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문구강보건사업 여성노인 대상자의 구강관리프로그램 효과
The effect of oral care program for the elderly women of the Visiting oral health care 원문보기

한국치위생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12 no.2, 2012년, pp.365 - 377  

이윤희 (대구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이성국 (경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Visiting Oral Health Care Program by examining the oral health of the elderly women, who are the beneficiaries of this Visiting Oral Care Program. Methods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rom November of 2011 to February of 2012,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방문구강보건사업의 대상자에게 구강관련 서비스를 제공하여 실질적으로 구강건강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부지역에 거주하는 방문구강보건사업 대상자 중 65세 이상의 여성 노인들에게 방문구강관리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HRQOL)15)을 측정하는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OHIP-14)16)의 변화와, 구강위생상태 및 구강기능의 관한 효과를 알아보고, 방문구강보건사업의 활성화방안 마련과 효율적인 방문구강관리프로그램의 개발 및 활용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 본 연구에서는 방문구강보건사업 대상자들 중 노인에게 적절한 구강보건서비스를 제공하여 자가구강건강관리능력및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급속히 진행되는 고령화 시대에 필요한 방문구강보건사업 대상자 중 노인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확대를 위한 기초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방문구강보건사업의 인력은 2009년 6월 전국 시·도 지역에 총 53명의 치과위생사 채용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보건복지부는 2008년 방문구강보건사업에 대한 평가를 통해 방문구강관리서비스 제공시간과 인력 및 예산이 부족하고,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한 심화직무교육의 필요성과 사업의 연계성 및 계속 관리를 위해 고용형태의 안정화가 절실하다고 하였다35). 본 연구에서는 시범실습 및 예시 면접을 통해 관찰자간의 오차범위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사전교육을 철저히 실시하였고, 결과도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심층 교육된 방문구강보건사업의 전문 치과위생사 양성은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2006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36)에 따르면 자연치아수는 65-74세가 1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1세기의 사회적 변화 가운데 하나는? 21세기의 사회적 변화 가운데 하나는 노인인구의 증가이다. 이러한 변화는 의학기술, 환경위생, 생활수준등 보건의료와 사회적 환경의 향상으로 인해 인간의 수명이 급속히 연장됨으로써 고령자가 증가되었다1).
노인인구의 증가는 무엇 때문인가? 21세기의 사회적 변화 가운데 하나는 노인인구의 증가이다. 이러한 변화는 의학기술, 환경위생, 생활수준등 보건의료와 사회적 환경의 향상으로 인해 인간의 수명이 급속히 연장됨으로써 고령자가 증가되었다1). 그리하여 우리나라는 지난 2000년에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7.
노인의 구강건강관리란? 또한 65세 이상의 고령자 사망원인 중 가장 높은 질병은 폐렴으로 이 중 70% 이상이 흡인성 폐렴으로써, 그 원인은 위액이나 구강내 세균이 흡입된 것으로 그 원인균으로는 구강상주균인 혐기성균이 많고, 치주병 원인균이 포함된 것이 특징이어서, 노인에서의 인두세균수 관리와 연하기능을 유지시키는 전문적인 구강건강관리는 매우 중요하다5). 노인의 구강건강관리란 넓은 의미로는 구강의 움직임(섭식, 저작, 영양, 연하, 발음, 심미성 등)을 유지하는 치과의료, 영양교육, 연하 훈련, 발음훈련 등의 구강기능 향상을 목표로 할수있고, 좁은 의미로는 치아의 청결, 구강의 청결, 의치의 청결이다. 그리하여 일본에서는 구강위생 향상뿐만 아니라 노인들의 구강기능 향상을 위해 백세구강체조를 실시하여 발음, 연하, 타액유출량 등의 구강기능들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변재관. 2000년대의 노인.장애인 분야 연구방향. 서울:보건복지포럼;1999:37-44. 

  2. 통계청.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ystem( KOSIS), 통계DB검색〔online〕 http://kosis.go.kr. 검색일자 2011. 

  3. 왕미숙. 노인의 정신능력 수준과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한양대학교대학원. 1992. 

  4. 조경숙, 장종화. 방문보건대상 노인의 구강건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 한국치위생학회지 2010;10(6):983-990. 

  5. 동경도 고령자 연구회. 구강기능 향상 매뉴얼. 2007:40-48. 

  6. 高知市保健所健康づくり課. かみかみ百歲操と口腔ケア. 建帛社; 2006:26-33. 

  7. 이지혜, 권호근, 이윤희, 이민호, 이희경. 장기요양 노인환자들에 대한 구강체조가 구강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10;34(3):422-429. 

  8.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방문보건사업 모니터링 및 활성화 방안 개발. 서울:보건복지부; 2006:31- 40,193-244. 

  9. 김조자, 이원희, 이정렬 외 4인. 보건소 방문보건 인력의 방문보건 업무수행 실태 조사. 한국보건간호학회 2004;18(1):178-186. 

