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구급차의 안락성 및 편의성 조사와 개선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and Improvement of the Comfort and Convenience of Domestic Ambulances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1 no.2, 2017년, pp.119 - 126  

유인술 (충남대학교) ,  신동민 (한국교통대학교) ,  정재한 (한국소방산업기술원) ,  한용택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구급차의 안락성과 편의성의 조사를 위하여 소음과 진동 및 사이즈의 타당성 등에 관하여 파악하였으며, 대상차량으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화물형, 승합형 및 벤츠 구급차등을 이용하여 측정 및 조사하였다. 현재 국내의 구급차 제작기준을 살펴보면, 응급환자를 이송하고 구급차 내에서 응급처치를 시행해야 하는 특수목적을 가진 구급차에 대해 별도의 규정 없이 일반자동차와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고 구급차량에 대한 안전도, 응급처치에 대한 공간규정, 안락성 및 편의성 등에 관한 규정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구급차 환자실의 소음과 진동 측정 실험을 통하여 안락성과 편의성에 대한 비교 실험을 측정하였고, 구급차 환자실의 사이즈 및 내부의 재배치에 대하여 연구하여 안락성과 편의성에 개선이 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소음 측정 결과 승합형, 벤츠타입 및 화물형 타입의 구급차 순으로 소음이 큰 것으로 측정이 되었고, 40 km/h 이상의 속도에서는 60~70 dB 이상의 소음측정 결과를 보여주었다. 진동의 경우는 승합형과 벤츠타입의 구급차량이 양호하고 역시 화물형 타입이 진동 또한 가장 안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이에 대한 개선사항이 필요하다고 측정되었다. 마지막으로 국내의 구급차량 환자실의 내부를 살펴보면, 구조적으로 내부의 크기를 늘릴 수는 없는 구조이나, 침상의 재배치와 응급처치요원의 위치, 환자보호용 장의자의 배치 및 수납장 등의 재배치를 통하여 편의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구급차의 사용을 보다 안락하고 편의성 있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soundness, vibration, and size of ambulances currently used in Korea as well as the comfort and convenience of ambulancesin Korea. The target vehicles were measured and investigated using the currently used freight type, van type, and Benz ambulance. Currently, the ambulance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구급차에 대한 환자의 안락성 및 응급처치 등의 편의성을 조사하여 한국형 구급차의 환자공간에 대한 표준을 제시함으로써 구급차 환자공간 제작의 기준을 제공하며, 구급차를 이용하는 환자들에게는 안전성과 안락성을, 구급차를 운영하는 구급대원들에게는 안전성과 편리성을 제공하여 환자와 응급처치요원의 안전성 확보 및  구급차 관련 법률의 제·개정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5,6).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구급차의 안락성과 편의성의 조사를 위하여 소음과 진동 및 사이즈를 측정하였다. 대상차량으로는 벤츠, 화물형 및 승합용 구급차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응급환자란 무엇인가? 응급의료체계 중 특히 구급현장에서 응급처치를 하고 환자의 중증도에 맞는 응급의료기관으로 이송하기 위해서는 구급차라는 이송수단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응급환자는 ‘질병, 분만, 각종 사고및 재해로 인한 부상이나 기타 위급한 상태로 인하여 즉시필요한 응급처치를 받지 아니하면 생명을 보존할 수 없거나 심산상의 중대한 위해가 초래될 가능성이 있는 환자 또는 이에 준하는 자로서 보건복지가족부령이 정하는 자’ 로 정의되어 있다(1,2).
구급차라는 이송수단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응급의료체계 중 특히 구급현장에서 응급처치를 하고 환자의 중증도에 맞는 응급의료기관으로 이송하기 위해서는 구급차라는 이송수단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응급환자는 ‘질병, 분만, 각종 사고및 재해로 인한 부상이나 기타 위급한 상태로 인하여 즉시필요한 응급처치를 받지 아니하면 생명을 보존할 수 없거나 심산상의 중대한 위해가 초래될 가능성이 있는 환자 또는 이에 준하는 자로서 보건복지가족부령이 정하는 자’ 로 정의되어 있다(1,2).
국내에는 구급차제작에 관한 구체적인 기준이 없음으로 일어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현재 국내에는 승합차를 개조한 일반구급차와 화물차량을 개조한 특수구급차등 2종류의 구급차와 독일에서 수입된 벤츠 구급차가 운행되고 있으며, 외국의 경우 구급차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이 제시되고 있으나 국내에는 구급차제작에 관한 구체적인 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국내 구급차제작기준은 자동차관리법 제 29조에 따른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국토해양부령)에 따라 차종(승합차, 화물차)구분에 따라 일반 자동차와 동일한 기준을 적용 받고 있고도로교통법 제 2조 제 20호에 의한 경광등, 싸이렌 설치에 관한 규정만 있어 응급환자를 이송하고 구급차 내에서 응급처치를 시행해야 하는 특수목적을 가진 구급차에 대해별도의 규정 없이 일반자동차와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고 구급차량에 대한 안전도 기준, 환자 응급처치에 대한 공간규정, 안락성, 편의성 등에 대한 규정이 없어 구급차를 이용하는 응급환자나 구급차를 직접적으로 이용하는 구급대원들의 불만사항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2009년 TV 뉴스에서 구급차의 안전적합도 검사의 부재사항이 지적되었으며, 국회에서는 화물자동차를 이용하여 구급차를 제작함에 따라서 안락성이 떨어져 환자 운송에 취약하다는 점이 지적된 바 있다. 또한, 국민인권위원회는 구급차 안전성과 민간이송업과 관련된 민원 및 구급차 이용자인 국민의 민원에 대한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하여 정부부처가 관심을 가질 것을 권고하고 있는 실정이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H. R. Kwon, "How to Improve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9, No. 2, pp. 249-250 (1998). 

