵 생성률을 증가시켜 결정립의 크기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인장강도가 증가한다고 보고 하였다.16) 본 연구에서는 단결정 구리를 대전극으로 사용하였을 경우 초음파 에너지의 인가가 오히려 인장강도의 감소와 영률의 감소를 가져오는 것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것은 단결정 소재를 대전극으로 사용할 시 전해질 내에서 전하들이 고유한 흐름 또는 일정한 흐름(uniform stream)을 형성하여 이동하게 되고 이 흐름을 초음파 에너지가 방해하여 생긴 결과라고 판단하였다.
  • 단결정 구리를 전기화학 전착 시에 대전극으로 사용하게 되면 형성되는 구리박막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작업전극으로 쓰일 전도층인 크롬과 금은 열증착 방법으로 실리콘 기판위에 형성하였고, 도금용액은 황산구리와 황산으로 구성하였다.
  • 대전극의 결정성에 따라 증착된 구리박막의 미세구조 및 기계적 특성이 변한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고, 이를 설명하고자 다음과 같은 형성 메커니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A.
  • 16) 본 연구에서는 단결정 구리를 대전극으로 사용하였을 경우 초음파 에너지의 인가가 오히려 인장강도의 감소와 영률의 감소를 가져오는 것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것은 단결정 소재를 대전극으로 사용할 시 전해질 내에서 전하들이 고유한 흐름 또는 일정한 흐름(uniform stream)을 형성하여 이동하게 되고 이 흐름을 초음파 에너지가 방해하여 생긴 결과라고 판단하였다. 미시적 관점에서 봤을 때 다결정 대전극의 경우는 Fig.
  •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메커니즘은 직접적인 확인은 어렵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관찰되는 현상학적인 결과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 더 많은 연구를 통하여 보다 더 직접적인 결과를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며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표준 3-전극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대전극의 소재를 교체하고 그에 따른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구리 전해도금 시 대전극으로 고가의 백금 매쉬, 흑연, 또는 다결정 구리를 사용한다.
  •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구리박막의 미세구조와 인장강도, 탄성계수와 표면경도 등의 물리적 특성은 음극 전압과 전류밀도, 도금액의 조성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되지만, 본 논문에서는 다른 변수를 배제하고 대전극의 변화만을 변수로 두어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Fig.

가설 설정

  • 4. Stress-Strain curves of Cu thin films fabricated using by: (a) poly-crystalline Cu anode and (111) single-crystalline Cu anode; (b) single-crystalline Cu anode with and without ultrasonic irradiation during depositio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퍼터링등의 물리적 방법의 단점은? 1-3) 구리박막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는 증발증착법, 스퍼터링(sputtering) 등의 물리적 방법과 유기금속화학증착법(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등과 같은 화학적 방법, 그리고 전해 도금 및 무전해 도금법 등의 전기화학적 방법이 있다. 스퍼터링등의 물리적 방법은 양호한 막질을 얻을 수는 있으나, 비아 홀(via hole)이나 접촉홀(contact hole)의 종횡비가 클 경우에 단차피복성의 한계를 극복하기 어려워 홀내부에 공동(void)이 형성되거나 듀얼 다마신 공정(dualdamascene process)이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MOCVD법 등의 화학적 방법은 스퍼터링의 단점인 단차피복성에 대해 우수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미세화에 대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높은 원료비용과 낮은 성장속도, 재현성 등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구리박막을 형성시키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러한 소자에는 대규모 집적 회로(ultra large scale integrated, ULSI) 구조가 필요하며 이를 얻기 위해서는 낮은 비저항과 전자이동(electro-migration, EM), 응력이동(stress-migration, SM) 등에 대한 내성이 뛰어난 구리를 박막형태로 하여 회로 물질로 사용하게 되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1-3) 구리박막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는 증발증착법, 스퍼터링(sputtering) 등의 물리적 방법과 유기금속화학증착법(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등과 같은 화학적 방법, 그리고 전해 도금 및 무전해 도금법 등의 전기화학적 방법이 있다. 스퍼터링등의 물리적 방법은 양호한 막질을 얻을 수는 있으나, 비아 홀(via hole)이나 접촉홀(contact hole)의 종횡비가 클 경우에 단차피복성의 한계를 극복하기 어려워 홀내부에 공동(void)이 형성되거나 듀얼 다마신 공정(dualdamascene process)이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전기도금법이 적용되는 산업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7) 따라서 전기도금법에 의한 금속 구리 박막 또는 구리선의 제조는 구리 자체의 장점과 전기도금법의 우수성 등으로 인하여 산업전반에 걸쳐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s, PCB), 패키지 시스템, 그리고 반도체 소자 제조에 폭넓게 쓰이고 있다.8-9) 전기도금법을 이용하여 구리 박막을 형성할 때 표면 형상과 구조 및 기계적 특성은 음극 전압, 전류밀도, 도금액의 조성과 같은 다양한 도금 변수에 영향을 받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R. J. Contolini, L. Tarte, R. T. Graff, L. B. Evans, J. N. Cox, M. Puich, J. D. Gee, X. Mu and C. Chiang, Proc. 12th Int. VLSI Multilevel Interconnection Conf. p.322, VLSI Multilevel Interconnection Conference, Santa Clara, CA (1995). 

