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온라인 구전정보의 특성이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s of WOM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n WOM Effect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2, 2016년, pp.307 - 314  

최영민 (동아대학교 경영학과) ,  배상욱 (부경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SNS상에서 발생하는 온라인 구전 역할의 증대에 따라 SNS 매체에 따른 구전정보의 특성이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구전정보가 보다 생생하고, 부정적이고, 사실적일수록 정보수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또한 정보수용의도가 재구전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전정보의 특성이 구전정보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은 페이스북과 블로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소비자는 정보를 수용하고 재구전하는 과정에서 SNS 매체의 특성과는 관계없이 모두 하나의 온라인 매체로 인식하기 때문인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이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SNS와 하이테크 제품에 주목하여 온라인 정보수용과정에 영향을 주는 정보특성 변인들을 개념화하고 구전효과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했으며 구전정보의 특성과 구전효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영역을 SNS 매체유형인 페이스북과 블로그로 확장을 시도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끝으로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mpirically validate the impacts of WOM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n the WOM effect in accordance with SNS media due to the increased the WOM role under SNS. The key results showed that the more vivid, negative, and objective WOM information was, the more positive impacts on the intenti...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제시된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고려하여 SNS 환경에서 하이테크 제품에 대한 구전정보의 수용과 재전달 되는 과정에 초점을 둘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SNS상에서 하이테크 제품에 대한 구전정보의 특성이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관계가 SNS 매체 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가설 1: 구전정보가 생생할수록 정보수용의도는 높아질 것이다.
  • 가설 2: 구전정보가 부정적일수록 정보수용의도는 높아질 것이다.
  • 가설 3: 구전정보의 속성이 사실적일수록 정보수용의도는 높아질 것이다.
  • 가설 4: 정보수용의도가 높아질수록 재구전의도는 높아질 것이다.
  • 가설 5: SNS 매체별 유형(페이스북 vs 블로그)에 따라 구전정보 특성이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은 달라질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많은 정보탐색과 소통이 온라인 모바일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이유는? 최근 온라인과 모바일 환경이 급속하게 발전함에 따라 수많은 정보탐색과 소통이 온라인 모바일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온라인 환경에서의 구전활동은 SNS, 개인블로그(Blog), 고객게시판, 전문가 및 고객 리뷰를 통해 급속도로 퍼져가고 있으며 특히, SNS상의 구전활동은 과거 오프라인 구전에 비해 훨씬 강력하게 소비자의 정보탐색, 구매결정, 기업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
SNS상의 온라인 구전이 소비자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최근 온라인과 모바일 환경이 급속하게 발전함에 따라 수많은 정보탐색과 소통이 온라인 모바일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온라인 환경에서의 구전활동은 SNS, 개인블로그(Blog), 고객게시판, 전문가 및 고객 리뷰를 통해 급속도로 퍼져가고 있으며 특히, SNS상의 구전활동은 과거 오프라인 구전에 비해 훨씬 강력하게 소비자의 정보탐색, 구매결정, 기업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 기업들도 이러한 SNS상의 온라인 구전이 소비자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인식하여 소비자들로 하여금 SNS를 활용하여 자발적인 입소문과 추천을 하도록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온라인 환경에서의 구전활동은 무엇을 통해 퍼져나가고 있는가? 최근 온라인과 모바일 환경이 급속하게 발전함에 따라 수많은 정보탐색과 소통이 온라인 모바일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온라인 환경에서의 구전활동은 SNS, 개인블로그(Blog), 고객게시판, 전문가 및 고객 리뷰를 통해 급속도로 퍼져가고 있으며 특히, SNS상의 구전활동은 과거 오프라인 구전에 비해 훨씬 강력하게 소비자의 정보탐색, 구매결정, 기업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 기업들도 이러한 SNS상의 온라인 구전이 소비자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인식하여 소비자들로 하여금 SNS를 활용하여 자발적인 입소문과 추천을 하도록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S. N. Lee, K. Y. Lee, "Determinants of eWOM Behavior of SNS Users: With Emphasis on Personal Characteristics, SNS Traits, Interpersonal Influence, Social Capital",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15(4), pp. 273-315, 2013. 

