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직공학용 다공성 Polycaprolactone 멤브레인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rous Polycaprolactone Membrane for Tissue Engineering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6 no.1, 2016년, pp.26 - 31  

김진태 ((주)네오바이오텍 치과재료연구소) ,  김태형 (국립강원대학교 방사선학과) ,  최재하 (국립충북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폴리카프로락톤(PCL)에 NaCl을 혼합한 용액을 블레이드법에 의하여 막형태로 제조한 후 NaCl을 추출하는 염출법을 이용하여 조직공학적으로 사용할 3차원 다공망을 갖는 멤브레인 형태의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성형된 멤브레인의 건조조건과, NaCl 입자의 크기, NaCl의 혼합량을 각각 다르게 하여 제조하였다. 별도로 제작한 고분자용액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PCL/클로로포름($CHCl_3$) 용액에 NaCl 입자가 균일하게 혼합된 용액을 유리판에 분주하여 필름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블레이드법에 의한 멤브레인을 제조하였다. 멤브레인 지지체에는 NaCl 입자에 의한 거대기공과 거대기공을 이루는 구조벽에서는 $CHCl_3$의 증발에 의한 미세기공이 함께 복합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형성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ycaprolactone (PCL) has been fabricated into the membrane type scaffolds of 3 dimensional pore network for the 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s by the blade method of salt (NaCl) leaching and solution casting.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designs have each conditions of drying temperature, sa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PCL을 이용하여 3차원적 다공망을 갖는 멤브레인 지지체를 제조하기 위해 재료에 제한이 없으며 양산성을 고려한 경제적인 방법인 염출법 선택하고 PCL/CHCl3/NaCl 혼합용액을 casting blade법으로 기공의 크기가 제어가능하며 거대기공(> 50µm)과 미세기공(< 10 µm)이 복합적으로 형성된 멤브레인 형태의 다공성 지지체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직공학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생분해성 재료는 무엇이며 어떤 점을 개선 중인가? 일반적으로 체내에서 분해되는 요건은 효소와 물에 의한 가수분해특성이다. 현재 조직공학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생분해성 재료로는 천연고분자인 콜라겐[1-2], 히알루론산[3-7], 알긴산[8] 등이 있으며 생물학적 안전성이 높고 생체적합성이 우수하지만 가공성이 비교적 떨어지고 수일에서 수주 동안에 분해되는 반감기를 갖고 있어 물리/화학적 가교를 통하여 체내유지기간을 늘리고 기계적인 강도를 개선하고 있다[9-10]. 생분해성 합성고분자에는 대표적으로 poly lactic acid (PLA)[11-12], polycaprolactone (PCL)[13-17], poly(lacticco-glycolic acid)(PGA)[18] 등이 있으며 이들은 천연고분자보다 가공성과 강도가 우수한 반면 비교적 생체적합성과 분해성이 낮아 천연고분자와의 합성, 또는 생분해기간을 단축하기 위한 친수성 재료와의 복합화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어왔다.
조직공학적으로 사용되는 지지체의 중요한 기능으로 요구되는 것은 무엇인가? 조직공학적으로 사용되는 지지체는 체내에 이식된 후 신생조직이 형성되어 침투 및 성장할 수 있도록 생물학적으로 안전성을 확보해야 하며 결손조직공간에 위치하여 조직이 재생되는 기간 동안 공간을 유지할 수있는 강도가 요구된다. 또한 중요한 기능으로는 지지체의 표면부터 내부까지 열린 기공에 의한 다공망이 형성 되어 신생조직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과, 혈액이 공급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해야 하며, 신생조직이 성장하여 결손부가 재생치료 됨과 동시에 체내에서 생분해되어 체외로 배출되어야 하는 특성이 요구된다.
조직공학적으로 사용되는 지지체에는 무엇이 요구되는가? 조직공학적으로 사용되는 지지체는 체내에 이식된 후 신생조직이 형성되어 침투 및 성장할 수 있도록 생물학적으로 안전성을 확보해야 하며 결손조직공간에 위치하여 조직이 재생되는 기간 동안 공간을 유지할 수있는 강도가 요구된다. 또한 중요한 기능으로는 지지체의 표면부터 내부까지 열린 기공에 의한 다공망이 형성 되어 신생조직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과, 혈액이 공급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해야 하며, 신생조직이 성장하여 결손부가 재생치료 됨과 동시에 체내에서 생분해되어 체외로 배출되어야 하는 특성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 W. Nam, T. Kimura, S. Funamoto, and A. Kishida, "Preparation of a collgen/polymer hybrid gel designed for tissue membranes. Part I: Controlling the polymer-collagen cross-linking process using an ethanol/water co-solvent", Acta Biomaterialia, 6, (2010). 

  2. J. T. Kim, S. M Lim, B. S. Kim, D. Y. Lee, and J. H. Choi,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3-D porous collagen scaffold", J. of Biomedical Eng. Res., 35 (2014). 

  3. S. K. Hahn, J. K. Park, T. Tomimatsu, and T. Shimoboji, "Synthesis and degradation test of hyaluronic acid hydrogels", Inter. J. of Biological Macromolecules, 40 (2007). 

