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릉시 일부 노인의 구강근육운동 프로그램 형태별 운영 효과 비교
Comparison of Effects according to Type of Oral Exercise Program for Elderly in Gangneung City 원문보기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16 no.6, 2016년, pp.424 - 431  

이수향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위생학과) ,  유진아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위생학과) ,  유하은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위생학과) ,  이진희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위생학과) ,  신선정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구강체조와 구강근육마사지를 접목한 구강근육운동을 매뉴얼화하여 운영 형태에 따른 프로그램의 비교를 통해 효과적인 프로그램 운영방식을 제안하기 위한 것으로 자가 실천 프로그램을 적용한 한울노인대학 노인 14명과 전문가 개입 프로그램을 적용한 강릉종합사회복지관 이용 노인 2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전문가 개입 집단에서 프로그램 운영 후 타액분비율이 증가하고, 주관적 구강건조증의 완화되었으나, 자가 실천 집단은 주관적 구강건조증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두 집단에 대하여 프로그램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자가 실천 집단이 전문가 개입 집단보다 프로그램 내용, 방법, 자신의 구강 건강관리 도움, 계속 참여 의향, 타인에게 권유의향이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할 수 없었으나, 대체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연구기간 중 대상자 모집의 한계로 표본수가 적고, 개입기간이 짧았던 한계가 있으나 본연구를 통해 구강체조와 구강근육마사지의 복합적 적용인 구강근육운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노인의 자발적 구강건강 행동 유지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일정 정도의 전문가 개입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노인의 특성에 따라서 자가실천 구강근육운동 프로그램과 전문가 개입 프로그램 적용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데 의의가 있다. 노인의 구강건강유지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구강건강증진사업을 전개할 때 효과적인 구강체조뿐 아니라 구강근육마사지가 접목된 구강운동 프로그램의 보급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s of programs according to management type by preparing a manual for oral muscle exercises that integrates oral movement and oral massage. The program was performed on 14 elderly patients in a seniors' college self-practice program group and 28 elderly patients in a so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대상 구강근육운동의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구강근육마사지와 구강체조를 체계적으로 매뉴얼화하여 전문가가 직접 제공하는 방식의 프로그램과 노인 스스로가 실천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비교 평가한 사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 연구기간 중 대상자 모집의 한계로 표본수가 적고, 개입기간이 짧았던 한계가 있으나 본연구를 통해 구강체조와 구강근육마사지의 복합적 적용인 구강근육운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노인의 자발적 구강건강 행동 유지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일정 정도의 전문가 개입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노인의 특성에 따라서 자가실천 구강근육운동 프로그램과 전문가 개입 프로그램 적용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데 의의가 있다. 노인의 구강건강유지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구강건강증진사업을 전개할 때 효과적인 구강 체조뿐 아니라 구강근육마사지가 접목된 구강운동 프로그램의 보급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는 강릉원주대학교 전일제대학원장학금을 지원받아 수행하였기에 이에 감사드린다.
  • 본 연구는 구강체조와 구강근육마사지를 접목한 구강근육운동을 매뉴얼화하여 운영 형태에 따른 프로그램의 비교를 통해 효과적인 프로그램 운영방식을 제안하기 위한 것으로 자가 실천 프로그램을 적용한 한울노인대학 노인 14명과 전문가 개입 프로그램을 적용한 강릉종합사회복지관 이용 노인 2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전문가 개입 집단에서 프로그램 운영 후 타액분비율이 증가하고, 주관적 구강건조증의 완화되었으나, 자가 실천 집단은 주관적 구강건조증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구강체조에 구강근육마사지를 복합하여 구강근육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스스로 운동을 수행하는 ‘자가 실천 프로그램’과 전문가가 직접 운동을 제공하는 ‘전문가 개입 프로그램’두 가지 운영 방식으로 시행하여 노인의 타액분비량과 구강건조감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건조증의 원인은 무엇인가? 구강건조증은 입안이 마르는 느낌의 주관적 증상을 의미하는 것으로4), 실제로 타액유출량을 측정하기 보다는 주관적 구강건조증 여부에 근거하여 정의하고 있다5). 구강건조증의 원인으로는 전신질환과 약물복용이 있으며, 노년기는 노화와 더불어 만성질환 유병률의 증가로 약물복용이 빈번해지며 구강건조증 발생 위험요인이 커진다4).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가 기타 선진국들에 비하여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이유는? 2014년 통계청 자료1)에 따르면, 저출산과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기타 선진국들에 비하여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향후 2030년에는 전체 인구의 20% 이상이 노인인구인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구강근육운동의 자발적 실천을 독려하기 위해 노력하는 이유는? 구강건강증진 사업에서 구강건강 향상을 위한 개인의 기술개발은 중요하며,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인 실천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구강근육운동의 자발적 실천을 독려하고자 ‘자가 실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구강근육운동 리더를 선출하여 매주 노인대학의 모임 시작 전 리더가 인솔하여 구강근육운동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Retrieved August 26, 2016, from http://www.index.go.kr(2014, September 29). 

