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잎 분말 첨가량에 따른 청포묵의 항산화 특성
Antioxidant Properties of the Lotus Leaf Powder Content of Cheongpomuk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2 no.7 = no.82, 2016년, pp.112 - 130  

문정희 (세종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  홍기운 (혜전대학교 호텔조리외식계열) ,  유승석 (세종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연잎의 다양한 효능을 가공식품에 활용하여 기능성 식품으로 연잎 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청포묵의 수분, 색도, 저장기간에 따른 색도, 이수율, Texture,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DPPH 소거능, 기호도 조사를 분석 실시하였다. 연잎 분말 첨가량에 따른 청포묵의 저장기간에 따른 Texture의 경우, 경도(hardness)는 제조한 직후에 Control 첨가구는 $0.38g/cm^2$, CCD 1% 첨가구는 $0.40g/cm^2$, CCD 3% 첨가구는 $0.42g/cm^2$, CCD 5%는 $0.37g/cm^2$, GGD 1% 첨가구는 $0.42g/cm^2$, GGD 3% 첨가구는 $0.39g/cm^2$, GGD 5% 첨가구는 $0.35g/cm^2$, JLD 1% 첨가구는 $0.39g/cm^2$, JLD 3% 첨가구는 $0.33g/cm^2$, JLD 5% 첨가구는 $0.32g/cm^2$로 JLD 5% 첨가구는 가장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CCD 3% 첨가구와 GGD 1%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각각의 시료 간에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연잎 분말 첨가량에 따른 청포묵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GGD 5%의 첨가구는 Control의 첨가구에 비해 약 22배의 증가량을 나타내었으며 연잎 분말의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시료간의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DPPH radical 소거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Control 첨가구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6.65 mg CE/100 g을 나타내었으며, CCD 1%의 첨가구는 7.48 mg CE/100 g, CCD 3%의 첨가구는 15.82 mg CE/100 g, CCD 5%의 첨가구는 20.15 mg CE/100 g, GGD 1%의 첨가구는 15.55 mg CE/100 g, GGD 3%의 첨가구는 23.02 mg CE/100 g, GGD 5%의 첨가구는 26.95 mg CE/100 g, JLD 1%의 첨가구는 3.92 mg CE/100 g, JLD 3%의 첨가구는 16.72 mg CE/100 g, JLD 5%의 첨가구는 26.58 mg CE/100을 나타내었다. 연잎 분말 첨가량에 따른 청포묵의 두 그룹 간의 색과 향, 맛, 탄력성, 전체적인 기호도를 분석한 결과, 조리 전문 강사 그룹과 조리학과 학생부간의 색은 조리 전문 강사 그룹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향과 맛, 탄력성,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 지역별 연의 생육 조건 및 재배 환경에 따라 연잎 분말을 이용한 가공식품에 유용하게 활용되어 다양한 기능성 식품을 개발 할 수 있으리라 생각되며, 연잎 청포묵 제조시 전체적으로 3% 연잎 분말이 가장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moisture content and chromaticity of fresh made lotus leaf powder added Cheongpomuk to utilize various efficacy of lotus leaf for processed food, as well as chromaticity, moisture content change, texture,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prefer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잎의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효능과 화합물의 조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DPPH radical 소거능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Park CH et al 2007)하여 청포묵의 제조에 적합한 연잎 분말의 첨가 비율을 제시하고, 남녀노소뿐만 아니라 다이어트에 관심이 많은 신세대로 확대할 수 있는 기능성 청포묵의 제품화를 위한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잎은 민간치료제로 무엇에 사용되는가? 연(Nelumbo nucifera)은 인도와 중국을 중심으로 열대, 온대의 동부아시아를 비롯한 한국, 일본 등에 널리 분포하는 고생대의 식물로(Yoon SJ 2007) 연잎은 하엽(荷葉)이라 하여 여름과 가을에 채취하여 물기를 제거하기 위해 햇볕에 말린 후 잎꼭지를 제거하여 반원 또는 부채꼴로 접어 다시 말린다(Park BH at el 2009). 연잎은 맛이 쓰고, 성질은 유하며, 예로부터 출혈성 위궤양이나 위염, 치질, 출혈, 설사, 두통과 어지럼증, 토혈, 산후 어혈치료, 야뇨증, 해독작용에 쓰여 민간치료제로 사용하여 왔다(Park BH at el 2009).
녹두 전분으로 만든 청포묵의 품질 특성은? 묵은 원재료로 사용하였던 열매 혹은 곡식의 전분 추출과정을 볼 때 우리 민족의 뛰어난 가공 기술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경이 시작되기 이전부터 가장 오랫동안 식용되어오던 가공식품의 원형이기 때문에 우리나라 고유의 대표적인 전통식품이다(Cha JA at el 2008). 특히 녹두전분으로 만든 청포묵은 비교적 낮은 전분함량에서 겔(gel)형성 능력이 뛰어나고, 표면이 매끈하여 탄성이 크고 부드러우며, 어느 정도의 힘이 가해지면 크게 몇 조각으로 부서지는 절단성을 가지는 독특한 물성을 갖고 있다(Joo NM at el 1991).
묵이 전통식품인 이유는? 묵은 원재료로 사용하였던 열매 혹은 곡식의 전분 추출과정을 볼 때 우리 민족의 뛰어난 가공 기술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경이 시작되기 이전부터 가장 오랫동안 식용되어오던 가공식품의 원형이기 때문에 우리나라 고유의 대표적인 전통식품이다(Cha JA at el 2008). 특히 녹두전분으로 만든 청포묵은 비교적 낮은 전분함량에서 겔(gel)형성 능력이 뛰어나고, 표면이 매끈하여 탄성이 크고 부드러우며, 어느 정도의 힘이 가해지면 크게 몇 조각으로 부서지는 절단성을 가지는 독특한 물성을 갖고 있다(Joo NM at el 199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iation of Official Chemist. Washington D.C. 942.4. 