  4. Y. Luo, K. R. Kirker, and G. D. Prestwich,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drogel films: New biomaterials for drug delivery", J. of Controlled Release, 69 (2000). 

  5. J. T. Kim, C. H. Kook, and J. H. Choi, "Production equipment and method of polymer gel for bio-implantig", J. of Korean Soc. Of Mechanial Technology, 11, 3 (2009). 

  6. G. H. Cho and S. I. Cheong,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cross-linked hyaluronic acid membrane", Membr. J., 19, 4 (2009). 

  7. G. S. Han, J. E. Bae, I. S. Kim, and S. I. Cheong, "Application of hyaluronic acid membrane crosslinked with 1,3-Butadiene diepoxide", Membr. J., 18, 2 (2008). 

  8. H. M. Kim, J. Y. Park, E. Y. Kim, J. E. Song, S. Y. Kwon, J. W. Chung, and G. S. Khang, "Tissue engineered cartilage reconstruction with alginate sponge containing demineralized bone particles", Polymer(Korea), 38, 3 (2013). 

  9. O. J. Jeon, S. J. Song, K. J. Lee, M. H. Park, S .H. Lee, S. K. Hahn, S. J. Kim, and B. S. Kim, "Mechanical properties and degradation behaviors of hyaluronic acid hydrogels cross-linked at various cross-linking densities", Carbohydrate Polymers, 70 (2007). 

  10. J. T. Kim, D. Y. Lee, E. J. Kim, J. W. Jang, and N. I. Cho, "Tissue response to implants of hyaluronic acid hydrogel prepared by microbeads", Tissue Engineering and Regenerative Medicine, 11, 1 (2014). 

  11. M. X. Li, S. H. Kim, S. H. Park, J. K. Lee, and W. I. Lee, "A study on the effect of CNT on crystallization kinetics and hydrolytic degradation of PKA/CNT composite", Composites Research, 24, 4 (2011). 

  12. H. Deplaine, J. L. G. Ribelles, and G. G. Ferrer, "Effect of the content of hydroxyapatite nanoparticles on the properties and bioactivity of poly(L-lactide) - Hybrid membranes", Composites Science and Technology, 70 (2010). 

  13. W. Jen Lin, D. R. Flanagan, and R. J. Linhardt, "A novel fabrication of poly( ${\varepsilon}$ -caprolactone) and poly(ethylene glycol)s", Polymer, 40 (1999). 

  14. A. G. A. Coombes, S. C. Rizzi, M. Williamson, J. E. Barralet, S. Downes, and W. A. Wallace, "Precipitation casting of polycaprolactone for applications in tissue engineering and drug delivery", Biomaterials, 25 (2004). 

  15. T. Tanaka, T. Tsuchiya, H. Takahashi, M. Taniguchi, and D. R. Lloyd, "Microfiltration membrane of polymer blend of poly(L-lactic acid) and poly( ${\varepsilon}$ -caprolactone)", Desalination, 193 (2006). 

  16. S. W. Son, J. E. Choi, D. J. Kang, D. Y. Lee, J. T. Kim, and J. W. Jang,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rous poly( ${\varepsilon}$ -caprolactone)/silica nanocomposites", Polymer(Korea), 39, 2 (2015). 

  17. T. H. Yun, K. S. Kim, S. H. Cho, and K. H. Youm, "Preparation of polycaprolactone microcapsules by membrane emulsification method and its drug release properties", Membr. J., 17, 1 (2007). 

  18. J. E. Jang, H. M. Kim, H. S. Kim, D. Y. Jeon, C. H. Park, S. Y. Kwon, J. W. Chung, and G. S. Khang, "Inflammatory responses to hydroxyapatite/poly(lactic-co-glycolic acid) scaffolds with variation of compositions", Polymer(Korea), 38, 2 (2013). 

  19. J. H. Lee, J. R. Lee, and H. J. Kang, "Preparation of poly(lactic acid) scaffolds by the particulate leaching", J. of Korean Oil Chemists' Soc., 20, 4 (2003). 

  20. Mikos A. G, A. J. Thorsen, L. A. Czerwonka, Y. Bao, R. Langer, E. N. Winslow, and J. P. Vacanti,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L-lactic acid) foams", Polymer, 35 (1994). 

  21. Y. S. Nam, J. J. Yoon, and T. G. Park, "A novel fabrication method of macroporous biodegradable polymer scaffolds using gas foaming salt as porogen additive", J. of Biomed. Mater. Res., 53 (2000). 

  22. Y. S. Nam and J. G Park, "Porous biodegradable polymeric scaffolds prepared by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J. of Biomed. Mater. Res., 47, 1 (1999). 

  23. S. H. Lee, S. A. Park, and W. D. Kim, "Fabrication of porous 3D PCL scaffold using rapid prototyping system", Tissue Engineering and Regenerative Medicine, 7, 2 (2010). 

  24. S. H. Lee, Y. S. Cho, K. P. Choi, S. H. An, and C. H. Woo, "Fabrication of PCL scaffold using autoadhesion phenomenon", J. of Korean Soc. of Mechanical Technology, 14, 2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