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성인지적장애인 음악치료 중재 현황
The Current State and Implementation of Music Therapy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원문보기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v.13 no.2, 2016년, pp.17 - 30  

오지은 (세브란스 연세암병원 완화의료센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 음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국내 성인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 임상중재의 현황과 중재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성인지적장애인 대상으로 음악치료제공경험이 있고 설문참여에 동의한 음악치료사 39명 가운데 정규 자격증을 취득한 음악치료사 32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음악치료사의 배경정보, 성인지적장애인 음악치료 환경, 형태, 음악치료 진단, 목표설정, 중재전략, 성인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의 어려움에 대해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분석 결과 성인지적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는 사회복지시설, 병원, 음악치료센터 등 다양한 시설에서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음악치료사들이 설정한 주된 음악치료 목표는 상호작용 향상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기관 담당자의 의견과는 일치했지만 음악치료가 소속된 기관의 서비스 항목인 정서 안정과는 일치하지 않았다. 성인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에서 상호작용 향상을 위해 가장 많이 활용된 활동은 악기연주로 나타났고, 음악치료 내에서 음악을 사용할 때 가장 많이 활용한 음악 요소는 형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성인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 중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기관 관련 요인은 기관의 특성이었고, 대상 관련 요인은 기능수준으로 나타났다. 성인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 중재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성인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 진단도구 개발과 기관 담당자와의 원활한 소통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음악치료가 성인지적장애인 대상으로 효과적인 중재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향후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music therapy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D) by conducting a survey of music therapists. Completed surveys from 32 certified music therapists were included for analysi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38 items that asked about the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성인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현황 및 중재 실행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성인지적장애인 음악치료 경험이 있는 전문 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했다. 총 32명의 응답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고, 자료 분석을 통해 성인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의 시행현황, 음악치료 중재 과정, 중재 전략, 중재의 어려움 등 음악치료 중재 전반에 관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의 문항과 관련해 박사과정 이상의 음악치료전문가 2인에 의해 내용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이후 추가로 박사과정 이상 음악치료전문가 3인에게 문항의 타당도에 대한 의견을 서면으로 받아, 설문을 수정 및 보완 했다.
  • 이에 본 연구는 성인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가 실행되는 기관의 특성, 성인지적장애인 이용자의 특성, 음악치료 중재에서의 진단, 목표설정, 중재 전략을 살펴봄으로써 성인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음악치료 중재의 특성과 중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향후 중재의 실행에 대한 필요한 정보를 음악치료사들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 또한, 음악치료과정이 개설된 대학 및 대학원에 공문발송을 통하여 해당 대학의 음악치료 석사과정 졸업생들 중 성인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를 시행여부를 문자와 메일로 문의하였다. 이에 시행하고 있다고 회신한 음악치료사에게 참여의사를 확인하기 위한 안내를 제공하였으며, 동의한 자에 한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설문참여를 수락한 총 40여 명에게 전화 및 이메일 안내를 제공하였으며, 설문 참여에 최종 동의한 39명이 설문대상자에 포함되었다.
  •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성인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 시행 경험이 있는 전문 음악치료사들로 정규 음악치료 과정을 이수하고, 음악중재전문가(사단법인 전국음악치료사협회) 또는 임상음악전문가 1급(사단법인 한국음악치료학회) 자격증을 취득한 자이다. 이에 연구자는 서울 및 경기지역 내 장애인복지시설 중 성인지적장애인 이용자를 포함한 시설에 한하여 음악치료사 고용여부를 온라인상으로 파악하고, 음악치료사가 있는 경우 전화로 설문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였다. 또한, 음악치료과정이 개설된 대학 및 대학원에 공문발송을 통하여 해당 대학의 음악치료 석사과정 졸업생들 중 성인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를 시행여부를 문자와 메일로 문의하였다.
  • ,2008; Isenberg-Grzeda, 1988)에 대한 문항을 포함하였다. 진단에 대하여는 형식화된 진단도구의 사용여부를 확인하여 객관적인 평가 시행여부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하였다. 중재 전략을 파악하기 위한 문항은 음악치료의 표적행동이 되기도 하고 다른 목표 달성을 위한 중재에 방해가 되는 문제행동에 대해 서술하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악치료이란? 음악치료는 전문 음악치료사가 음악을 통해 내담자의 변화를 이끌어 내는 체계적인 중재 과정이며 선행연구들을 통해 입증된 임상적 효과는 음악치료사들의 실제적인 중재실행을 위한 근거자료로 사용된다(American Music Therapy Association, 이하 AMTA, 2013; Chong, 2015). 음악치료 중재의 구성 및 적용에는 임상적 효과 외에도 음악치료 현장의 여러 요인들이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갖게 되는데, 내담자의 개인적 특성과 함께 기관의 환경적 특성 및 운영목적에 맞게 설정된 치료목표, 치료기법 등 다양한 특성들이 반영된다(AMTA, 2013; Davis, Gfeller, & Thaut, 2008; Isenberg-Grzeda, 1988).
성인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에서 상호작용 향상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 활동은? 본 연구에 참여한 음악치료사들이 설정한 주된 음악치료 목표는 상호작용 향상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기관 담당자의 의견과는 일치했지만 음악치료가 소속된 기관의 서비스 항목인 정서 안정과는 일치하지 않았다. 성인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에서 상호작용 향상을 위해 가장 많이 활용된 활동은 악기연주로 나타났고, 음악치료 내에서 음악을 사용할 때 가장 많이 활용한 음악 요소는 형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성인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 중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기관 관련 요인은 기관의 특성이었고, 대상 관련 요인은 기능수준으로 나타났다.
치료사들이 경험하는 중재 진행에서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되어야 하는가? 이를 위한 후속연구에서는 음악치료사의 프로그램 구성 시 내담자군의 특성과 함께 기관의 특성이 어떻게 반영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방안이 고민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전문가 포커스 그룹 연구나 세분화된 조사연구 및 실행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현장의 음악치료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성인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 내 진단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며, 기존의 아동 중심으로 구성된 음악 진단평가도구들의 추가적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merican Music Therapy Association (2013). AMTA code of ethics. Retrieved May 17th, 2015 from http://www.musictherapy.org/about/ethics/ 