  2. J. Y. Park,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Word of Mouth Information Communicated Through SNS's on Word of Mouth Effects",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7(6), pp. 273-315, 2013. 

  3. H. S. Yun, S. W. Bae, "The Effect of Sender's and Receiver's Expertise On the Receiver's Attitude about Word-of-Mouth: The Moderating Role of Tie Strength",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16(2), pp. 83-112. 2011. 

  4. T. W. Park, K. Y. Lee, "An Integrated Model of Information Processing of eWOM in Social Network Service", Advertising Research, 100, pp. 172-224. . 

  5. S. Y. Jun , R. Chae, H. K. Park,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M Information on the WOM Communication Intention of a Sender",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6(5), pp. 71-91. 2015. 

  6. Boyd, D. M., , Ellison, N. B.,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3(1), pp. 210-230, 2008. DOI: http://dx.doi.org/10.1111/j.1083-6101.2007.00393.x 

  7. Chu, Kim, "Determinants of Consumer Engagement in Electronic Word-of-Mouth in Social Networking Sites",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30, pp. 47-75, 2011. DOI: http://dx.doi.org/10.2501/IJA-30-1-047-075 

  8. J. H. Kim, E. M. An, G. H. Kim, "Effects Information Directionality and Types of Information Based on Tie Strength Between Senders and Receivers on Senders' Word-of-Mouth Intention",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7(1), pp. 93-112, 2006. 

  9. J. Y. Ko, H. K. Kim and S. J. Yun, "A Study on the Effect of Message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in e-WOM : Focused on Facebook Users", Service Marketing Journal, 9(1), pp. 15-28, 2014. 

  10. J. Y. Lee and P. S. Jang, "Effects of Message Polarity and Type on Word of Mouth through SN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2013, 11(6), pp. 129-135, 2013. 

  11. S. W. Shin, J. H. Kim, "The Effects of Reply Valence, Consensus and Friend's Recommendation on the Word-of-Mouth Diffusion and Purchase Intention within the Context of Social Network Service", The e-Business Studies, 14(5), pp. 3-32, 2013. 

  12. S. H. Kim, H. J. Cheon, "The Effect of Social Distance of Messenger, Source Credibility and Message Sidedness on Increase or Decrease of Persuasion",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6(8), pp. 35-59, 2015. 

  13. D. C. An, S. H. Kim, " Attitudes toward SNS Advertising : A Comparison of Blog, Twitter, Facebook, and YouTub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3(3), pp. 53-84. 2012. 

  14. J. Wirtz, P. Chew, "The Effects of Incentives Deal Proneness, Stisfation and Tie Strength on Word-of-Mouth Behavior", International Journal of Service Industry Management, 13(2), pp. 141-162. 2002. DOI: http://dx.doi.org/10.1108/09564230210425340 

  15. S. J. Lee, H. J. Bang, S. W. Noh, "Effective Advertising Message Strategies for eWOM in SNS: Regarding the Tie Strength, Message Characteristics and Product Involvement,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3(4), pp. 119-146, 2012. 

  16. E. A. Park, "Effects of the Direction of Online Reviews on Purchase Decision : The Role of Product Type and Brand Reputation",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18(5), pp. 7-22. 2007. 

  17. C. Park, C. J. Yoo, "Study on the Effects of Consumers' Word of Mouth about Brand Experiences and Responses on Brand Evaluations at Online Context," Journal of Consumer Studies, 17(1), pp. 73-93, 2006. 

