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경병증 통증 모델에서 Carbenoxolone과 P2x receptor 길항제의 효과
Effects of Carbenoxolone and P2X recepter antagonist combined therapy on oral neuropathic pain in rat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2, 2016년, pp.123 - 128  

구인영 (경운대학교 치위생학과) ,  문선정 (경운대학교 치위생학과) ,  가경환 (경운대학교 경호학부) ,  박민경 (경운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안면부 신경병증 통증 모델에서 간극결합을 분리하는 Carbenoxolone(CBX)과 P2X 수용체길항제(iso-PPADS)의 진통작용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실험동물은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240~280g)를 사용하였으며, 안면부 신경병증 통증을 유발하기 위해 흰쥐의 하악 왼쪽 두 번째 어금니를 발거하고, 아랫 이틀신경의 손상을 유도하기 위해 소형 치과용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CBX를 복강으로 하루 2번 투여 했을 때, 25ug/kg에서 유의한 진통반응이 나타났다(p<0.05). iso-PPADS 역시 복강으로 하루 2번 투여 했을 때, 25ug/kg에서 유의한 진통반응이 나타났다(p<0.05). 두 약물의 각각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저 농도에서 함께 투여하였을 때, CBX 1ug/kg, iso-PPADS 2.5ug/kg를 투여 시 유의한 진통 효과가 나타났다(p<0.05). 저 농도의 CBX를 이용한 간극결합의 차단과 저 농도의 P2X 수용체의 길항제를 함께 투여 시 구강 안면신경병증통증기전에서 통증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CBX를 이용한 간극결합의 차단과 P2X 수용체의 길항제의 투여가 안면부 통증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analgesic effects of the Carbenoxolone(CBX)and P2X receptor antagonist(iso-PPADS), which separates the gap junction in the facial neuropathic pain model. The experiment used white male Sprague-Dawley rats (240~280g). The second left molars on the lower jaw w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신경병증통증 모델에서 간극결합의 차단과 P2X 이온친화성 수용체가 통증기전에서 주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중추에서 통증의 발생 및 조절에 기여하는 신경아교세포(gila)에서의 간극결합(gap junction)과 P2X 수용체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간극결합을 분리하는 Carbenoxolone(CBX)과 P2X 수용체 길항제(iso-PPADS)를 각각 투여하여 안면부 신경병증 동물모델의 통증행위반응을 알아보았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척수 손상 동물 모델에서 CBX를 척수강 내(intrathecal)로 투여했을 시 통증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6-1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경병증 통증이 유발된 실험동물의 통증행위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무해 자극 통증 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어떠한가? 악안면 영역에 아래이틀 신경에 잘못 식립된 임플란 트로 신경병증 통증을 유발하였어며, 신경병증 통증이 유발된 실험동물의 통증행위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무해 자극 통증 평가를 실시하였다. 임플란트 식립 후 1일째 부터 유의하게 통증 행위반응을 나타내었다[F(1,14)= 469.767, P < 0.05].psi의 숫치가 높을수록 진통반응이 나타나는 것이며,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증 반응은 평균 5psi 정도 통증을 확인하였다. 20일까지 유의하게 통증 반응이 나왔으며, 25일정도 손상된 신경의 회복 되었으며, 50일 정도에 완전 회복이 되었다.
신경병증성 통증이란? 사람이나 동물의 조직이나 신경의 손상에 의해 발생 하는 통증을 흔히 신경병증성 통증(neuropathic pain)이라고 하며, 원인이 없어지면 소실되거나, 수개월에 걸쳐 재발하는 통증의 양상이 다양한 프로세스에 의해 진행되 어진다[1]. 신경 손상 후 통증 전달의 기전으로 척수 후각신경(dorsal horn neuron) 세포의 흥분성을 증가시킬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
신경질환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무엇인가? 신경 손상 후 통증 전달의 기전으로 척수 후각신경(dorsal horn neuron) 세포의 흥분성을 증가시킬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 특히 신경아교세포(glial cell)의 활성화는 신경질환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 퇴행성신경질환에서 활성화된 신경아교세포에 의하여 신경세포의 사멸과 그에 따른 신경질환이 유도된다는 학설이 보고되었으며[4], 이러한 관점에서 신경아교세포의 기능이 강조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M. T. Mendlik, T. J. Uritsky, Treatment of Neuropathic Pain. Curr Treat Options. Neurol, Vol.50, No.12, 2015. DOI: http://dx.doi.org/10.1007/s11940-015-0381-2 

  2. C. J. Woolf, Physiological, inflammatory and neuropathic pain. Adv Tech Stand Neurosurg. Vol.15, pp39-62. 1987. DOI: http://dx.doi.org/10.1007/978-3-7091-6984-1_2 

  3. Y. Ge, F. Wu, X. Sun, Z. Xiang, L. Yang, S. Huang, Z. Lu, Y. Sun, W. F. Yu, Intrathecal infusion of hydrogen-rich normal saline attenuates neuropathic pain via inhibition of activation of spinal astrocytes and microglia in rats. PLoS One. Vol.23, No.5. ppe97436.2014. DOI: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097436 

  4. K. L. Sato, L. M. Johanek, L. S. Sanada, K. A. Sluka, Spinal cord stimulation reduces mechanical hyperalgesia and glial cell activation in animals with neuropathic pain. Anesth Analg .Vol.118, No.2. pp 464-472. 2014. DOI: http://dx.doi.org/10.1213/ANE.0000000000000047 

