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호적 악기 연주 프로그램이 자폐범주성장애 성인의 사회적 상호작용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Interactive Instrument Playing Program on Social Interaction of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원문보기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v.13 no.1, 2016년, pp.89 - 110  

조수진 (성분도단기보호시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그룹홈에 거주하는 자폐범주성장애 성인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상호적 악기연주 프로그램이 사회적 상호작용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발달장애 주간보호센터에 소속된 공동생활가정(그룹홈)에 거주하는 20대 후반 자폐범주성장애 1급 성인 남성 3명이다. 단일대상연구설계 중 참여자간 중다기초선설계를 적용하여 총 3개월 동안 각 참여자별로 기초선, 중재, 유지 구간을 포함하여 총 25회기 세션이 실시되었다. 중재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전에 조작적으로 정의된 상호작용 시도 행동과 반응 행동을 매회 기 촬영된 동영상 자료를 바탕으로 관찰 및 측정하였다. 각 참여자는 음악적 환경 안에서 사회적 상호작용 시도 및 반응 행동 시점을 알려주는 음악구조와 큐에 의해 구조화된 상호적 악기 연주에 참여하였는데, 중재 이후 모든 참여자의 상호작용 시도 행동, 반응 행동 발생률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상호적 악기 연주가 자폐범주성장애 성인의 자발적 상호작용 행동을 유도하는 데 효과적인 중재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음악적으로 전달된 사회적 정보가 사회적 맥락 안에서 타그룹원의 의도를 이해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에 참여하도록 촉진하는 효과적인 매체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향후 자폐범주성장애 성인의 사회성 향상뿐만 아니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음악치료 중재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적용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n interactive instrument playing program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 single subject design with multiple baselines across participants was applied, and three adults with severe ASD in their late 20s living at a group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소규모 공동생활가정(그룹홈)에 거주하고 있는 ASD 성인들의 상호작용기능 향상을 목적으로 상호적 악기 연주를 이용한 그룹 음악치료 중재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구조화된 음악과 음악적 큐를 이용한 음악적 자극이 ASD 성인들의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므로 연구자의 언어 개입을 최소화하였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음악 활동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이 아닌 음악적 큐를 이용한 무율, 유율타악기 즉흥 연주로 프로그램을 단순화하여 상호적 악기연주가 비구어 ASD 성인들의 상호작용 활동 유발에 효과적인 자극제가 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중재 기간에 이루어지는 상호적 악기 연주 활동에서의 음악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 [Table 1]의 연구 참여자의 기초적 특성에서 볼 수 있듯이 다양한 인지적, 언어적, 정서적 기반을 가지고 있고 공통적으로는 낮은 사회인지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들이 성공적인 활동을 통한 사회적 상호작용의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도록 음악 중재 내용을 최대한 단순화하여 상호적 악기연주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구조화된 음악과 음악적 큐를 이용한 음악적 자극이 ASD 성인들의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그룹홈 거주 ASD 성인의 사회적 상호작용 기능 향상을 위한 상호적 악기연주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은 [Table 2]와 같다.
  • 본 연구는 구조화된 음악과 음악적 큐를 이용한 음악적 자극이 ASD 성인들의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므로 연구자의 언어 개입을 최소화하였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음악 활동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이 아닌 음악적 큐를 이용한 무율, 유율타악기 즉흥 연주로 프로그램을 단순화하여 상호적 악기연주가 비구어 ASD 성인들의 상호작용 활동 유발에 효과적인 자극제가 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상호적 악기 연주 프로그램이 그룹홈 거주 ASD 성인의 사회적 상호작용 시도 행동 및 반응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중재 개입 개발과 효과성 검증에 있어 상대적으로 적은 관심을 받았던 ASD 성인을 대상으로 사회적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보여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음악을 통한 상호 작용에 기반을 둔 그룹 형태의 프로그램이 개개인의 언어 기능 수준과 관계없이 가족을 떠나 타인과 공동생활을 하며 대부분의 시간을 함께 보내는 그룹홈 ASD 성인들에게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ASD 성인의 사회적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국내 음악중재 프로그램 선행연구의 부족으로, Walton & Ingersoll (2013)이 제시한 중증 ASD 성인들의 사회 기술향상을 위한 기법들 중 발달/관계 기반 중재인 집중적 상호작용 훈련을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의 상호적 악기연주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연구 참여자들이 함께 사는 사람들과 악기를 연주함으로써 사물(악기)과 타인의 존재를 인식하고, 연구자뿐만 아니라 함께 참여하는 그룹원들이 제시하는 음악적 흐름을 의식하여 자발적으로 연주의 시작과 멈춤, 악기 전달하기 등의 타인과의 상호작용이 시도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프로그램이다.