  2. C. E. Murray and K. P. Rodbell, J. Appl. Phys., 89, 2337 (2001). 

  3. C. R. Simpson, D. M. Pena and J. V. Cole, Proc. the symposia on Electrochemical Processing in ULSI Fabrication I, p.59, Electrochemical Society, Pennington, NJ (1998). 

  4. S. Wakabayashi, S. Koyama, T. Iijima M. Nakazawa and N. Kaneko, Proc. 4th Int. Conf. on adhesive Joining and Coating Technology in Electronics Manufacturing, p.280, IEEE, Espoo (2000). 

  5. M. Kim, H-R Cha, C. Choi, J-M Kim, D. Lee, Korean J. Met. Mater. 48, 884 (2010). 

  6. T. Woo, I. Park, H. Lee and K. Seol, Korean J. Mater. Res., 16, 710 (2006). 

  7. T. Woo, I. Park, E. Park, K. Jung, H. Lee, K. Seol. Korean J. Met. Mater. 47, 586 (2009). 

  8. N. Imaz, E. Garcia-Lecina, C. Suarez, J. A. Diez, J. Rodriguez, J. Molina and V. Garcia-Navas, Trans. Inst. Met. Finish., 87, 64 (2009). 

  9. Y. L. Kao, G. C. Tu, C. A. Huang, and J. H. Chang, Mater. Sci. Eng. A, 382, 104 (2004). 

  10. P. V. Brande and R. Winand, Surf. Coat. Tech., 52, 1 (1992). 

  11. Z. Zhou and T. J. O'keefe, J. Appl. Electochem., 28, 461 (1998). 

  12. J. J. Yang, Y. L. Huang, and K. W. Xu, Surf. Coat. Tech., 201, 5574 (2007). 

  13. C. C. Hu and C. M. Wu, Surf. Coat. Tech., 176, 75 (2003). 

  14. V. S. Donepudi, R. Venkatachalapathy, P. O. Ozemoyah, C. S. Johnson, and J. Prakash, Electrochem. Solid-State. Lett., C13, 4 (2001). 

  15. A. Kudelski, M. J. Czachor, J. Bukowska, M. Dolata and A. Szummer, J. Mol. Struct., 483, 245 (1999). 

  16. M. Kim, F. Sun, J. Lee, Y. Hyun and D. Lee, Surf. Coat. Tech., 205, 2362 (2010). 

  17. D. Lee, Y. X. Gan, X. Chen and J. W. Kysar, Mater. Sci. Eng. A, 447, 209 (2007). 

  18. A. Hamelin, J. Electroanal. Chem., 407, 1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