  2. Seo MW: Four cases of senile oro-facial dyskinesia and discussion on the pathophysiology. J Korean Neurol Assoc 16: 458-466, 1998. 

  3. Oh JK, Kim YJ, Kho HS: A study o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dry mouth. J Oral Med Pain 26: 331-343, 2001. 

  4. Fox PC: Management of dry mouth. Dent Clin North Am 41: 863-875, 1997. 

  5. Billings RJ, Proskin HM, Moss ME: Xerostomia and associated factors in a community-dwelling adult population.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4: 312-316, 1996. 

  6. Park ES, Choi JS: The effect of health status on general quality of life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middle-aged adults. J Dent Hyg Sci 12: 624-633, 2012. 

  7. Kim EJ, Kwag JS: Change of salivary flow rate, xerostomia,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fter oral muscle massage. J Korean Soc Dent Hyg 15: 679-685, 2015. 

  8. Jang KA, Hwang IC: Objective effects and satisfaction of mouth gymnastics program. J Korea Contents Assoc 11: 388-395, 2011. 

  9. Nam YO, Park CE, Park JH, Kim IY: A study on the oral health awareness of the elderly for dental health project planning. J Korean Soc Dent Hyg 6: 325-337, 2006. 

  10. Jeon YJ, Choi JS, Han SJ: The effect of dry mouth improvement by oral exercise program in elderly people. J Korean Soc Dent Hyg 12: 293-305, 2012. 

  11. Hwang YS, Cho EP: A study on elderly people's satisfaction level with oral exercise program. J Korean Acad Dent Hyg Edu 9: 795-807, 2009. 

  12. Kim YJ, Park KM: Effects on salivation, xerostomia and halitosis in elders after oral function improvement exercises. J Korean Acad Nurs 42: 898-906, 2012. 

  13. Lee JH, Kwon HK, Lee YH, Lee MH, Lee HK: Effect of regular oral exercise on oral function in elderly patients with long-term care. J Korean Acad Oral Health 34: 422-429, 2010. 

  14. Shin SJ: Korean version of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evaluation toolkit for the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Gangneung, 2010. 

  15. Kim DY: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in public health.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je University, Gimhae, 2012. 

  16. Birkhed D, Heintze U: Salivary secretion rate, buffer capacity and pH. In: Tenovuo JO, ed. Human saliva: clinical chemistry and microbiology. CRC Press, Boca Raton, pp.25-73, 1989. 

  17. Kang BW, Koo IY, Kim NH, et al.: Geriatric dental hygiene care. Koonja, Paju, pp.75-77, 2012. 

  18. Kim YJ, Choi YH, Kim JY, Lee HK: The effect of orophysical exercise for the elderly on oral function and nutrient intake. J Korean Acad Oral Health 35: 414-422, 2011. 

  19. Field EA, Fear S, Higham SM, et al.: Age and medication a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xerostomia in an English population, attending general dental practice. Gerodontology 18: 21-24, 2001. 

  20. Avcu N, Ozbek M, Kurtoglu D, Kurtoglu E, Kansu O, Kansu H: Oral findings and health status among hospitalized pati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ged 60 or above. Arch Gerontol Geriatr 41: 69-79, 2005. 

  21. Sreebny LM, Schwartz SS: A reference guide to drugs and dry mouth. Gerodontology 5: 75-99, 1986. 

  22. Park MS, Ryu SA: Degree of dry mouth and factors influencing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community-dwelling elders. J Korean Acad Nurs 40: 747-755,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