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일부 시판음료의 영양성분, 당도 및 pH 평가
Assessment of Nutrient and Sugar Content and pH of Some Commercial Beverages 원문보기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16 no.6, 2016년, pp.464 - 471  

전미경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치학교실) ,  이덕혜 (동남보건대학교 치기공과) ,  이선미 (동남보건대학교 치위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음료 섭취의 증가는 비만, 당뇨, 심혈관계질환 등 각종 성인병 발생과 같은 전신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치아우식증과 치아침식증과 같은 구강질환의 원인으로도 구강건강에 있어 가장 큰 위험요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영양교육에 있어 음료 선택 시 영양표시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음료 섭취에 따른 구강건강 관련된 영양성분 및 위험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총 7종 52개로 탄산음료 14제품, 혼합음료 13제품, 과채 음료 11제품, 유음료 5제품, 과 채주스 4제품, 액상커피 3제품, 액상차 2제품이 본 연구에 사용되었으며, 음료의 영양성분표시, 당도, pH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영양성분표에 의한 음료 1회제공량 당 당류의 함량 분석결과, 유음료가 26.6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액상차가 13.0 g으로 가장 낮았다. 당류의 에너지 섭취량을 10% (50 g)미만으로 분석한 결과, 유음료와 탄산음료가 각각 53.2%DV, 50.0%DV로 1회 제공량 당 50% 이상의 당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도 조사에서는 유음료가 18.3%로 가장 높았으며, 과 채주스 12.2%, 탄산음료 10.3%, 액상차 9.7%, 과 채음료 9.0%, 혼합음료 8.0%, 액상커피 6.5% 순이었다. 음료의 pH측정 결과 탄산음료가 3.0으로 가장 강한 산성을 나타내었고, 유음료는 6.8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구강보건교육 시 영양교육에 있어 영양표시에 대한 올바른 정보제공 및 음료 섭취에 따른 구강질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알맞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labeling of nutritional components on beverages to aid in nutrition education and oral health promotion. Th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nutritional effects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onsumption of different beverages with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음료 제품들을 대상으로 식품공전에 의한 식품유형에 따라 음료를 분류하고, 음료군별 영양표시에 따른 영양소 함량 실태 파악과 구강건강과 관련된 영양성분 및 위험요인을 분석하여 구강건강증진 및 유지를 위한 영양교육에 필요한 올바른 정보 제공을 위해 연구를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시판 음료를 식품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음료의 유형에 따른 영양성분과 구강건강 위험도 평가를 위해 당도와 pH를 평가하였다. 따라서 치과위생사가 구강보건교육자로서 음료 섭취에 따른 구강건강 위해성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전달하고 식생활을 평가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음료의 영양표시를 기준으로 영양성분을 분석 하였으며, 음료 섭취로 인한 치아우식증과 침식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당도와 산도를 측정하여 제시하였다. 음료의 유형에 따라 제품 용량은 최소 100 ml∼최대 350 ml 로 차이를 보였으며, 1회 제공량 또한 차이가 있었다.
  • 음료 섭취의 증가는 비만, 당뇨, 심혈관계질환 등 각종 성인병 발생과 같은 전신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치아우식증과 치아침식증과 같은 구강질환의 원인으로도 구강건강에 있어 가장 큰 위험요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영양교육에 있어 음료 선택 시 영양표시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음료 섭취에 따른 구강건강 관련된 영양성분 및 위험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총 7종 52개로 탄산음료 14제품, 혼합음료 13제품, 과채 음료 11제품, 유음료 5제품, 과·채주스 4제품, 액상커피 3제품, 액상차 2제품이 본 연구에 사용되었으며, 음료의 영양성분표시, 당도, pH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구강보건교육자로서 음료 섭취에 따른 구강질환 위험요소의 정보를 파악하여 구강건강 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2014년 기준 국내 음료류 품목별 점유율은 탄산음료가 37%로 가장 높았으며, 액상커피 23%, 혼합음료 21%, 과·채음료 11%, 과·채주스 8%, 두유 7% 순이었으며18), 본 연구의 조사대상 음료의 분포 비율은 탄산음료가 26%로 가장 많았고, 혼합 음료 24%, 과·채음료 21%, 과·채주스 8%, 유음료 9%, 액상커피 6%, 액상차 4% 순으로 약간의 차이는 보이나 탄산 음료 비율이 가장 높고, 혼합음료와 과·채주스는 유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양한 가공식품의 발달은 어떤 문제를 가져왔는가? 식품 산업 및 가공식품의 발전은 식생활의 서구화 및 다양한 가공식품의 발달과 변화를 가져왔고1), 이는 식품의 영양이 강조되기보다 편의성을 중시하는 패스트푸드의 확산과 다양한 가공식품의 섭취증가로 나트륨과 당류(free sugar) 의 과잉 섭취에 따른 영양 불균형의 문제를 가져왔다2,3).
2010년 생산량 기준 국민 다소비 식품 품목중 음료류는 몇 위를 차지하는가? 생활패턴의 변화에 따른 가공식품의 발달은 음료 소비 증가에 영향을 주었으며, 총 수분섭취량 중 음용수 및 식품 속 수분 등의 섭취를 제외한 기호음료의 섭취 비율이 증가하게 되었다4,5). 2010년 생산량 기준 국민 다소비 식품품목 순위에서도 상위 10개 품목에 탄산음료, 혼합음료, 과·채음료의 순위가 각각 3위, 4위, 5위로 음료류가 3품목을 차지함으로써, 식품품목 중 음료의 유통량과 소비량이 늘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6).
미국식품의약국은 당 섭취의 감소를 위한 권고와 제도로 무엇을 의무화하였는가? 최근 미국식품의약국(Food and Drug Administration)은 식품과 음료수 등에 부착되는 영양성분 표시에 총당류(total sugar)의 표기와 함께 제조과정에서 당류 중 설탕, 시럽, 인공 꿀 등 첨가당(added sugar)이 얼마나 들어있고, 하루 권장 섭취량의 몇 %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표기하도록 의무화하였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im WJ, Kim BH, Park YW: The purchasing acts for the commercial processed foods and the awareness for the food additives. J Hum Ecol 3: 71-80, 2000. 