가설 설정

  • 둘째, 상호적 악기연주 중재가 ASD 성인의 타그룹원과의 사회적 상호작용 반응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폐범주성장애는 어떤 장애인가? 자폐범주성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이하 ASD)는 신경발달장애의 하나로, 사회적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에서 지속적인 결함을 보이고 행동이나 관심, 활동 등에서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패턴을 나타내는 장애이다(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이들은 타인의 생각이나 감정을 읽고 이해하거나 행동을 예측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성인기에 접어들수록 다른 장애군보다 사회적으로 고립될 가능성이 높다.
자폐범주성장애가 다른 장애군보다 사회적으로 고립될 가능성이 높은 이유는? 자폐범주성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이하 ASD)는 신경발달장애의 하나로, 사회적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에서 지속적인 결함을 보이고 행동이나 관심, 활동 등에서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패턴을 나타내는 장애이다(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이들은 타인의 생각이나 감정을 읽고 이해하거나 행동을 예측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성인기에 접어들수록 다른 장애군보다 사회적으로 고립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의사소통기술이나 사회기술이 저하되고 있고 부모와 거주하고 있어 지역 사회와의 교류가 적을수록 고립 수준이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Orsmond, Shattuck, Cooper, Sterzing, & Anderson, 2013).
ASD 성인의 사회적 상호작용 결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은 무엇인가? 대다수 ASD 성인의 사회적 상호작용 결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감각 정보의 처리과정에서의 오류를 들 수 있다(Crane, Goddard, & Pring, 2009). 또한 감각 정보처리의 이상이 ASD 성인의 언어 지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는데(Mayer & Heaton, 2014) 이는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어렵게 한다(Robertson & Simmons,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Arlington, VA: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2. Boso, M., Emanuele, E., Minazzi, V., Abbamonte, M., & Politi, P. (2007). Effect of long-term interactive music therapy on behavior profile and musical skills in young adults with severe autism. The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13(7), 709-712. 

  3. Carnahan, C., Musti-Rao, S., & Bailey, J. (2009). Promoting active engagement in small group learning experiences for students with autism and significant learning needs. Education and Treatment of Children, 32(1), 37-61. 

  4. Cho, J. E. (2009). A study of the effects of a music therapy program on the social interactions of autistic children. Journal of Music Education Science, 8, 135-152. 

  5. Choi, S. H. & Ju, S. J. (2012). Effects of music therapy on interaction between child with developmental disorder and mother.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Autism, 12(1), 119-137. 

  6. Chong, H. J. (2002). Music therapy for children with autis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Autism, 4(1), 57-64. 

  7. Crane, L., Goddard, L., & Pring, L. (2009). Sensory processing in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utism, 13(3), 215-228. 

  8. Finnigan, E., & Starr, E. (2010). Increasing social responsiveness in a child with autism: A comparison of music and non-music interventions. Autism, 14(4), 321-348. 

  9. Gold, C., Wigram, T., & Elefant, C. (2006). Music therapy for autistic spectrum disorder.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 2006(2), CD004381. doi:10.1002/14651858.CD004381.pub2. 

  10. Gooding, L. F. (2011). The effect of a music therapy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on improving social compete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social skills deficits. Journal of Music Therapy, 48(4), 440-462. 

  11. Holloway, S. D., & Reichhart-Erickson, M. (1988). The relationship of day care quality to children’s free-play behavior and social problem-skill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1), 39-53. 

  12. Hong, E. S. & Kim, U. J. (2012). The effects of the after-school music activities on the social interactions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14(4), 1-25. 

  13. Kaplan, R. S., & Steele, A. L. (2005). An analysis of music therapy program goals and outcomes for clients with diagnoses on the autism spectrum. Journal of Music Therapy, 42(1), 2-19. 

  14. Kern, P., & Aldridge, D. (2006). Using embedded music therapy interventions to support outdoor play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in an inclusive community based child care program. Journal of Music Therapy, 43(4), 270-294. 

  15. Kim, S. J. & Kwak, E. M. (2009). Literature review of music therapy for language development among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ASD). Korean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Autism, 9(2), 97-110. 

  16. LaGasse, A. B. (2014). Effects of a music therapy group intervention on enhancing social skills in children with autism. Journal of Music Therapy, 51(3), 250-275. 

  17. Lee, S. H. & Odom, S. L. (1996). The relationship between stereotypic behavior and peer social interaction for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Research and Practice for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21(2), 88-95. 

  18. Lee, S. R. (2013). A study on comparing the disparity of responses to joint attention among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autism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9. Mayer, J. L., & Heaton, P. F. (2014). Age and sensory processing abnormalities predict declines in encoding and recall of temporally manipulated speech in high-functioning adults with ASD. Autism Research, 7(1), 40-49. 

  20. Orsmond, G. I., Shattuck, P. T., Cooper, B. P., Sterzing, P. R., & Anderson, K. A. (2013). Social participation among young adults with an autism spectrum disorder.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43(11), 2710-2719. 

  21. Park, M. H. (2006). Effect of musical treatment on decrease of autistic tendency and development of autistic children.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7(1), 121-137. 

  22. Park, S. Y. (2012). The trends of music therapy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 Using journals in korea from 2002 to 2011.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19(1), 97-117. 

  23. Robertson, A. E., & Simmons, D. R.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sensitivity and autistic traits in the general population.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43(4), 775-784. 

  24. Sussman, J. E. (2009). The Effect of Music on Peer Awareness in Preschool Ag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urnal of Music Therapy, 46(1), 53-68. 

  25. Walton, K. M., & Ingersoll, B. R. (2013). Improving social skills in adolescents and adults with autism and severe to profound intellectual disability: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43(3), 594-615. 

  26. Whipple, J. (2004). Music in interventio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utism: A meta-analysis. Journal of Music Therapy, 41(2), 90-106. 

  27. Wigram, T., & Gold, C. (2006). Music therapy in th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autistic spectrum disorder: Clinical application and research evidence.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32(5), 535-542. 

  28. Yoo, G. E. (2009). The therapeutic use of music for social communication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autis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Autism, 9(2), 61-72. 

  29. Yoo, G. E. (2014). Differential response to joint attention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depending on the level of attentional cues.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1(1), 21-37. 

  30. Yoon, M. S. (2013). Current status of services and policy strategy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eoul. The Report of Policy, 154, 1-17. Retrieved from http://www.dbpia.co.kr/Article/NODE0229440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