  2. B. J. Go, "The Study of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Unites State of America an Ambulance", NREMT in USA Training Course Project, Vol. 9, pp. 249-282 (2009). 

  3. 119 Magazine, "119 Emergency Service Satisfaction", Vol. 12, No. 6, pp. 100-101 (2008). 

  4. K. N. Jang, "A Study to Improve Ambulance Service in Quality", Master's Thesis Dong-Shin Univ. (2010). 

  5. S. D. Min, S. Y. Kim and Y. T. Han, "An Investigation of the Regulation, Design and Improvement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Ambulanc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9, pp. 172-179 (2014). 

  6. S. D. Min, M. J. Park and Y. T. Han, "Design of Fire-fighting Ambulance Interior",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0, pp. 121-129 (2016). 

  7. D. M. Shin, S. Y. Kim and Y. T. Han,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Fire-Fighting Ambulances about the Aspects of Safety and Efficiency using the Question Investigation",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9, No. 2, pp. 44-53 (2015). 

  8. S. D. Min, M. J. Park and Y. T. Han, "Design of Fire-fighting Ambulance Interior",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0, pp. 121-129 (2016). 

  9. Jeonju City, "Noise and Vibration", http://u-a1.jeonju.go.kr/index.9is?contentUid9be517a74f8dee91014f92005ee3108f, Feb. 28 (2017). 

  10. ENS, "Impact of Noise on Human Body", http://ens-sys.co.kr/board/bbs/board.php?bo_tablecs_faq&wr_id19, Feb. 28 (2017). 

  11. H. J. Eun, G. S. Heo, C. I. Lee, W. S. Hwang, W. C. Lee, M. J. Jho and S. S. Jung, "A Study on the Cause-based Review Criteria of Damage due to Noise and the Calculation Method of Damage Amount", KSNVE 1997-12, Korean Society of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1997).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ortal for National Health Information: Health/Disease Information: Noise in Life Environment", http://health.mw.go.kr/HealthInfoArea/List.do?idx&page1&sortTypedate&dept&category_code&category2&searchFieldtitleAndSummary&searchWord%EC%86%8C%EC%9D%8C&dateSelect1&fromDate&toDate, Feb. 28(2017). 

  13. ENS, "Impact of Vibration on Human Body", http://ens-sys.co.kr/board/bbs/board.php?bo_tablecs_faq&wr_id20, Feb. 28 (2017). 

  14. I. S. Choi, "http://www.nocutnews.co.kr", July 8 (2009). 

  15.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Safety Training", http://www.nema.go.kr, May 8 (2013). 

  16. I. Gilad and E. Byran, "Ergonomic Evaluation of the Ambulance Interior to Reduce Paramedic Discomfort and Posture Stress", Hum Factors 49, pp. 1019-1032 (2007). 

  17. J. Ferreira and S. Hignett, "Reviewing Ambulance Design for Clinical Efficiency and Paramedic Safety", Applied Ergonomics, Vol. 36, pp. 97-105 (2005). 

  18. J. S. Lee and J. H. Bang, "(A)survey and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Related to Assess Habits of using Personal Device, Knowledge of Hearing Loss and Attitude of Hearing Protection in Adolescents", The Journal of the Associated Society of Korea, Vol. 35, No. 1, pp. 24-34 (2016). 

  19. G. W. Kim, M. S. Kim and W. S. Yu, "Analysis of Equal Sensation Curves for the Korean People about Vertical Whole-Body Vibration",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Vol. 18, No. 1, pp. 105-111 (2010). 

  20. C. K. Stone and S. H. Thomas, "Can Correct Closed chest Compressions be Performed During Pre-hospital Transport?", Pre-hospital and Disaster Medicine, Vol. 10, No. 2, pp. 121-123 (1995). 

  21. C. Havel, W. Schreiber, M. Haugk, H. Trimmel and H. Herkner, "Quality of Closed Chest Compression in Ambulance Vehicles, Flying Helicopters and at the Scene", Resuscitation, Vol. 73, No. 2, pp. 264-270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