  2. Kang MH, Yoon K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mounts of sugar, sodium, and fats exposure through intake of processed fo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52-61, 2009. 

  3. Choi MH, Kwon KI, Kim JY, et al.: Monitoring of total sugar contents in processed foods and noncommercial foodservice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337-342, 2008. 

  4. Kang BS, Park MS, Cho YS, Lee JW: Beverage consumption and related factors among adolescents in the Chungnam urba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1: 469-478, 2006. 

  5. Ha TS, Park MH, Choi YS, Cho SH: A study on beverage consumption pattern associated with food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5: 21-28, 1999. 

  6.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Retrieved September 7, 2016,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45&tblIdTX_14503_B069A&conn_pathI2. 

  7. Vartanian LR, Schwartz MB, Brownell KD: Effects of soft drink consumption on nutrition and health: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m J Public Health 97: 667-675, 2007. 

  8. Tahmassebi JF, Duggal MS, Malik-Kotru G, Curzon MEJ: Soft drinks and dental health: a review of the current literature. J Dent 34: 2-11, 2006. 

  9. Nishida C, Uauy R, Kumanyika S, Shetty P: The joint WHO/FAO expert consultation on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process, product and policy implications. Public Health Nutr 7: 245-250, 2004. 

  10. Malik VS, Willett WC, Hu FB: The revised nutrition facts label: a step forward and more room for improvement. JAMA 316: 583-584, 2016. 

  11.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Retrieved September 7, 2016, from: http://www.mfds.go.kr/nutrition/article/view.do?articleKey1326&boardKey8&menuKey124. 

  12. Kit BK, Fakhouri TH, Park S, Nielsen SJ, Ogden CL: Trends in sugar-sweetened beverage consumption among youth and adults in the United States: 1999-2010. Am J Clin Nutr 2013. doi: 10.3945/ajcn.112.057943. 

  13. Oh HN, Lee HJ: The effect of energy drink on enamel erosion. J Dent Hyg Sci 15: 419-423, 2015. 

  14.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Osong, pp.125-140, 2012. 

  15.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Retrieved September 7, 2016,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45&tblIdTX_14503_A058&conn_pathI2. 

  16. Shin Y, Kim SD, Kim BS, et al.: The content of minerals and vitamins in commercial beverages and liquid teas. J Food Hyg Saf 26: 322-329, 2011. 

  17.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Retrieved September 7, 2016,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F01012&conn_pathI2. 

  18.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Retrieved September 7, 2016, from: http://www.mfds.go.kr/index.do?mid690&pageNo1&seq20062&cmdv. 

  19. Lim DS, Ban YH, Min YE, et al.: The effect of carbonated water on bovine enamel erosion and plaque adhesion. J Dent Hyg Sci 15: 437-444, 2015. 

  20. Moynihan PJ, Kelly SAM: Effect on caries of restricting sugars intake: systematic review to inform WHO guidelines. J Dent Res 93: 8-18, 2014. 

  21. Wilder JR, Kaste LM, Handler A, Chapple-Mcgruder T, Rankin KM: The association between sugar-sweetened beverages and dental caries among third-grade students in Georgia. J Public Health Dent 76: 76-84, 2016. 

  22. Chang SO: The evaluation of nutrients and health functional elements presented at nutrition labels of various beverages in the market. Korean J Food Nutr 40: 558-565, 2007. 

  23.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Retrieved September 7, 2016, from: http://www.mfds.go.kr/index.do?mid688&pageNo5&seq32101&cmdv. 

  24. Forshee RA, Storey ML: Evaluation of the association of demographics and beverage consumption with dental caries. Food Chem Toxicol 42: 1805-1816, 2004. 

  25. Ko SJ, Jeong SS, Choi CH, Kim KH: pH and buffering capacity in some commercial fermented milks. J Korean Soc Dent Hyg 13: 701-711, 2015. 

  26. Reddy A, Norris DF, Momeni SS, Waldo B, Ruby JD: The pH of beverages in the United States. J Am Dent Assoc 147: 255-263, 2016. 

  27. Marshall TA: Preventing dental caries associated with sugar-sweetened beverages. J Am Dent Assoc 144: 1148-1152, 2013. 

  28. BernabeE, Vehkalahti MM, Sheiham A, Aromaa A, Suominen AL: Sugar-sweetened beverages and dental caries in adults: A 4-year prospective study. J Dent 42: 952-958, 2014. 

  29. Jeong MJ, Jeong SJ, Son JH, et al.: A study on the enamel erosion caused by energy drinks. J Dent Hyg Sci 14: 597-609, 2014. 

  30. Ko SM: The prefernce of beverage and recognition of food nutrition labeling by adults in metropolitan a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