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멘토링 대화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분석을 통한 멘토 전문성에 대한 고찰
Investigation of a Mentor-Teacher Qualification Standard through the Analysis of Interaction in Mentoring Conversation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6 no.6, 2016년, pp.877 - 893  

이순덕 (부산대학교) ,  고문숙 (부산대학교) ,  남정희 (부산대학교) ,  이선우 (부산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에서 멘토교사와 멘티교사간의 멘토링 대화에 나타나는 상호작용 특징을 분석하여 멘티교사의 교수기술발달 정도와 연관성을 토대로 멘토 전문성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임중등과학교사 4명을 멘티교사로, 경력교사를 4명을 멘토교사로 선정하였다. 개발된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에 따라 멘티교사들에게 5회의 멘토링을 실시한 후 1차, 3차, 5차 멘토링 대화를 상호작용 분석틀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멘티교사가 실행한 총 5차시 수업을 RTOP으로 분석하여 교수기술발달 정도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멘토의 전문성 기준에 대해 고찰하였다. 멘토링 대화에서 상호작용 시작은 멘토가 주도하며 멘토교사 질문의 형태가 단순질문 비율이 높으면 멘티교사 반응은 단순반응의 비율이 높아져 반성의 기회가 차단되고 교수기술 발달정도가 적었다. 반면 멘토교사 질문의 형태가 사고질문의 비율이 높은 경우, 멘티교사 반응은 설명반응의 비율이 높아져 설명반응을 하는 과정이 반성의 기회가 될 수 있고 반성은 반성적 실천을 용이하게 하여 교수기술 발달정도가 높았다. 사고질문의 비율이 높아도 교수기술 지원이 미흡한 경우는 발달정도가 미미했다. 교수기술 피드백 방법이 멘토교사 중심의 설명식이면, 멘티교사가 단순반응을 하게 되는 경향이 있어 반성의 기회가 차단되고 교수기술발달 정도 역시 적었다. 멘토교사 피드백의 형태에서 설명피드백 비율이 높으면, 교수기술발달정도가 높은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임과학교사의 수업실행 전문성 발달을 위한 멘토교사의 전문성 기준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멘토교사는 서로 의견이 교환되는 형식으로 상호작용을 이끌어 갈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둘째, 멘토교사는 상호작용 할 때 멘티교사의 사고에 초점을 두고 반성적 사고를 유도하는 상호작용을 해야 하며, 멘티교사의 반성이 반성적 실천으로 이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어야한다. 셋째, 교수기술 지원 시 멘토교사는 명확한 근거나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할 수 있어야 효과적이다. 넷째, 멘토교사는 하나의 교수기술을 지원할 때마다 멘티교사에게 지원된 교수기술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자신의 수업에 지원된 교수기술을 활용하기 위한 숙고의 과정을 거치도록 유도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mentor-teacher qualification standard to support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beginning secondary science teachers. The participants were four mentee teachers and four mentor-teach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of beginning science teach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멘토링의 저해 요인은? 멘토링의 저해 요인으로 멘토의 자질부족(Jeon et al., 2009)과 자격을 갖춘 멘토교사를 확보하는 어려움으로 인해 초임과학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유도하기 어렵다. 또한 좋은 교사라고 해서 좋은 멘토교사가 되는 것이 아니다(Orland, 2001; Schmidt, 2008; Yusko & Feiman-Nemser, 2008).
우리나라 학교 과학교육개혁을 어떤 방향으로 제안하고 있는가? 최근 사회 변화가 급속도로 가속화됨에 따라 학교교육과정 또한 미래사회의 삶을 살아갈 학습자에게 필요한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재구조화 하는 세계적인 추세를 보인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학교 과학교육개혁의 방향을 탐구와 사고력 신장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구체적인 실행의 방법으로 교수학습방법에서 학생활동 중심으로 구성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 과학수업은 사고와 탐구가 강화된 학생 중심의 수업실행이 그 어느 때보다 요구되며, 이러한 변화를 이끌어갈 주체는 교사라고 볼 수 있다.
경력교사와 초임교사의 상호작용으로 초임교사가 얻는 이득은 무엇인가? , 2008). 경력교사와의 상호작용으로 초임교사들이 얻을 수 있는 이익에는 초임교사의 유지율 증가, 전문성 발달, 자기반성과 문제해결 능력의 향상, 멘토의 학습전략과 실천의 채택, 높은 수준의 자신감과 자부심, 고립감 감소, 긍정적인 태도의 증가 등 다양하다(Boreen et al., 2000; Bush & Coleman, 1996; Carter & Francis, 2001; Darling-Hammond, 2003; Evertson & Smithey, 2000; Gold, 1996; G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ppleton, K., & Kindt, I. (1999). Why teach primary science? Influences on beginning teachers' pract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 155-168. 

  2. Bianchini, A., & Solomon, M. (2003). Constructing views of science tied to issues of equity and diversity: A study of beginning science teacher.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1), 53-76. 

  3. Boreen, J., Johnson, M. K., Niday, D., & Potts, J. (2000). Mentoring beginning teachers: Guiding, coaching, reflecting. York, ME: Stenhouse. 

  4. Bullough Jr, R. V. (2005). Being and becoming a mentor: School-based teacher educators and teacher educator identity.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1(2), 143-155. 

