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폴리카프로락톤을 이용한 3차원 다공성 지지체 제조 및 특성 분석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3-D porous scaffold by polycaprolacton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2, 2016년, pp.58 - 65  

김진태 (충북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방중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현창용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최효정 (강원대학교 방사선학과) ,  김태형 (강원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조직공학용 지지체로 사용될 막을 개발하기 위한 초도 연구 수행으로, 염화나트륨(NaCl)을 기공형성체로 혼합한 폴리카프로락톤(PCL)용액을 유리 캐스팅판에 분주한 후 필름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다공성 PCL필름을 성형하였다. 성형된 필름은 건조 후 증류수에 침지시켜 NaCl을 추출하여 최종 멤브레인형 다공성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3차원 다공망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NaCl을 기공형성체로 이용하였으며 $4^{\circ}C$, 실온, $40^{\circ}C$의 세 가지 건조조건에 따른 다공망의 형성과 형태를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관찰 하였으며 기초적인 안전성 확보를 위한 세포독성평가를 시행하였다. 세 가지의 건조조건별 결과에서는 실온 건조조건에서 거대기공과 미세기공이 혼재된 3차원 다공망이 우수하게 형성된 것이 관찰되었으며 세포독성 시험결과 ISO10993-5 규격의 세포독성 판단기준에 따라 grade 2(mildly cytotoxic)로 나타난바 생체용으로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멤브레인형 다공성 지지체 제조에 건조조건이 3차원 다공망의 형성 및 거대기공과 미세기공이 함께 형성되는 것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는 다공성 멤브레인 지지체의 분해성 조절 및 약물 담지 효과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에서 다공도의 조절에 대한 기초적인 공정이 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 preparatory experiment aimed the development of membrane scaffolds for tissue engineering. A PCL composite solution contained sodium chloride(NaCl). PCL porous membrane scaffolds were formed on a glass casting plate using a film applicator and immersed in distilled water to remove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PCL을 이용한 다공성 멤브레인을 염출법으로 제조하여 분해성 조절 및 약물담지 효과를 개선하기 위한 초도 연구 수행으로, NaCl을 기공형성체로 이용한 다공성 PCL필름을 제조한 후 다공망 형성 결과관찰 및 기초적인 안전성 확보를 위한 세포 독성평가를 시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 제작된 다공성 PCL 지지체는 이식 후 수개월에 걸쳐 체내로 흡수 및 생분해되는 고분자 물질로서 다공망 형성을 목적으로 시행된 사전연구임을 고려하여 가장 기초적인 안전성여부를 관찰하기 위해 세포독성 평가를 시행하였다. 시험 결과 세포의 형태적 변화나 용해정도에서 판정기준에 따른 미약함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PCL을 이용한 다공성 지지체를 염출법으로 제조하여 분해성 조절 및 약물담지 효과를 개선하기 위한 예비연구로서 NaCl을 기공형성체로 이용한 다공성 PCL 필름형 지지체를 제조한후 다공형성결과 관찰 및 기초적인 안전성 확보를 위한 독성평가를 시행하였다.
  • 체외(in vitro)세포독성평가는 일반적으로 시험에 대한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용이하여 다양한 물질들에 대한 생체적합성 판단을 위한 초기 수단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평가에서는 다공성 PCL 지지체가 세포의 배양환경 상에서 마우스의 섬유아세포(L-929)에 세포독성을 야기하는지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시험 조건에 따라 다공성 PCL 지지체의 MEM 용출물은 배양배지의 산성도를 변화시키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지만 마우스 섬유아세포에 미약한 증식저해를 나타내었다.
  • 생분해성 고분자인 PCL을 염출법에 의하여 제조 후 조직공학적 지지체 및 담체를 개발하기 위한 예비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CL이란 무엇인가? PCL은 ε-caprolactone의 개환중합에 의해 생성되는 선형 지방족 폴리에스터의 일종으로 일반적으로 분자량 50,000 이상에서는 기계적 강도가 비교적 우수하고 60℃의 저융점 특성이 있어 취급이 용이한, 체내 효소에 의해 가수분해 되는 생분해성 고분자이다. 또한 다른 생분해성 고분자에 비해 비교적 매우 경제적이며 독성이 없어 의용재료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생분해성 지지체가 갖는 특성은? 조직공학에서의 생분해성 지지체는 신생조직이 형성되고 성장하며 손상된 조직을 대체, 또는 치료하기 위한 기간 동안 결손부에 위치하여 지지하면서 신생조직의 성장과 함께 분해되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3차원 다공망의 지지체는 신생조직의 형성에 요구되는 혈액 및 체액, 산소, 기타 영양분의 공급 통로로서 신생조직의 형성을 유도하고 지지체에 신생조직이 침투, 성장할 수 있는 조건을 부여한다.
macro기공을 이루는 지지면에서의 micro 기공 형성이 비교적 많지 않음이 의미하는 것은? 의 (A)에서 나타난바와 같이 macro기공을 이루는 지지면 에서의 micro 기공 형성은 비교적 많지 않았다. 이는 기공형성체인 NaCl의 입자크기가 커지면서 입자상호간의 간격도 상대적으로 커져 용매인 CHCl3가 건조 과정중에 발생하는 증발에서 지지구조의 전체적인 면에서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RP Lanza, R Langer, WL Chick, "Principles of tissue engineering", Academic Press, pp. 221-231, 1997 

  2. J.T. Kim, Sumin Lim, B.S Kim, D.Y. Lee, J.H. Choi,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3-D porous collagen scaffold", J.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vol.35, pp.192-196, 2014 

  3. Kwangwoo Nam, Tsuyoshi Kimura, Seiichi Funamoto, Akio Kishida, "Preparation of a collagen/polymer hybrid gel designed for tissue membranes. part I: Controlling the polymer-collagen cross-linking process using an ethanol/water co-solvent" Acta Biomaterialia, vol.6, pp.403-408, 2010. 

