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 공공공간 디자인 평가 지표 도출 및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Evaluation Indicators and Improvements of Urban Public Spac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11, 2015년, pp.8021 - 8029  

이훈길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  이주형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공공공간의 개선 방안을 위하여 고려되어야 하는 평가 지표를 도출하고 공무원/학계 및 실무자 측면에서 중요도를 비료/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공공간의 특성에 따른 계획항목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출하고, 세부지표들을 선별 후 전문가그룹인터뷰(FGI : 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하여 도출과정의 적합성과 도출된 항목들에 대한 부적합 여부를 논의하고, 합의된 항목만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표는 전문가 설문을 통한 계층적 의사결정법(AHP : Analytic Hierachy Process)을 실시하여 중요도를 분석하고 종합순위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공공공간의 중요도는 실무 전문가의 경우 사용성, 공공성, 환경성, 연계성, 정체성, 공간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공무원/학계는 사용성, 환경성, 연계성, 정체성, 공간성, 공공성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합분석 결과 우선순위에서 실무 전문가는 안전성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했으며, 공무원/학계는 청결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향후 공공공간의 개선 방안을 위한 계획적인 고려사항 및 평가로 활용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공공공간의 디자인가이드 라인으로 제시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obtains design assessment indexe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improvements of the public space was to analysis the importance in the public officials/academics and practitioners side. Obtained assessment topics in accordance with characteristic of public space through previous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도출과정의 적합성에 대한 사항으로 FGI 결과 개선 방향에 적합한 계획지표 선정을 위해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재분류하였다. FGI를 통해 각 공공공간별로 계획지표 설정에 대한 의견이 있었으나 각 공간이 개별적이면서 중요한 시설이기 때문에 각각에 대하여 동일한 계획지표를 적용하여 개선 방향으로 중요하게 여기는 평가항목과 평가지표가 무엇 인지 검토해 보기로 하였다. 또한 세부평가지표들의 목적상 본 연구에 직접 해당되지 않거나 지나치게 세부적인 항목은 제외하고 6개의 평가지표 항목에 30개의 세부지표를 정리하였다.
  • 공공공간 계획 요소 평가 시스템과 이에 관한 연구가 부재한 상황에서, 국외 사례 중 모델이 될만한 영국 CABE의 Spaceshaper와 미국 PPS, 영국 DQI의 사례를 살펴보려고 한다. 영국의 DQI는 건축물 품질 평가, 사후 평가 등의 평가 방법 중 공공공간 계획요소 평가 지표 개발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하여 사례에 포함하였다.
  • 공공공간 디자인 평가지표에 따른 하위계층을 실무전문가와 공무원/학계 측면에서 비교 검토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종합분석 결과는 Table 9, Table 10과 같으며, 중요도 비교는 Table 11과 같다.
  • 많은 사람들이 자유롭게 사용하는 공공공간을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찾아가는 과정은 중요한 일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AHP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공공공간의 중요도를 평가하고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공공공간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했다. 전문가와 공무원/학계 그룹간의 평가항목 우선순위는 다르지만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안으로 사용성을 중요한 평가항목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 따라서 선행연구와 구분되는 차별성은 국외 사례 중 모델이 될 만한 사례를 통하여 전반적인 공공공간의 평가 지표를 수립하고, 공공공간의 개선 방안에 따른 질적 향상을 통하여 공공공간이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정책 결정 및 공공공간 계획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지표를 개발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는 점에서 구분된다.
  • 본 연구에서는 공공공간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평가 지표를 도입하기 위해 공공공간의 특성을 중요도를 통하여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순서를 통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도시환경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공공공간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공공간에 대한 의미를 파악하고 평가지표의 요소를 도출함으로써 공공공간에 대한 지표 구축과 중요도 분석을 통하여 공공공간의 바람직한 개선방안을 위한 계획 방향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도시환경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공공공간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공공간에 대한 의미를 파악하고 평가지표의 요소를 도출함으로써 공공공간에 대한 지표 구축과 중요도 분석을 통하여 공공공간의 바람직한 개선방안을 위한 계획 방향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는 어떤 장소인가? 도시는 인간에게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는 장소이다. 이것은 도시의 궁극적인 목적이 도시 공간이나 건축물을 단순한 물리적 구성물로서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인간 생활의 다양한 욕구와 행위를 담아낼 수 있는 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실무 전문가 측면에서 공공공간디자인 평가 지표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는 것은? 실무 전문가 측면에서의 중요도 산정결과를 살펴보면 상위계층 중 사용성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공공공간디자인 평가 지표로 인식하고 있으며 다음으로는 공공성, 환경성, 연계성, 정체성, 공간성 순으로 나타났다. 실무 전문가는 공공공간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사용성이 공공공간 개선 방안으로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공공공간의 관심 증가로 인하여 공공성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D.G.Kim, J.M.Moon, "Assessment Indexed for Activation of Urban Public Spac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013. 

  2. H.G.Lee, J.H.Lee,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Public Places in Seoul", Korea Planners Association, 2003. 

  3. H.G.Lee, J.H.Lee,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alysis of the Urban Public Space, applying a Pattern Languag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8.5608 

  4. H.R.Kim, H.J.Lee, M.H.Lee, "Publicness of Public Space through the Analysis of AHP Enhancing",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3.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3.13.10.511 

  5. J.H.Hur,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Design Evaluation System for User Satisfaction in the Public Realm", Dankook University, 2012. 

  6. J.P.Choi, J.K.Kang, Y.J.Choi, C.Y.Park, "A Research on Planning Guidelines for Iraq Apartment Units Based on the Application of Christopher Alexander's Pattern Languag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Janurary, 2014 

  7. J.Y.Lee, J.Y.Chung, "A Study on the use of contemporary public spaces by Urban Regeneration",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2007 

  8. W.J.Hyun, J.W.Jung, "Study on Environmental Design Elements to Enhance the Placeness of Specialized street", Korean Institute of Spatial Design, 2010 

  9. Presidential Commission on Architecture Policy, "A Study Survey on the use of the city's Public Spaces and efficient system for the Composition Improvement", March, 2012 

  10. Stephen Carr, "Public Spa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