  2. Chong, H. J. (2015). Music therapy: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음악치료학의 이해와 적용) (2nd ed.).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3. Davis, W. B., Gfeller, K. E., & Thaut, M. H. (2008). An introduction to music therapy: Theory and practice (3rd ed.). Silver Spring, MA: American Music Therapy Association. 

  4. Eom, M. K. (2015). A study on the music therapy for functional recovery in elderly admitted to long-term nursing care center(장기요양기관 입소노인의 기능회복을 위한 음악프로그램 조사)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5. Hadsell, N. A. (1993). Levels of external structure in music therapy. Music Therapy Perspectives, 11(2), 61-65. 

  6. Hanser, S. B. (1999). The new music therapist's handbook (2nd ed.). Boston: Berklee Press. 

  7. Hooper, J., Wigram, T., Carson, D., & Lindsay, B. (2008). A review of the music and intellectual disability literature (1943-2006): Part two experimental writing. Music Therapy Perspectives, 26(2) 80-96. 

  8. Isenberg-Grzeda, C. (1988). Music therapy assessment: A reflec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Journal of Music Therapy, 25(3), 156-169. 

  9. Jeon, Y. J. (2014). The present state of music therapy in Korea hospital schools(국내 병원학교의 음악치료 현황조사)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0. Jin, S. J (2005). The effect of musical application to develop the emotional expression of mentally retarded adults(성인정신지체인의 감정 표현 향상을 위한 음악 활용의 효과).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2(1), 17-33. 

  11. Kim, H. J. (2013). The effects of group music therapy on the self expression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집단음악치료가 성인지적장애인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Gimhae. 

  12. Kim, J. R. (2006). Special educators and music therapists' recognition of music therapy in special education class in elementary school(초등학교 특수학급 음악치료에 대한 특수교사와 음악치료사의 인식조사).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3(1), 1-11. 

  13. Kim, K. Y. (2010). Differences in subjective caregiving burden among mothers of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cross the life span(지적장애인의 생애주기에 따른 어머니의 돌봄 부담감 차이).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12(2), 283-305. 

  14. Kim, Y. K., & Kim, S. J (2011). The current circumstances of the music therapy services in voucher programs of rehabilitative therapy and servic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장애아동 재활치료 서비스 바우처 사업 내 음악치료 현황).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5(1), 179-204. 

  15. Kim, Y. W., & Yoon, J. H. (2012).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music therapy for impaired children and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장애아동 음악치료 실태와 특수교사의 인식). Journal of Learning Strategy Intervention, 3(1), 31-58. 

  16. Lee, L. D. (2014). The actual condition of music therapy program at Seoul type day-care center(서울형 데이케어센터의 음악치료 프로그램 시행 실태 조사)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17. Park, H. O. (2011). The effect of the community-based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on community use skills and problem behaviors of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지역사회중심 직업교육이 성인 지적장애인의 지역사회 활용기술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The Journal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15(2), 79-94. 

  18. Park, J. M. (2011). Singing activities and improvement self-expressions for intellectuallydisabled adults(지적장애성인의 자기표현 증진을 위한 노래 부르기 활동) (Unpublished master's thesis). Pyeongtaek University, Pyeongtaek. 

  19. Yoon, M. S. (2013). The study of social service needs and policy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eoul(서울시 성인 발달장애인의 사회서비스욕구와 정책과제). (2013-PR-14). Retrieved from https://www.si.re.kr/sites/default/files/2013-PR-14.pdf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