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구급차량의 운행 중 사고 분석에 관한 조사 연구
Analysis of Ambulance Traffic Accident During Driving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0 no.1, 2016년, pp.130 - 137  

신동민 (한국교통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윤병길 (충북보건과학대학 응급구조학과) ,  한용택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초록

본 연구는 4개 시도에서 근무하는 구급대원을 908명을 대상으로 구급차량에서 발생한 안전사고 경험 및 횟수, 경광등 사용여부, 사고원인 손상부위, 사고당시 구급차의 속도, 사공장소 및 구급차의 사고예방을 위해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구급차관련 사고와 관련된 구급대원, 환자, 또는 상대방 등의 안전사고와 연관이 있기에 구급대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사고 당시의 환경 및 시간, 손상부위에 대하여 조사하고, 향후 구급대원 및 구급차안전 운전을 위한 기초자로 활용하고자 한다. 응답자의 29.6%의 구급대원이 사고의 경험이 있었으며, 주요 사고원인은 신호위반이 35.7%, 상대방과실이 22.2%였다. 사고당시 92.1%가 경광등을 사용하였으나 사고가 발생하였다. 주요 사고 장소는 일반도로가 68%이었으며, 교통상황은 원활한 상태가 54%였고, 사고당시 속도는 40 km/h 이하가 56.4%였다. 주요 사고 시간대는 교통량이 많지 않은 오후시간대가 38.1%였으며, 사고로 인하여 발생한 부상부위는 기타부위가 62.1% 이었으나 중증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는 머리 목의 손상이 14.4%로 나타났다. 설문에 응답한 구급대원들이 구급차의 안전사고예방을 위하여 가장 필요한 요소로는 방어운전 24.9%로 가장 높았으며, 교통법규의 준수, 안전 운전습관을 다음으로 응답하였다. 사고위험을 느끼는 경우는 신호위반 교차로 통과 가 70.1%로 가장 높았다. 따라서, 구급차량의 응급환자 이송 시 일반차량의 양보에 대한 법적인 규정 및 탑승 구급대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추가적인 보호 장치가 필요함을 강조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collisions involving ambulances with an aim to improving the safe operation of emergency services. Collisions are relatively common within paramedic emergency services. We analyzed the time, injury site, and any other specif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본 연구에서는 응답자들은 방어운전, 교통법규의 준수, 운전자의 운전 습관등이 구급차의 안전운전을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다. Peto는 자동자의 사고원인은 인간적인 요소, 환경적인 요소, 자동차의 요소, 목적요소 등이 있으며, 가장 많은 구성은 인간적인 요소와 환경적인 요소 등이 있다고 하였다.
  • 이에 본 연구 목적은 구급차량 사고는 구급대원, 환자 또는 상대방 등의 안전사고와 연관이 있기에 구급대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사고 당시의 환경 및 시간, 손상부위에 대하여 조사하고, 향후 구급대원 및 구급차안전 운전을 위한 자료와 구급차 사고 데이터베이스로 활용하고자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급차의 안전운전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무엇이 있는가? 그 건수는 2013년 한해 24,252건으로 나타났다(3). Jo 등의 연구에서 구급차의 안전운전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속도, 감정조정의 중요성과 함께 교통법규 준수도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해야 한다고 하며 구급차도 교통법규를 지킬 수 있으면 지켜야 한다고 하였다(9).
구급차 사고 증가로 초래할 수 있는 문제는 무엇인가? 특히 최근 5년간 구급차 사고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고는 구급차와 관련된 개인, 병원,소방, 및 구급차를 운영하는 해당기관들의 국민적 신뢰 하락과 구급업무를 하지 못할 뿐 만 아니라 자동차 수리 또는 교체를 통한 보험료 인상 등을 초래한다. 두 번째는 우리나라는 구급차 충돌 사고에 대해 정확한 통계를 제시하는 국가적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야 한다.
구급차등이란? “구급차등” 이란 응급환자의 이송 등 응급의료의 목적에 이용되는 자동차, 선박 및 항공이송 등의 이송수단을 말하며, 그중 육지에서 응급환자의 주요이송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이 구급차(ambulance)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 J. Go, "The Study of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Unites State of America an Ambulance", NREMT in USA Training Course Project, Vol. 9, pp. 249-282 (2009). 

  2. S. H. Cho, "A Study on the First Korean 119 Ambulance Service",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Fire Science Engineering Conference, Vol. 11 pp. 222-225 (2012). 

  3.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Emergency Medical Statistical Yearbook, pp. 62-368 (2014). 

  4.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ire-fighting Equipment Statistical Compilations, pp. 5-249 (2014). 

  5.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Traffic Accident Statistics, pp. 43-193 (2014). 

  6.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ire-fighting Equipment Statistical Compilations, pp. 5-249 (2013). 

  7.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ire-fighter's catastrophe and the status who died on duty (2011). 

  8. T. L. Sanddal, N. D. Sanddal, N. Ward and L. Stanley "Ambulance Crash Characteristics in the US Defined by the Popular Press: A Retrospective Analysis", Emergency Medicine International Volume 2010, Article ID 525979, 7 pages, doi:10.1155/2010/525979 (2010). 

  9. J. M. Jo and T. Y. Lee, "A Study on behavior Factors for the Safety of Ambulance Driving by Coefficiencial Structural Analysis",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ol. 4, No. 1, pp. 100-111 (2001). 

  10. J. M. Jo and B. J. Lee, "A Study on behavioral Factors for the Safety of Ambulance Driving",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ol. 1, No. 1, pp 100-111 (1997). 

  11. J. M. Jo, Y. G. Oh and J. H. Kim, "A Study on behavior Factors for the Safety of Ambulance Driving by Coefficecial Structural Analysis-Focus on Gwangju Metropolitan City",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ol. 6, No. 6, pp. 199-207 (2002). 

  12. G. Peto and W. J. Medve, "EMS Driving the Safe Way", Brady (1995). 

  13. National Injury Fact Book, pp. 209-245 (2014). 

  14. S. H. Park, "Research on Actual Conditions of National Ambulances Vehicles Types and Study on of the Internal Design Improvemen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2014). 

  15. NIOSH, Ambulance design could increase safety for emergency responders, Emergency Management Alert (2009). 

  16. D. M. Shin, S. Y. Kim and Y. T. Han, "An Investigation of the Regulation, Design and Improvement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Ambulan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Safety, Vol. 29, No. 4, pp. 172-179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