  5. S. Lee, Y. Q. Zhao, A. Ribeiro-da-Silva, J. Zhang, Distinctive response of CNS glial cells in oro-facial pain associated with injury, infection and inflammation. Mol Pain. Vol.79, No.6. 2010. DOI: http://dx.doi.org/10.1186/1744-8069-6-79 

  6. R. S. Tonkin, Y. Mao, S. J. O'Carroll, L. F. Nicholson, C. R. Green, C. A. Gorrie, Moalem-Taylor G. Gap junction proteins and their role in spinal cord injury. Front Mol Neurosci. Vol.7, No.6. 2015. DOI: http://dx.doi.org/10.3389/fnmol.2014.00102 

  7. Q. Chang, R. J. Balice-Gordon, Gap junctional communication among developing and injured motor neurons. Brain Res. Vol.32, pp242-249. 2000. DOI: http://dx.doi.org/10.1016/S0165-0173(99)00085-5 

  8. Q. Chang, M. Gonzalez, M. J. Pinter, R. J. Balice-Gordon, Gap junctional coupling and patterns of connexin expression among neonatal rat lumbar spinal motor neurons. J. Neurosci. Vol.19, pp10813-10828. 1999. 

  9. M. V. Bennett, J. M. Garre, J. A. Orellana, F. F. Bukauskas, M. Nedergaard, C. Giaume, Connexin and pannexin hemichannels in inflammatory responses of glia and neurons. Brain Res. Vol.1487. pp3-15. 2012 DOI: http://dx.doi.org/10.1016/j.brainres.2012.08.042 

  10. M. J. Chen, B. Kress, X. Han, K. Moll, W. Peng, R. R. Ji, Astrocytic CX43 hemichannels and gap junctions play a crucial role in development of chronic neuropathic pain following spinal cord injury. Glia. Vol.60, pp1660-1670. 2012. DOI: http://dx.doi.org/10.1002/glia.22384 

  11. Y. H. Jeon, D. H. Youn, Spinal Gap Junction Channels in Neuropathic Pain. Korean J Pain. Vol.28, No.4, pp.231-235. 2015. DOI: http://dx.doi.org/110.3344/kjp.2015.28.4.231 

  12. O. Chever, C.-Y. Lee, N. Rouach, Astroglial connexin43 hemichannels tune basal excitatory synaptic transmission. J. Neurosci. Vol.34 pp.11228-11232.2014 DOI: http://dx.doi.org/10.1523/JNEUROSCI.0015-14 

  13. Burnstock G. Physiology and pathophysiology of purinergic neurotransmission. Physiol Rev. Vol.12 pp.659-797. 2007. DOI: http://dx.doi.org/10.1152/physrev.00043.2006 

  14. M. K. Lee, S. R. Han, M. K. Park, M. J. Kim, Y. C. Bae, S. K. Kim, J. S. Park, D. K. Ahn, Behavioral evidence for the differential regulation of p-p38 MAPK and p-NF- ${\kappa}B$ in rats with trigeminal neuropathic pain. Mol Pain. Vol.5. No. 7.pp.57-61.2011. DOI: http://dx.doi.org/10.1186/1744-8069-7-57 

  15. H. R. Han, S .P. Yeo, M. K. Lee, Y. C. Bae, D. K. Ahn, Early dexamethasone relieves trigminal neuropathic pain. J Dent Res. Vol. 89, No. 9. pp 915-920. 2010. DOI: http://dx.doi.org/10.1177/0022034510374056 

  16. M. Kamalpour, M. Fereidoni, A. Moghimi. Effects of intrathecal carbenoxolone treatment on nociception and analgesia in rat. Balkan Med J. Vol. 31, No. 2. pp164-172. 2014. DOI: http://dx.doi.org/10.5152/balkanmedj.2014.13099 

  17. Q. Xu, Y. K. Cheong, F. Yang, V. Tiwari, J. Li, J. Liu, S. N. Raja, W. Li, Y. Guan, Intrathecal carbenoxolone inhibits neuropathic pain and spinal wide-dynamic range neuronal activity in rats after an L5 spinal nerve injury. Neurosci Lett. Vol. 563, No. 20. pp 45-50.2014. DOI: http://dx.doi.org/10.1016/j.neulet.2014.01.042. 

  18. M. P. Abbracchio, G. Burnstock, Purinergic signalling: pathophysiological roles. Jpn J Pharmacol. Vol.78, pp113-45. 1998. DOI: http://dx.doi.org/10.1254/jjp.78.113 

  19. Chessell IP, Hatcher JP, Bountra C, Michel AD, Hughes JP, Green P, Egerton J, Murfin M, Richardson J, Peck WL, Grahames CB, Casula MA, Yiangou Y, Birch R, Anand P, Buell GN. Disruption of the P2X7 purinoceptor gene abolishes chronic inflammatory and neuropathic pain. Pain. Vol.114, pp386-96. 2005. DOI: http://dx.doi.org/10.1016/j.pain.2005.01.002 

  20. W. Li, J. Li, A. E. Sama, H. Wang. Carbenoxolone blocks endotoxin-induced protein kinase R (PKR) activation and high mobility group box 1 (HMGB1) release. Mol Med. Vol.19, pp203-211, 2013. DOI: http://dx.doi.org/10.2119/molmed.2013.00064 

  21. G. CHRISTIAN, V. LAURENT, Intercellular Calcium Signaling and Gap Junctional Communication in Astrocytes. Glia. Vol.24, pp50-64, 1998. DOI: http://dx.doi.org/10.1002/(SICI)1098-1136(199809)24:1%3C50::AID-GLIA6%3E3.3.CO;2-Z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