  18. S. wang, N. R. Cunningham, M. S. Eastain, " The Impact of eWOM Message Characteristics and on the Perceived Effectiveness of Online Consumer Reviews", Journal of Interactive Advertising, 15(2), pp. 151-159, 2015. DOI: http://dx.doi.org/10.1080/15252019.2015.1091755 

  19. J. H. Lee, S. J. Doh, J. S. H, "The Effectiveness of Online WOM: The Role Direction, Usefulness, and IR(Interaction Readiness)",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12(2), pp. 283-307, 2011. 

  20. R. E. Nisbett and L. Ross, "Human Inference: Strategies and Shortcomings of Social Judgment," Englewood Cliffs, N. J.: Prentice-Hall, 1980. 

  21. P. M. Herr, F. R. Kardes, J. Kim, "Effects of word-of-mouth and product attribute information on persuasion: An accessibility-diagnosticity perspectiv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7(4), pp.454-462, 1991. DOI: http://dx.doi.org/10.1086/208570 

  22. J. W. Lim, E. Y. Lee, "online word-of-mouth, online information, credibility, referability, consensus, vividness, community interaction, information accessibility, information flexibility", Korean Marketing Journal, 8(4), pp. 59-77, 2007. 

  23. H. B. Yang, S. Y. Seo, Y. H. Nam and H. Y. Lee, "The Effects of Online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n the Online Word-of-Mouth : The Mediation Effects of Product Involvement and Trust", The Journal of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11(1), pp. 31-53, 2011. 

  24. S. Yi, C. Park, "Factors Influencing e-WOM through SNS: Focus on China Weibo", Journal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 19(1), pp. 131-156, 2015. DOI: http://dx.doi.org/10.18327/jias.2015.04.19.1.131 

  25. R. E. Smith, R. F. Lusch, "How Advertising Can Position a Brand",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16(1), pp. 37-43, 1976. 

  26. M. B. Holbrook, "Beyond attitude structure: Toward the information determinants of attitud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5(4), pp. 545-556, 1978. DOI: http://dx.doi.org/10.2307/3150624 

  27. C. H. Kim, "A study on the online Words of mouth Behavior: Structural Analysis of the online WOM information searching, Website visit, Purchase and WOM information delivery", Korea Research Academy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view,13(5), pp. 55-75, 2010. 

  28. J. A. Edell, R. Staelin, "The Information Pro- cessing of Pictures in Print Advertisement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0(June), pp. 45-61, 1983. 

  29. S. Y. Jun, H. J. Park, "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n Word-of-Mouth Effect", Journal of Consumer Studies, 14(4), pp. 21-44, 2003. 

  30. M. J. Kim, U. H. Seo, "Causal Model of Online Word-of-Mouth Information Redelivery : focusing on reviews of fashion related goods, Journal of Consumption Culture, 13(2), pp. 95-114, 2010. DOI: http://dx.doi.org/10.17053/jcc.2010.13.2.005 

  31. R. M. Schindler, B. Bickart, "Published Word of Mouth: Regerable, Consumer-generated Information on the Internet," In Haugtvedt, C.P., Machleit, K.A., Yalch, R.F.(Eds.)," Online Consumer Psychology; Understanding and Influencing Consumer Behavior in the Virtual World.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p. 35-62, 2005. 

  32. L. L. Golden, M. I. Alpert, "Comparative analysis for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one-sided and two-sided communications for contrasting products," Journal of Advertising, 16, pp. 18-28, 1987. DOI: http://dx.doi.org/10.1080/00913367.1987.10673056 

  33. Aaker, L. Jennifer, "Dimensions of Brand Personalit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4(3), pp. 347-356, 1997. 

  34. T. M. Lee, C. Park, "Effects of Direction and Type of Electronic Word of Mouth Information on Purchase Decision: Cross-Cultural, Comparision between Korea and U. S.", Korea Marketing Review, 21(1), pp. 29-56, 2006. DOI: http://dx.doi.org/10.2307/3151897 

  35. J, Anderson, W. Gerbing,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 stage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27(1), pp.5-24. 1988.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