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벌나무 잎의 영양성분 및 이화학 특성
Nutrition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cer termentosum Maxim. Leaf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2 no.8 = no.83, 2016년, pp.27 - 38  

박성진 (한림성심대학교 관광외식조리과) ,  신언환 (울산과학대학교 호텔외식조리과) ,  김동호 (혜전대학교 제과제빵과) ,  나영아 (을지대학교 식품산업외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벌나무 잎의 영양성분 및 총 페놀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고, 다양한 항산화 모델(DPPH radical scavenging, ABTS radical scavenging, FRAP activity, reducing power)을 통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식품소재의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실시되었다. 벌나무 잎 100 g(dry weight basis)중에는 수분 12.0%, 탄수화물 53.6%, 조단백 24.3%, 조지방 3.5%, 조회분 3.5%가 함유되어 있었으며, 총 식이섬유의 함량은 46.7%, 총 열량은 246.5 kcal로 분석되었다. 무기질 함량은 칼륨(2,234.5 mg), 칼슘(1,396.5 mg), 마그네슘(707.9 mg), 인(400.0 mg)의 순으로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미량영양소인 철분, 망간, 구리 및 아연 함량도 각각 26.7 mg, 32.6 mg, 1.3 mg 및 5.4 mg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벌나무 잎에서 분석된 유리당은 fructose(3.6%), glucose(2.4%), sucrose(0.9%)를 나타내었으며, lactose는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벌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총 페놀함량은 $116.35{\pm}1.4mg/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0.3{\pm}1.2mg/g$으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항산화 평가 모델(DPPH, FRAP, 환원력, ABTS)을 통하여 벌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벌나무 잎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능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결과로 비추어 볼 때, 벌나무 잎 추출물들에 함유된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의 조성 및 함량의 차이가 이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벌나무 잎의 식품소재화 하는 연구는 산업적으로 많은 잠재력을 지닌 것으로 생각되어지며, 안전성 및 기능성 구명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nutrient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cer termentosum Maxim. leaf as a natural health food source.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general and antioxidative contents of Acer termentosum Maxim leaf were measured. Total contents of carbohydrates, crude protein,...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벌나무 잎의 식품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일반성분, 무기질 조성, 유리당 조성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체내에서 생리활성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기능성 물질의 함량을 분석하여 향후 벌나무의 유효성을 평가하는데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벌나무 잎의 식품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일반성분, 무기질 조성, 유리당 조성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체내에서 생리활성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기능성 물질의 함량을 분석하여 향후 벌나무의 유효성을 평가하는데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벌나무 잎의 성분 분석 및 항산화활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벌나무 잎의 성분 및 영양성분 등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고, 항산화활성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벌나무 잎의 영양성분 및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고, 다양한 항산화 모델(DPPH radical scavenging, ABTS radical scavenging, FRAP activity, reducing power)을 통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식품소재의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벌나무는? 벌나무(Acer tegmentosum Maxim.)는 단풍나무과에 속하며, 국내의 고산지대에 분포하고 있으며,산겨릅나무, 산저릅나무, 봉목, 산청목으로 불린다. 벌나무는 민간에서 간질환 치료에 효과가 있으며,특히 간에쌓인 독을해독하여 간세포를살리는 효능이 있고, 이뇨작용 또한 강하여 신장염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왔다(Hong et al.
벌나무 잎의 식품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분석한 것은?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벌나무 잎의 식품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일반성분, 무기질 조성, 유리당 조성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체내에서 생리활성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기능성 물질의 함량을 분석하여 향후 벌나무의 유효성을 평가하는데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단풍나무과에 속하는 벌나무를 민간에서 어떤 치료법으로 이용하는가? )는 단풍나무과에 속하며, 국내의 고산지대에 분포하고 있으며,산겨릅나무, 산저릅나무, 봉목, 산청목으로 불린다. 벌나무는 민간에서 간질환 치료에 효과가 있으며,특히 간에쌓인 독을해독하여 간세포를살리는 효능이 있고, 이뇨작용 또한 강하여 신장염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왔다(Hong et al.,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 AOAC. (1996).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Intl.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ommunities, Gaithersburg, MD, USA, p. 71-73. 

