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determine the prediction possibility of heavy rainfall, a variety of analyses was conducted by using three-dimensional data obtained from Korea Local Analysis and Prediction System (KLAPS) re-analysis data. Strong moisture convergence occurring around the time of the heavy rainfall is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수치모델에서 산출되는 다양한 변수들(역학변수, 열역학변수)의 정량적 값들을 추출하여 시간에 따른 변동 특성이나 경향 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집중호우 발생과 연관성이 있는 변수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변수들의 변동 특성 등을 이용하여 집중호우의 예측이나 진단 등에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안정지수란 무엇인가? 불안정지수는 두 개 이상의 기압면의 온도, 이슬점 온도 등을 이용하여 대기의 불안정한 정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집중호우의 특성이나 예측을 위해서 많은 종류의 불안정지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K-index (KI: George, 1960)는 주로 여름철 해양성 열대기단의 영향을 받을 때 나타나는 호우와 뇌우를 진단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K-index는 어디에 활용할 수 있는가? 이 지수는 중층 이하 대기층의 불안정 요소를 진단하기 위해 3개 층의 기온과 2개 층의 노점온도를 사용한다. 해양성 열대기단인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을 받는 여름철 호우 및 뇌우 진단을 위해 KI를 활용할 수 있다. Showalter Stability Index (SSI: Showalter, 1953)는 계산식이 간단하고 편리하여 일반적으로 대기불안정 상태를 진단하고 예측하는데 많이 활용되고 있다.
대류불안정은 어디에 주로 이용되는가? 강한 대류불안정과 대기 하층의 강한 연직바람시어(Vertical Wind Shear)의 존재는 스톰이 발생하기 좋은 조건이 된다. 대류불안정은 강한 스톰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하층 연직 바람시어는 발생한 스톰의 형태와 지속 시간을 결정하는데 주로 이용된다(Kim and Ham, 2009). 현업이나 예보를 위한 집중호우 예측(진단)은 대류가용잠재에너지(Convective Available Potential Energy: CAPE; Doswell and Rasmussen, 1994), 불안정 파라메터(Instability parameters - Lifting Condensation Level, Lifted Index, Convective Inhibition), 바람쉬어(Wind Shear; Richards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lark, A. J., J. Gao, P. T. Marsh, T. Smith, J. S. Kain, J. Correia Jr., M. Xue, and F. Kong, 2013: Tornado path length forecasts from 2010 to 2011 using ensemble updraft helicity. Wea. Forecasting, 28, 387-407. 

  2. Davies-Jones, R., 1984: Streamwise vorticity: The origin of updraft rotation in supercell storms. J. Atmos. Sci., 41, 2991-3006. 

  3. Davies-Jones, R., D. W. Burgess, and M. Foster, 1990: Test of helicity as a forecast parameter. Preprints, 16th Conf. on Severe Local Storms, Kananaskis Park, AB, Canada, 588-592. 

  4. Djuric, D., 1994: Weather Analysis, Prentice-Hall Inc., 304 pp. 

  5. Doswell III, C. A., and E. N. Rasmussen, 1994: The effect of neglecting the virtual temperature correction on CAPE calculations. Wea. Forecasting, 9, 625-629. 

  6. Edwards, R., and R. L. Thompson, 1998: Nationwide comparison of hail size with WSR-88D vertically integrated liquid water (VIL) and derived thermodynamic sounding data. Wea. Forecasting, 13, 277-285. 

  7. George, J. J., 1960: Weather Forecasting for Aeronautics. Academic Press, 673 pp. 

  8. Greene, D. R., and R. A. Clark, 1972: Vertically integrated liquid water-a new analysis tool. Mon. Wea. Rev., 100, 548-552. 

  9. Huschke, R. E., 1970: Cloud height. In T. S. Glickman 2nd Ed., Glossary of Meteorology.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Retrieved from August 24, 2013. 

  10. Jang, M., C. H. You, J. B. Jee, S. H. Park, S. I. Kim, and Y. J. Choi, 2016: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heavy rainfall using KLAPS re-analysis data. Atmosphere, 26, 97-10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Jung, S. P., S. R. In, H. W. Kim, J. K. Sim, S. O. Han, and B. C. Choi, 2015: Classification of atmospheric vertical environment associated with heavy rainfall using long-term radiosonde observational data, 1997-2013. Atmosphere, 25, 611-6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ato, T., 1998: Numerical simulation of the band-shaped torrential rain observed over southern Kyushu, Japan on 1 August 1993. J. Meteor. Soc. Japan, 76, 97-123. 

  13. Kim, D. W., Y. H. Kim, K. H. Kim, S. S. Shin, D. K. Kim, Y. J. Hwang, J. I. Park, D. Y. Choi, and Y. H. Lee, 2012: Atmospheric vertical structure of heavy rainfall system during the 2010 summer intensive observation period over Seoul metropolitan area. J. Korean Earth Sci., 33, 148-161. 

  14. Kim, K. H., Y. H. Kim, and D. E. Chang, 2009: The analysis of Changma structure using radiosonde observational data from KEOP-2007: Part II. The dynamic and thermodynamic characteristics of Changma in 2007. Atmosphere, 19, 297-3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Y. C., and S. J. Ham, 2009: Heavy rainfall prediction using convective instability index. J. Korean Soc. Aviat. Aeronaut., 17, 17-23. 

  16. KMA, 2011: Forecasting techniques caught in the hand. Instability Index. No. 3, 2 pp (in Korean). 

  17. Kwon, T. Y., J. S. Kim, and B. G. Kim, 2013: Comparison of the properties of Yeongdong and Yeongseo heavy rain. Atmosphere, 23, 245-26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ftwich, P. W., 1990: On the use of helicity in operational assessment of severe local storm potential. Preprints, 16th Conf. on Severe Local Storms, Kananaskis Park, AB, Canada, 269-274. 

  19. Maddox, R. A., 1979: A methodology for forecasting heavy convective precipitation and flash flooding. Nat. Wea. Dig., 4, 30-42. 

  20. NIMS, 2009: Development of very short-range prediction system for severe weather.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Sciences, 277 pp (in Korean). 

  21. NIMS, 2012: Improvement of prediction skills in very short, short and mid-term for severe weather (IV).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Sciences, 86 pp (in Korean). 

  22. Park, C. G., and T. Y. Lee, 2008: Structure of mesoscale heavy precipitation systems originated from the changma front. Atmosphere, 18, 317-3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Rasmussen, E. N., and D. O. Blanchard, 1998: A baseline climatology of sounding-derived supercell and tornado forecast parameters. Wea. Forecasting, 13, 1148-1164. 

  24. Richardson, Y. P., K. K. Droegemeier, and R. P. Davies-Jones, 2007: The influence of horizontal environmental variability on numerically simulated convective storms. Part I: Variations in vertical shear. Mon. Wea. Rev., 135, 3429-3455. 

  25. Showalter, A. K., 1953: A stability index for thunderstorm forecasting. Bull. Amer. Meteor. Soc., 34, 250-252. 

  26. Spellman, F. R., 2013: The handbook of Meteorology. Scarecrow Press, 33 pp. 

  27. Thompson, R. L., R. Edwards, J. A. Hart, K. L. Elmore, and P. Markowski, 2003: Close proximity soundings within supercell environments obtained from the rapid update cycle. Wea. Forecasting, 18, 1243-1261. 

  28. Thompson, R. L., C. M. Mead, and R. Edwards, 2007: Effective storm-relative helicity and bulk shear in supercell thunderstorm environments. Wea. Forecasting, 22, 102-1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