  5. Bush, T., & Coleman, M. (1996).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heads: The role of mentoring.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33(5), 60-73. 

  6. Carter, M., & Francis, R. (2001). Mentoring and beginning teachers' workplace learning. Asia-Pacific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9(3), 249-262. 

  7. Choi, K., Park, J., Choi, B., Nam, J., Choi, K., & Lee, K. (2004).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roo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4(6), 1039-1048. 

  8. Darling-Hammond, L. (2003). Keeping good teachers: Why it matters what leaders can do. Education Leadership, 60(8), 7-13. 

  9. Dewey, J. (1933). How we think: A restatement of the relation of reflective thinking to the educational process. Lexington, MA: Heath. 

  10. Edwards, D., & Mercer, N. (1987). Common Knowledge: The development of understanding in the classroom. London: Routledge. 

  11. Evertson, C. M., & Smithey, M. W. (2000). Mentoring effects on proteges' classroom practice: An experimental field study.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3(5), 294-304. 

  12. Franke, A., & Dahlgren, L. O. (1996). Conceptions of mentoring: an empirical study of conceptions of mentoring during the school-based teacher educa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2(6), 627-641. 

  13. Gess-Newsome, J. (1999).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 introduction and orientation. In Gess-Newsome, J., & Lederman, N.G.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p. 3-17).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14. Go, M. (2010). The Effect of cooperative mentoring for beginning science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in their teaching performance. Ph.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5. Go, M., & Nam, J. (2013). The Change in beginning science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in their teaching performance through collaborative mentor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1), 94-113. 

  16. Go, M., Lee, S., Choi, J., & Nam, J. (2009). The Effect of cooperative mentoring on beginning science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9(5), 564-579. 

  17. Gold, Y. (1996). Beginning teacher support: Attrition, mentoring, and induction. In J. Sikula (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2nd ed. (pp. 548-594). New York: Macmillan. 

  18. Hagger, H., & McIntyre, D. (2013). The Management of student teachers' learning: A guide for professional tutors in secondary schools. Routledge. 

  19. Hiebert, J., Gallimore, R., & Stigler, J. W. (2002). A knowledge base for the teaching profession: What would it look like and how can we get one? Educational Researcher, 31(5), 3-15. 

  20. Jeon, H., Yoo, M., Hong, H., & Park, E. (2009). Study on teaching anxiety scien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9(1), 68-78. 

  21. Jung, M., Lee, S., & Nam, J. (2013). The Effect of mentoring on beginning science teacher's perception change in their teaching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7(6), 778-788. 

  22. Koballa, T. R., Bradbury, L. U., Glynn, S., & Deaton, C. M. (2008). Conceptions of science teacher mentoring practice in an alternative certification program.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9(4), 391-411. 

  23. Kwak, Y. (2006). Defini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ways of raising teaching professionalism as examined by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6(4), 527-536. 

  24. Luft, J. A. (2009). Beginning secondary science teachers in different induction programmes: The first year of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17), 2355-2384.zza 

  25. Marable, M., & Raimondi, S. (2007). Teachers' perceptions of what was most (and least) supportive during their first year of teaching. Mentoring and Tutoring: Partnership in Learning, 15(1), 25-37. 

  26. Nam, J., Kim, H., Go, M., & Ko, M. (2010a). The Change in beginning science teachers' inquiry-oriented teaching practice through mentoring progra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0(5), 544-556. 

  27. Nam, J., Ko, M., Lee, S., Ko, M., & Sung, H. (2012). Development of mentoring program model for in-service scienc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2(10), 1613-1626. 

  28. Nam, J., Lee, S., Lim, J., & Moon, S. (2010b). An analysis of change in beginner science teacher's classroom interaction through mentoring progra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0(8), 953-970. 

  29. Orland, L. (2001). Reading a mentoring situation: one aspect of learning to mentor.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7(1), 75-88. 

  30. Osborne, H. D. (1998). Teacher as knower and learner, reflections on situated knowledge in science teach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4), 427-439. 

  31. Smith, T. M., & Ingersoll, R. M. (2004). What are the effects of induction and mentoring on beginning teacher turnover?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41(3), 681-714. 

  32. Piburn, M., & Sawada, D. (2001). Reformed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 (RTOP) training guide (ACEPT Technical Report No. IN00-3). Tempe, AZ: Arizona Collaborative for Excellence in the Preparation of Teachers. 

  33. Schmidt, M. (2008). Mentoring and being mentored: The story of a novice music teacher's succes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4(3), 635-648. 

  34. Schon, D. A.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Basic Books. 

  35. Scho?n, D. A. (1987). Educating the reflective practitioner: Toward a new design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professionals. Jossey-bass publishers, San Francisco, CA. 

  36. Smith, T. M., & Ingersoll, R. M. (2004). What are the effects of induction and mentoring on beginning teacher turnover?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41(3), 681-714. 

  37. Su, J. Z. X. (1992). Sources of influence in preservice teacher socialization. Journal of Education for Teaching, 18(3), 239-258. 

  38. Yusko, B., & Feiman-Nemser, S. (2008). Embracing contraries: Combining assistance and assessment in new teacher induction. The Teachers College Record, 110(7), 1-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