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도별 주거복지 관련 자치법규에 대한 연구
A Study of Housing Welfare Regulations of City & Province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7 no.6, 2016년, pp.77 - 84  

이지숙 (군산대학교 주거 및 실내계획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crease rate of total population slows down and the ratio of the elderly population & single-household in our country is growing rapidly. Korean's housing penetration has already exceeded 100%. So people focus on the qualitative aspects of housing, namely housing welfare than the quantitativ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다수 조사대상 시도의 주택조례는 주택법 및 주거기본법에서 위임된 사항과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경북의 주택조례는 주거안정 및 주거수준 향상과 공동주택관리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여 주거복지에 기여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전남·전북·충남 및 울산의 주택조례는 주거안정 및 주거수준 향상에 목적을 두고 있다.
  • 본 연구는 각 시·도별 주거복지 관련 자치법규의 종류 및 각 조례의 구성과 내용을 파악하여, 조례 유형별, 지자체별로 주거복지 관련내용을 비교·분석하여, 주거복지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일선에서 주거복지를 실행하고 있는 각 지자체를 대상으로, 주민들의 주거안정과 주거수준의 향상을 위하여 주거복지의 목표는 무엇이고, 어떤 주거복지 내용들을 실행할 수 있게 자치법규에 제정하였는지 알아보고 각 지자체별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각 시·도별 주거복지 관련 자치법규의 종류 및 각 조례의 구성과 내용을 파악하여, 조례 유형별, 지자체별로 주거복지 관련내용을 비교·분석하여, 주거복지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주거복지 지원조례 중에서 인천시와 광주시의 조례는 명칭이 주거복지지원조례이지만 세종이나 대구와 마찬가지로 대상은 ‘주거약자 등’이며, 그들의 주거안정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투자의 대상으로 주택을 바라보던 관점은 무엇으로 변화하고 있는가? 우리사회에서 강력했던 자가소유의식은 높은 주택가격, 투자재로서의 주택가치의 하락, 청년실업 등으로 약해지고, 투자의 대상으로 주택을 바라보던 관점은 주택의 쾌적성과 편리성, 사회적·물리적 안전성 등의 거주성을 중시하는 관점으로 변화하고 있다.
주거복지사업이 국가 경제에 부담이 될 것이라 본 이유는? ]은 국민의 주거권을 보장하고, 주거안정과 주거 수준의 향상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주거복지사업은 많은 국가예산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국가 경제에 상당한 부담이 될 것이다. 그래서 현실적으로 주거복지사업의 주 대상은 주거취약계층이 되고 있다.
주거복지의 명확한 목표 주거수준을 제시하는 것이 정책과 제도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필요하다고 본 이유는? 대전시는 최저주거기준 확보를, 인천시, 광주시, 세종시, 대구시는 적정수준의 주거환경 제공을 목표로 한다. 최저주거기준은 법적으로 명확하게 정의를 내릴 수 있지만, 적정 주거수준은 모호한 기준이어서, 주거복지의 효율적이고 공평한 수혜에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주거복지의 명확한 목표 주거수준을 제시하는 것이 정책과 제도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Bong, I. S. (2010).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mobility of the public rental housing tenants. Suwon: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 Bong, I. S. (2011). A study on public-rental housing supply system of canada and korea. Suwon: Gyeonggi Research Institute. 

  3. Busan Housing basic regulations [2016.3.30.]. Retrieved from https://www.law.go.kr 

  4. Cho, Y. -T., Roh, S. -Y., Cho, Y. -K., Lee, J. -E., & Yoon, Y. -H. (2012a). A study on the welfare-housing & welfareservice in aged permanent rental housing.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8(10), 263-270. 

  5. Cho Y. -T., Roh S. -Y., Cho Y. -K., Lee J. -E., & Yoon Y. -H. (2012b). A study on the restructuring of aged permanent rental housing for welfare servic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8(4), 77-84. 

  6. Chungcheong Buk-Do Housing regulations [2015.7.31.]. Retrieved from https://www.law.go.kr 

  7. Chungcheong Nam-Do Housing regulations [2015.10.30.]. Retrieved from https://www.law.go.kr 

  8. Daegu Housing welfare support regulations for housing vulnerable person [2013.5.16.]. Retrieved from https://www.law.go.kr 

  9. Daejeon Housing basic regulations [2016.8.2.]. Retrieved from https://www.law.go.kr 

  10. Gangwon-Do Housing regulations [2016.8.5.]. Retrieved from https://www.law.go.kr 

  11. Gwangju Housing welfare support regulations [2015.8.1.]. Retrieved from https://www.law.go.kr 

  12. Gyeonggi-Do Housing basic regulations [2016.7.19.]. Retrieved from https://www.law.go.kr 

  13. Gyongsang Buk-Do Housing regulations [2016.4.14.]. Retrieved from https://www.law.go.kr 

  14. Gyongsang Nam-Do Housing regulations [2014.10.10.]. Retrieved from https://www.law.go.kr 

  15. Housing basic law [2016.8.12.]. Retrieved from https://www.law.go.kr 

  16. Inchon Housing welfare support regulations [2015.1.1.]. Retrieved from https://www.law.go.kr 

  17. Jeju Housing basic regulations [2016.9.28.]. Retrieved from https://www.law.go.kr 

  18. Jeolla Buk-Do Housing regulations [2015.5.1.]. Retrieved from https://www.law.go.kr 

  19. Jeolla Nam-Do Housing regulations [2016.4.7.]. Retrieved from https://www.law.go.kr 

  20. Jin, M. -Y. (2011). The characteristics of bogeumjari housing program and direction of future housing policy for low-income households without home ownership.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2(2), 21-33. 