  2. Jeong HH, Jeong JH, Choi HS, Cho JS (2010). A study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onpomuk with the addition of flour of bokbunj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155-155. 

  3. Jin YH, Jo JO, Moon HY (2008). A study on the effect of traditional food acce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with food majors in Seoul on menu development. Korean Food Culinary Res 14(4): 176-187. 

  4. Joo NM, Chun HJ (1991). Effect of oil addition on texture of mungbean starch gel.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 8(1):21-25. 

  5. Kim AJ, Han MR, Rho JO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pomook prepared with different levels of mungbean powder. Korean Joumal of Human Ecology 20(6):1229-1237. 

  6. Kim AJ, Lim YH, Kim MH, Kim MW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bean starch gels added with green tea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2(2)135-140. 

  7. Kim AJ, Shin SM, Joung KH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ungpomook using black ginseng extrac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9):3994-4000. 

  8. Kim AJ, Joung KH, Shin SM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ungpomook using black garlic extrac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6):2685-2690. 

  9. Kim EM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 bean starch jellies made with different levels of white lotus steam juic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6):943-949. 

  10. Kim MJ (2011). Antioxidant Activity by Total Poly-phenolic Contents of Regularly Consumed 60 Vegetables and Fruits in Korea.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11. Kim SJ, Han YS (1998). Effect of green laver on the extention of shelf-life of Muk(starch Jelly). Korean J Soc Food Scl 14(1):119-123. 

  12. Park BH, Cho HS, Jeon ER, Kim SD, Koh KM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curd prepared with lot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4(3):315-320. 

  13. Park BH, Jeon ER, Kim SD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Jook prepared with lot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1):55-61. 

  14. Park CH, Hur JM, Song KS, Park JC (2007). Phenolic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Nelumbo nucifera showing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Kor J Pharmacogn 38(3):263-269. 

  15. Park JH, Yoo SS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same mook(Gomadoufu) with various starch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4(2):224-233. 

  16. Park JH, Kim EM (2010).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 bean starch jelly with white lotus(Nelumbo nucifera) root powder added.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6 (1):180-190. 

  17. Park JH, Mun SK, Sung KH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same mook(Gomadoufu) with different cultivation locations for sesam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5(1):121-130. 

  18. Na HS, Oh GS, Kim SK (2002). Properties of acorn mook with various soaking conditions. Korean J Food Scl Technol 34(2):207-212. 

  19. Son GO, Lee SJ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bean starch gel added with Salicornia herbacea L.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4(4):472-480. 

  20. Yoon SJ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tteok added with lot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4):433-4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