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컬렉티브하우스 공간특성 사례연구 - 공동생활공간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Spatial Characteristics in Collectivehouse for the Activation of the Community - Focused on Common Space -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5 no.1 = no.114, 2016년, pp.3 - 12  

이하연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  문정민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ses characteristics of space to facilitate community centering on cases of collective houses in Japan and uses the results as basic data to activate collective houses as an alternative form of housing in our country.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for active communities w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커뮤니티 활성화 요소를 도출하여 컬렉티브하우스에서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해 어떠한 공간 특성이 나타나는지 파악한 연구로서, 전반적인 파악은 가능하나 구체적인 현황에 대해서는 한계점이 있다. 향후 이를 보완하고 실 거주자들이 느끼는 커뮤니티 활성화 정도, 만족도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2장에서 선행연구를 통해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간요소로 영역성, 접근성, 쾌적성, 안전성을 도출한 후 세부내용으로 영역성에서는 공동생활공간의 프로그램, 공동생활공간의 비율, 접근성에서는 내부공간 연계방식, 외부와의 연계방식, 쾌적성에서는 친환경 공간 조성, 머무를 수 있는 요소 제공, 안전성에서는 사회적 약자를 위한 디자인, 시청각적 개방으로 분석 틀을 정리하였다. 이러한 틀을 바탕으로 10개의 컬렉티브하우스 사례에서 나타나고 있는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간요소를 도출하고, 일본의 컬렉티브하우스 사례에서 나타나는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간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는 향후 우리나라에 새로운 주거형태 대안으로서 컬렉티브하우스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공동생활공간과 공동식사, 프로그램, 이벤트, 자발적인 유지·관리를 통해 지속적인 커뮤니티를 유도해 사회적 고립감, 소외감을 해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주거유형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연구는 컬렉티브하우스의 공동생활공간에서 나타난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커뮤니티 활성화 요소로 영역성, 접근성, 쾌적성, 안전성을 도출하고, 일본 컬렉티브하우스의 사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 <표13>과 같다.

가설 설정

  • 커뮤니티 디자인을 하다6)에 따르면, 커뮤니티 디자인의 원칙은 1) 쉽게 접근이 가능해야 한다. 2) 쉽게 사용 가능해야 한다. 3) 모두가 참여 가능해야 한다.
  • 2) 쉽게 사용 가능해야 한다. 3) 모두가 참여 가능해야 한다. 4) 서로가 소통 가능해야 한다.
  • 3) 모두가 참여 가능해야 한다. 4) 서로가 소통 가능해야 한다. 5) 공공의 장소를 기반으로 한다.
  • 5) 공공의 장소를 기반으로 한다. 6) 공공이 지원이 가능해야 한다. 7) 쉽게 이해되는 디자인이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컬렉티브하우스의 특징은? 국외의 경우 커뮤니티 중심 주거유형으로 쉐어하우스,컬렉티브하우스, 코하우징 등이 이미 활성화되어 있다. 그 중 컬렉티브하우스는 거주자들이 별도의 생활공간을 가지면서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공동생활공간이 갖추어진 주거형태를 말하는 것으로, 공동생활공간은 정기적인 모임, 이벤트, 프로그램을 통해 자연스럽고 지속적인 커뮤니티가 형성되면서 거주자들이 정서적 심리적 안정감을 느끼고, 개인의 사회적 고립감과 소외감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주거대안으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컬렉티브하우스란? 국외의 경우 커뮤니티 중심 주거유형으로 쉐어하우스,컬렉티브하우스, 코하우징 등이 이미 활성화되어 있다. 그 중 컬렉티브하우스는 거주자들이 별도의 생활공간을 가지면서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공동생활공간이 갖추어진 주거형태를 말하는 것으로, 공동생활공간은 정기적인 모임, 이벤트, 프로그램을 통해 자연스럽고 지속적인 커뮤니티가 형성되면서 거주자들이 정서적 심리적 안정감을 느끼고, 개인의 사회적 고립감과 소외감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주거대안으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최근 주거공간이 변화함에 따라 어떠한 정책적 변화가 생겼는가? 최근 주거공간은 다양한 프로그램과 더불어 카페, 도서관, 휘트니스 센터 등 변화하는 라이프스타일과 다양한 필요를 충족시키는 커뮤니티 시설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주거지역 주변에서는 커뮤니티시설조성, 지역커뮤니티 네트워크 구축 등 다양한 접근방법이 나타나고 있으며, 주거정책 또한 주택공급에만 치우쳐져 있었으나 물리적, 사회적 위험에서 벗어나 쾌적한 주거환경에서 국민이 인간답게 살 수 있도록 주거복지를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고야베 이쿠코, 컬렉티브하우스, 초판, 클, 서울, 2013 

  2. 주거학연구회, 세계의 코하우징: 더불어 사는 이웃, 초판, 교문사, 서울, 2000 

  3. 커뮤니티디자인센터, 커뮤니티 디자인을 하다, 초판, 나무도시, 파주, 2009 

  4. 강승연, 그린커뮤니티 인증지표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2009 

  5. 김재희, 우리나라 시니어 코하우징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 석사논문, 2010 

  6. 나카무라 시노부, 일본 Collective housing 사례분석을 통한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 석사논문, 2011 

  7. 노대건, 공동주거단지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주민공동시설 계획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논문, 2012 

  8. 박상미, 집합주택 커뮤니티 공간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 연구, 이화여대 석사논문, 2011 

  9. 서주환, 공동주택 커뮤니티공간 배치유형별 이용행태 분석을 통한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 연구, 한양대 석사논문, 2008 

  10. 송진석, 공동주택 커뮤니티 계획이 주거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 석사논문, 2009 

  11. 오준호, 주거지의 사회적 지속성을 위한 커뮤니티 활성화 계획 요소, 전남대 석사논문, 2013 

  12. 이보배, 아파트 단지 내 커뮤니티 운영 요소와 유형별 활성화 방안, 건국대 석사논문, 2015 

  13. 임윤희, 코하우징의 공동육아환경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3 

  14. 정소원, 거주자 만족도 향상을 위한 아파트 단지 커뮤니티 공간 계획 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논문, 2007 

  15. 한민정, 코하우징 개념을 적용한 도시근교 주거단자의 계획방법에 관한 연구, 연세대 박사논문, 2005 

  16. 김학균 외1, 집합주거 단지 내의 커뮤니티 형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12권, 제2호, 2001 

  17. 남원석, 1인가구시대 맞춤형 주거해법 사회임대형 공동체주택 활성화, 서울연구원, 2014 

  18. 박정은 외1, 사회통합형 공동주택 개발을 위한 공유공간의 디자인요소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6권, 제6호, 2010 

  19. 이송현 외1, 공동주택 커뮤니티 공간의 지속가능한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제8권, 제6호, 2008 

  20. 임연수 외1, '사회적 소통'을 위한 아파트단지 공용공간의 계획 목표 및 전략 도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2권, 제3호, 2011 

  21. 서울시 주택정책실, '18년까지 임대주택 8만호 공급 세부계획 발표, 2014.12.03 

  22. https://www.hituji.jp/ 

  23. http://www.chc.or.jp/ 

  24. http://118.82.121.2/staff/2009/04/post-12.html 

  25. http://www.minnahouse.com/styled-5/styled-12/index.html 

  26. http://stylio.jp/with/daikanyama/rent/ 

  27. http://www.co-plus.co.jp/culum/collective/index.html 

  28. http://www.gunma-jkk.or.jp/motosoja/index.htm 

  29. http://forum.10plus1.jp/renovation/archives/087shoin/ 

  30. http://blogs.yahoo.co.jp/najimi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