  21. Kim, H. S., & Kim, T. H. (2008). Housing welfare policy based on minimum housing standards and affordability. Planning and Policy, 59, 223-245. 

  22. Kim, J. H. (2015). Minimum standards for housing accommodation(MSRA) and the housing welfare policyfocusing on the 'housing comprehensive plan'.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50(4), 185-207 

  23. Kim, Y. C., & Choi, E. Y. (2013). Spatio-temporal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failing to meet the new minimum housing standard in seoul metropolitan (1995- 2010).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8(4), 509-532. 

  24. Kim, Y. C., & Kim, J. Y. (2014). An evaluation about house lend lease plan of the government and an study on a way to supply the housing benefit through a taxation of rental income. Journal of Tax Studies, 14, 101-125. 

  25. Kwon, W. S., & Jung, C. M. (2013). Application of cooperative for urban regeneration-focused on housing cooperative. Journal of Korea Real Estate Society, 31(2), 199-216. 

  26. Lee, H. -J. (2007a). An analysis of the housing policy for senior citizens and characteristics of senior housing in Japa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3(12), 11-18. 

  27. Lee, H. -J. (2007b). An analysis of the housing policy for older adults and senior housing in Hong Kong.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3(4), 37-44. 

  28. Lee, H. S., & Yeo, K. S. (2011). Research on welfare housing for the underprivileged groups living in inadequate housing. Public Law Journal, 12(3), 363-388. 

  29. Nam, Y. W. (2014). A study on efficient management of national housing fund according demographic change. Journal of Korea Real Estate Society, 32(2), 65-83. 

  30. Nam, Y. W., & Kim H. J. (2014). A study on efficient management of national housing fund. Journal of Korea Real Estate Society, 32(1), 93-106. 

  31. Oh, D. G., & Oh, G. S. (2013). A study for setting up forward direction of housing policy in the future.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6, 23-48 

  32. Park, C. -U. & Lee, J. -H. (2009). Policy Implications of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0(1), 89-10 

  33. Park, H. S. (2013). A study of housing rent support policies for low-income households. Journal of Residential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11(3), 139-157. 

  34. Park, Y. S., & Shin, Y. H. (2005). A study on housing welfare status and housing assistance-with a focus on housing welfare improvement of the North Korean refugees.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7(3), 95-122. 

  35. Rhee, J. -S. (2015). A study on the housing welfare business & the service of the housing welfare center.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285-292. 

  36. Rhee, J. -S. (2016). Housing welfare bylaw comparative study of administrative districts. Proceedings of Autumn Annual Conference of Korean Housing Association, Vol. 25, No. 2 (p. 98), Bundang, Korea. 

  37. Sejong Housing welfare support regulations for housing vulnerable person [2014.2.17.]. Retrieved from https://www.law.go.kr 

  38. Seoul Housing basic regulations [2016.7.14.]. Retrieved from https://www.law.go.kr 

  39. Shin, Y. -J., (2012). Critical analysis of housing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Journal of Residential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10(3), 159-171. 

  40. Son, K. -J., Choi, S. -D., & Kang, J. -G. (2015).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axation for the private cooperative public rental housing policy. Journal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13(3), 79-99. 

  41. Statistics Korea (2014.12). 2015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Press release. Retrieved from http://kosis.kr 

  42. Ulsan Housing regulations [2015.6.30.]. Retrieved from https://www.law.go.kr 

  43. Yeo, K. S. (2011). A plan on the legislative reform of housing welfare for the aged in an aging society. Seoul Law Review, 19(2), 391-426. 

  44. Yeo, K. S. (2014). A policy direction for creating and fostering social enterprise on housing welfare. Soongsil Law Review, 32, 111-130. 

  45. Yim, M. -S. (2014). A study on the definition and types of housing on the regulations for sustainable housing polic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30(11), 31-38. 

  46. Yoo, H. Y., & Cho, H. H. (2013). A study on the supporting system for 'the neighborhood regeneration program of declined residential blocks (PNRQAD)' in France.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8, 185-201. 

  47. Yoo, H. Y., & Yoon, H. Y. (2012). A study on the support system and indicators for rehabilitation of deteriorated residential blocks in Japa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8(11), 185-194. 

  48. Yoon, H. S. (2013). Issues on restructuring housing benefit. Korea Social Policy Review, 14(3), 101-12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