  3. Bae, S. M., Kim, J. H., Cho, C. W., Jeong, T. J., Ha, J. U., & Lee, S. C. (2001). Effect of microwave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ice processed by-produ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6), 1026-1032. 

  4. Bashan, N., Kovsan, J., Kachko, I., Ovadia, H., & Rudich, A. (2009). Positive and negative regulation of insulin signaling by reactive oxygen and nitrogen species. Physiol Rev, 89(1), 21-71. 

  5. Biglari, F., AlKarkhi, A. F., & Easa, A. M.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ntent of various date palm (Phoenix dactylifera) fruits from Iran. Food Chem, 107(4), 1636-1641. 

  6. Cappuccio, F. P., & MacGregor, G. A. (1991). Does potassium supplementation lower blood pressure? A meta-analysis of published trials. J Hypertens, 9(5), 465-473. 

  7. Cha, W. S., Kim, C. K., & Kim, J. S. (2002). O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health beverages using Citrus reticulate, Ostrea glgas. Korean J Biotechnol Bioeng, 17(5), 503-507. 

  8. Choi, M. S., Do, D. H., & Choi, D. J. (2002). The effect of mixing beverage with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root on blood pressure and blood constituents of the diabetic and hypertensive elderly. Korean J Food & Nutr, 15(2), 165-172. 

  9. Cho, Y. J., Ju, I. S., Kim, B. C., Lee, W. S., Kim, M. J., Lee, B. G., An, B. J., Kim, J. H., & Kwon, O. J. (2007). Biological activity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3), 198-203. 

  10. Choi, K. S., & Lee, H. Y. (1999). Characteristics of useful components in the leaves of Baechohyang (Agastache rugosa O. Kuntz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2), 326-322. 

  11. Custodio, L., Ferreira, A. C., Pereira, H., Silvestre, L., Vizetto-Duarte, C., Barreira, L., & Varela, (2012). The marine halophytes Carpobrotus edulis L. and Arthrocnemum macrostachyum L. are potential sources of nutritionally important PUFAs and metabolites with antioxidant, metal chelating and anti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ies. J Bot Mar, 55(3), 281-288. 

  12. Duval, B., & Shetty, K. (2001).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 (Pisum sativum) 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med andise root extract. J Food Biochem, 25(5), 361-377. 

  13. Goldberg, I. (1994). Functional Foods. Chapman & Hall Press. New York. NY. USA. pp. 3-550. 

  14.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ils. JAOCS, 58(11), 966-967. 

  15. Heijnen, C. G., Haenen, G. R., van Acker, F. A., van der Vijgh, W. J., & Bast, A. (2011). Flavonoids as peroxynitrite scavengers: The role of the hydroxyl groups. Toxicol In Vitro, 15(1), 3-6. 

  16. Han, S. M. (2001). Studies on the functional components and cooking aptitude for medicinal tea of Chrysanthemum indicum L. M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17. Hur, J. M., Jun, M., Yang, E. J., Choi, S. H., Park, J. C., & Song, K. S. (2007). Isolation of isoprenoid compounds from the stems of Acer tegmentosum Max. Kor J Pharmacogn, 38(1), 67-70. 

  18. Jayaprakasha, G. K., Singh, R. P., & Sakariah, K. K. (2001). Antioxidant activity of grape seed (Vitis vinifera) extracts on peroxidation models in vitro. Food Chem 73(3):285-290. 

  19. Jeong, J. W., Lee, Y. C., Jung, S. W., & Lee, K. M. (1994). Flavor components of citron juice as affected by the extraction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26(6), 709-712. 

  20. Kim, E. Y., Baik, I. H., Kim, J. H., Kim, S. R., & Rhyu, M. 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21. Hong, B. K., Eom, S. H., Lee, C. O., Lee, J. W., Jeong, J. H., Kim, J. K., Cho, D. H., Yu, C. Y., Kwon, Y. S., & Kim, M. J. (2007). Biological activities and bioactive compounds in the extract of Acer tegmentosum Maxim. stem. Korean J Medicinal Corp Sci, 15(4), 296-303. 