  10. 이인숙 외 6인. 보건소 건강증진 사업과 방문보건 사업간 사업범위 설정 및 사업연계 수행방안 개발. 서울:보건복지부;2003:31-343. 

  11. 박용덕, 강종오, 김동열 외 10인. 의료관계법규. 서울:대한나래출판사;2011:456-465. 

  12. 구강보건사업지원단. 2008년 구강보건사업지원단 사업보고서. 서울:보건복지부;2008:136-166. 

  13. 신선정, 마득상, 박덕영, 정세환. 보건소 노인 방문보건사업의 현황조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7;31(3):355-365. 

  14. 서현석, 신승철, 정영복, 김은주, 류현. 보건소 구 강보건사업 강화 및 방문구강보건사업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보고서. 서울:보건복지부;2003:158-160, 184. 

  15. Allen PF, McMollan AS, Locker D. An assessment of sensitivity to change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in an clinical trial.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1;29(3):175-182. 

  16. 이영호. 도시지역 재가노인들의 구강건강관리프로그램 효과[박사학위논문]. 대구:영남대학교 대학원;2009. 

  17. 박지혜, 정성화, 이가령, 송근배. 일부농촌지역 노인들의 치아상실이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8;32(1):63-74. 

  18. 박정란, 김혜진. 65세 이상 노인의 구강건강관리 요구도가 구강건강영향지수(OHIP-14)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학회지 2011;11(6):961-971. 

  19. 예방치학연구회. 현대예방치학, 2판. 서울:군자출판사;2008;129-143, 166-170. 

  20. 양순봉. 노인요양시설에 있는 노인환자의 구강실태 및 치료수요도.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008;46(5):455-469. 

  21. O'Leary TJ. Periodontal diagnosis. J Periodontol 1967;38:617-624. 

  22. 이영옥, 홍정표, 이태용. 농촌지역 주민들의 구취 실태와 유발요인 .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7;32(2):157-174. 

  23. 복혜정. 농촌지역 노인대상 방문구강보건사업 평가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대구: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2010. 

  24. 백병주, 김상훈, 양연미, 김재곤. 소아의 최대 개구량에 대한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001;28(4):593-599. 

  25. Ha MJ, Park HS. A study on health and nutrition status of elderly poor people living alone. J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02;4(2):123-133. 

  26. 임경숙. 노인성 질환의 영양위험노인 탐색 및 영양위험평가도구 개발. 노인성 질환의 예방과 영양관리의 실용화 심포지엄 초록집 2001;3-12. 

  27. 정경희, 조애정, 오영희, 변영관. 1998년도 전국 노인생활 실태 및 복지요구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1998;92-95. 

  28. 이인숙. 지역사회 가정간호의 실행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서울대학교 대학원;1990. 

  29. 김정순, 이인숙. 인구 노령화에 대비한 노인보건관리 대책. 대한보건협회학술지1995;21(2):122-148. 

  30. Knapp A. Nutritional and oral health in the elderly. Dental Clinics of North America 1989;1:109-125. 

  31. Niessen L, Jones J. Oral health changes in the elderly. their relationship to nutrition. Postgraduate Medicine 1984;2:231-237. 

  32. 강민아. 일개 구의 방문구강보건사업 대상자들의 구강건강상태[석사학위논문]. 서울: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2011. 

  33. 보건복지부. 2011년 구강보건사업 안내. 서울:보건복지부;2011:77-87. 

  34. 송근배, 나채환, 김정숙, 정성화. 치주수술 전.후 구강보건행태 및 치주질환인지도의 변화와 치주조직 임상지수와의 관계.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2;26(1):101-115. 

  35. 정재연. 맞춤형 방문구강보건사업 현황조사.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2009;9(4):606-619. 

  36. 김진범, 김백일, 박덕영 외 5인. 2006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보고서. 서울:보건복지부;2008:109-110. 

  37. Richmond S, Chestnutt I, Shennan J, Brown B. The relationship of medical and dental factors to perceived oral and general health. Community Dent Epidemiol 2007;35(2):89-97. 

  38. Locker D, Slade G. Oral health and the quality of life among older adults: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J Can Dent Assoc 1993;59(10):830-844. 

  39. Slade GD. Derivation and Validation of a short-form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997;25(4):284-290. 

  40. 김혜영 외 7명. 구강생리학. 2판. 서울:고문사;2009;253-272. 

  41. 강부월, 황윤숙, 이선미. 방문구강보건사업의 운영현황 및 보건(지)소 치과위생사의 견해.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2008;8(2):1-12. 

  42. Nishiyama Y. Changes of general and oral health status of elderly patients receiving home-visit dental services. Kokubyo Gakkai Zasshi the Journal of the Stomatological Society 2005;72(2):172-1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