  4. JT Kim, DY Lee, JW Jang, TH Kim, YW Jang, "Characterization of cross linked hyaluronic acid microbeads by divinyl sulfone", J.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vol.34, pp.117-122, 2013 

  5. Marguerite Rinaudo, "Chitin and chitosan: Properties and applications", Prog. Polym. Sci. vol.31, pp.603-632, 2006 

  6. Zhensheng Li, Hassna R. Ramay, Kip D. Hauch, Demin Xiao, Miqin Zhang, "Chitosan-alginate hydrid scaffolds for bone tissue engineering" Biomaterials, vol.26(18), pp.3919-3928, 2005 

  7. Wen-Jen Lin, Chia-Hui Lu, "Characterization and permeation of microporous poly( $\varepsilon$ -caprolactone) films", Journal of Membrane Science, vol.198, pp.109-118, 2002 

  8. CH. Schugens, V. Maquet, C. Grandfils, R. Jerome, "Biodegradable and macroporous polylactide implants for cell transplantation: 1. Preparation of macroporous polylactide supports by solid-liquid phase separation", Polymer, vol.37(6), pp.1027-1038, 1996 

  9. Susan Hurrell, Ruth E. Cameron, "The effect of initial polymer morphology on the degradation and drug release form polyglycolide", Biometerials, vol.23(11), pp.2401-2409, 2002 

  10. Yuying Xie, Jong-Soon Park, Soon-Kook Kang,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biodegradable of synthetic PLGA membrane from lactic acid and glycolic acid", J.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6(4), pp.2958-2965, 2015 

  11. S J Park, Y S Shin, J R Lee, H B Lee, "Surface and controlled drug release properties of biodegradable polymer based on poly( $\varepsilon$ -caprolactone) and poly(ethylene glycol) blends", J. Korean Ind. Eng. Chem., vol.12(5), pp.523-527, 2001 

  12. C. Allen, J. Han, Y. Yu, D. Maysiger, A. Eisenberg, "Polycaprolactone- ${\beta}$ -poly(ethylene oxide) copolymer micelles as a delivery vehicle for dihydrotestosterone", J. Control. Rel., vol.63, pp.275-286, 2000 

  13. A.G.A. Coombes, S.C. Rizzi, M. Williamson, J.E. Barralet, S. Downes, W.A. wallace, "Precipitation casting of polycaprolactone for applications in tissue engineering and drug delivery" Biomaterials, vol.25, pp.315-325, 2004 

  14. N. Annabi, A. Fathi, S. M. Mithieux, A.S. Weiss, F. Dehghani, "Fabrication of porous PCL/elastin composite scaffolds for 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 J. of Supercritical Fluids, vol.59, pp.157-167, 2011 

  15. Guiying Liao, Shengbin Jiang, Xiaojun Xu, Yangli Ke, "Electrospun aligned PLLA/PCL/HA composite fibrous membranes and their in vitro degradation behaviors", Materials Letters, vol.82, pp.159-162, 2012 

  16. K. Fukushima, D. Tabuani, C. Abbate, M. Arena, P. Rizzarelli,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biodegradation of biopolymer nanocomposites based on fumed silica", European Polymer Journal, vo.47, pp.139-152, 2011 

  17. Siwon Son, J.E. Choi, Hun Cho, D.J. Kang, D.Y. Lee, J.T. Kim, U.W. Jang,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rous poly( $\varepsilon$ -caprolactone)/silica nanocomposites", Polymer(Korea), vol.39(2), pp.323-328, 2015 

  18. H. Deplanine, J.L. Gomez Ribelles, G. Gallego Ferrer, "Effect of the content of hydroxyapatite nanoparticles on the properties and bioactivity of poly(L-lactide)-Hybrid membranes", Composites Science and Technology, vol.70, pp.1805-1812, 2010 

  19. D,M. Verissimo, R.F.C. Leitao, R.A. Ribeiro, S.D. Figueiro, A.S.B. Sombra, J.C. Goes, G.A.C. Brito, "Polyanionic collagen membranes for guided tissue regeneration: Dffect of progressive glutaraldehyde cross-linking on biocompatibility and degradation", Acta Biomaterialia, vol.6, pp.4011-4018, 2010 

  20. JK Park, J Yeom, EJ Oh, M Reddy, JY Kim, DW Cho, HP Lim, NS Kim, SW Park, HI Shin, DJ Yang, KB Park, SK Hahn, "Guided bone regeneration by poly (lactic-co-glycolic acid) grafted byaluronic acid bi-layer films for periodontal barrier applications", Acta Biomaterialia, vol.5, pp.3394-3403, 2009 

  21. ISO 10993-5, Biological evaluation of medical devices-Part 5: Tests for in vitro cytotoxicity, 2009 

  22. Ji-hae Lee, Jong-Rok Lee, Ho-Jong Kang, "Preparation of poly(lactic acid) scaffolds by the particulate leaching", J. of Korean Oil Chemists' Soc., vol.20(4), pp.324-331,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