  22. Kim, J. H., Park, J. H., Park, S. D., Choi, S. Y., Seong, J. H., & Moon, K. D. (2002). Prepar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ealth drink with extract powders from safflower seed. Korean J Food Sci Technol, 34(4), 617-624. 

  23. Kwon, H. N., Park, J. R., & Jeon, J. R. (2008). Antioxidative and hepatopretective effects of Acer tegmentosum M.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1), 1389-1394. 

  24. Li, H., Choi, Y. M., Lee, J. S., Park, J. S., Yeon, K. S., & Han, C. D. (2007). Drying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the shiitake(Lentinus edodes) mushroom in a conveyer-type far-infrared dry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2), 250-254. 

  25. Middleton, E. J., & Kandaswami, C. (1994). Potential health promoting properties of citrus flavonoids. Food Technol, 48(11), 115-119. 

  26. Moreno, M. I. N., Isla, M. I. N., Sampietro, A. R., & Vattuone, M. 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ana. J Enthropharmacology, 71(1-2), 109-114. 

  27. Pietta, P. G. (2000). Flavonoids as antioxidants. J Nat Prod, 63(7), 1035-1042. 

  28. Park, S. H., & Han, J. H. (2003). The effects of uncooked powdered food on nutrient intake, serum lipid level, dietary behavior and health index in healthy women. J Nutr, 36(1), 49-63. 

  29. Park, S. J., Lee, D. W., Park, S. H., & Rha, Y. A. (2016). Quality Characteristics of Cirsium setidens. 

  30. Park, S. J., Lee, D. W., Park, S. H., & Rha, Y.-A. (2016). Quality characteristics of Cirsium setidens Nakai by different drying method.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22(2), 104-114. 

  31. Rha, Y. A., Choi, M. S., & Park, S. J. (2014).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fermented Rhus verniciflua.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20(3), 137-147. 

  32. Seo, M. W., Jeong, S. I., Shin, C. G., & Ju, Y. S. (2003). The morphological standard and isolation and structure elucidation of radical scavengers from Chrysanthemum indicum L. Korean J Herbology, 18(1), 133-144. 

  33. Shin, D. B., Lee, D. W., Yang, R., & Kim, J. A. (2006). Antioxidative properties and flavonoids contents of matured Citrus peel extracts. Food Sci Biotechnol, 15(3), 357-362. 

  34. Shin, I. C., Sa, J. H., Shim, T. H., & Lee, J. H. (2006).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nd cytotoxic effects of Acer tegmentosum Maxim.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4), 322-327. 

  35. Stagos, D., Portesis, N., Spanou, C., Mossialos, D., Aligiannis, N., Chaita, E., Panagoulis, C., Reri, E., Skaltsounis, L., Tsatsakis, A. M., & Kouretas, D. (2012). Correlation of total polyphenolic content with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24 extracts from Greek domestic lamiaceae species. Food Chem Toxicol, 50(11), 4115-4124. 

  36. Surh, J. H., Kim, J. O., Kim, M. H., Lee, J. C., Lee, B. Y., Kim, M. Y., Yang, H. W., Yun, H. W., & Jeong, H. R. (2009). Nutritional properties, as food resource for menu development, of cubed snailfish, shaggy sea raven, and two kinds of wild vegetables that are staple products in Samcheok. Korea J Food Cookery Sci, 25(6), 690-702. 

  37. Suter, P. M. (1998). Potassium and hypertension. Nutr Rev, 56(5), 151-153. 

  38. Que, F., Mao, L., Zhu, C., & Xie, G. (2006). Antioxidant properties of Chineses yellow wine, its concentrate, and volatiles. LWT-Food Sci Technol, 39(2), 111-117. 

  39. Yang, S. E., & Jin, S. Y. (2013).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onbyeong. 

  40. Yang, S.-E., & Jin, S.-Y. (2013).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onbyeong added Cedrela sinensis powder.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19(4), 279-290. 

  41. Waldron, K. W., Parr, A. J., Ng, A., & Ralph, J. (1996). Cell wall esterified phenolic dimers: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by reverse 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diode array detection. Phytochem Anal, 7(6), 305-312.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