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NS 유형과 이용강도에 따른 광고 메시지 형태 및 정보원별 수용태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Receptive Attitude of Advertising Message Forms and Information Sources According to SNS' Type and Use Intensit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11, 2018년, pp.255 - 265  

김화동 (목원대학교 광고홍보언론학과)

초록

본 연구는 SNS의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SNS 유형 및 SNS 이용강도에 따라 어떤 광고 메시지 형태와 정보원이 더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메시지 형태별 실험적 광고물을 개발하고 정보원별 상황을 설정한 내용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메시지 형태별 광고효과는 SNS 유형과 이용강도에 따라 차이를 보여 사실적 메시지는 관심사기반 SNS와 이용강도가 높은 이용자에서 더 크고, 평가적 메시지는 이용강도에 따른 차이 없이 관계기반 SNS 이용자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원별 광고효과는 SNS 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여 친구 및 동료와 SNS로 아는 사람인 경우는 관계기반 SNS 이용자에서 더 크고, 기업인 경우는 관심사 기반 SNS 이용자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SNS 이용강도에 따라서는 차이 없이 친구 및 동료인 경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실무적 측면에서 SNS를 이용한 광고전략 수립에 기여하는 바가 있으며, 향후에는 연구대상 SNS와 조사대상자를 보다 다양하게 하는 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kind of message forms and information sources more effect according to SNS' type and use intensity. To this end, this study did experimental analysis using collected data by survey which manufactured message forms and situational contents of information sources. Accordin...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이들 선행연구에서는 SNS 광고가 다양한 형태로 수행되고 있고 이용강도의 영향이 이러한 광고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SNS 이용강도에 따른 광고형태별 효과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 하지만 실제로 소비자의 구매를 자극하는 목적을 가지고 수행하는 SNS 광고의 메시지 형태는 사실적 메시지와 평가적 메시지로 구분되는 경우가 훨씬 더 많아 국내에서는 이러한 구분에 의한 연구들[6,18,19]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NS 광고의 메시지 형태를 사실적 메시지와 평가적 메시지로 구분하고자 한다. 이에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그 형태를 개념화하면, 사실적 메시지는 표현내용에 대한 개별적 해석의 가능성이 적은 메시지의 형태이고, 평가적 메시지는 내용을 주관적 또는 감정적으로 표현함으로써 개별적 해석의 가능성이 비교적 높은 메시지의 형태라고 정의되어질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학자들 간 일반적으로 수용되고 있는 유형분류가 없는 상황에서 SNS 유형을 커뮤니티 기반 네트워크 특성과 이용동기를 기준으로 한 관계기반 SNS와 관심사기반 SNS로 구분하여 광고형태별 효과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 이상의 맥락에서 본 연구는 SNS의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SNS 유형과 SNS 이용강도에 따라 어떠한 형태의 광고 메시지와 정보원이 더 효과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이론적 측면에서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SNS 이용자의 심리적 기제 및 행동적 특성에 따른 광고 형태별 수용태도를 설명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 나아가 정보원의 친밀감 및 유대감 정도에 따라 지인을 보다 세분화하여 친한 친구, 친하지 않은 사람, 그리고 기업으로 구분한 연구[6]도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보원의 친밀감 및 유대감 정도를 기준으로 그 정도가 강한 정보원일때 약한 정보원보다 정보제공 효과가 더 크다는 점에서 SNS 내 정보원의 형태를 친한 친구 및 동료, SNS로 아는 사람, 기업 등 3가지로 구분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1: SNS 유형에 따라 관계기반 SNS에서는 평가적 메시지 형태의 광고 수용태도가 더 크고, 관심사기반 SNS에서는 사실적 메시지 형태의 광고 수용태도가 더 클 것이다.
  • 가설 1-2: SNS 이용강도에 따라 높은 이용자에서는 평가적 메시지 형태의 광고 수용태도가 더 크고, 낮은 이용자에서는 사실적 메시지 형태의 광고 수용태도가 더 클 것이다.
  • 가설 1-3: SNS 유형과 SNS 이용강도의 상호작용 효과로 SNS 유형내 이용강도에 따라 메시지 형태별 광고 수용태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1: SNS 유형에 따라 관계기반 SNS에서는 친한 친구 및 동료와 SNS로 아는 사람에 의한 광고 수용태도가 더 크고, 관심사기반 SNS에서는 기업에 의한 광고 수용태도가 더 클 것이다.
  • 가설 2-1: SNS 이용강도에 따라 높은 이용자에서는 친한 친구 및 동료와 SNS로 아는 사람에 의한 광고 수용태도가 더 크고, 낮은 이용자에서는 기업에 의한 광고 수용태도가 더 클 것이다.
  • 가설 2-3: SNS 유형과 이용강도의 상호작용효과로 SNS 유형내 이용강도에 따라 정보원 형태별 광고 수용태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NS란? SNS(Social Network Service)는 PC와 스마트폰 등의 디바이스로 통신망에 접속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다른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이다. 이러한 SNS가 인터넷 네트워크의 일반화와 함께 스마트폰이 등장하면서 그 종류와 이용이 확산되어 정보를 생산하고 공유하는 커뮤니케이션의 중심이 되어가고 있다[1].
한국 온라인광고협회에 따르면 SNS 광고시장의 규모의 추세는 어떠한가? 최근 SNS 이용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SNS 광고가 온라인 광고시장의 새로운 대세로 등장하였다. 한국온라인광고협회[30]에 따르면 2017년 국내 온라인 광고시장의 규모는 4조 4,389억원으로 방송 광고시장의 규모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모바일 SNS를 이용한 국내광고시장의 규모가 2017년 2조 2,585억원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였다.
SNS의 개념은 무엇인가? 소셜미디어들 중 가장 각광받고 있는 SNS의 개념은 온라인상에서 친구, 선후배, 동료 등과 같은 지인들과의 상호관계를 강화시키고 새로운 인맥을 쌓으며 폭넓은 인적 네트워크 형성 및 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이다[8]. 현재 SNS는 웹기반의 서비스 이외에도 전자우편이나 인스턴트 메신지 서비스를 통해 이용자들끼리 서로 연락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을 하거나 정보를 공유하는 새로운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H. D. Kim. (2016). The Effect of Online Shopping Values Factors on Credibility and Purchasing Intention of Product Information of SNS: Focus on Difference of Consumers' Involvement and Prior knowledge. Journal of Practical Research in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9-4, 114-132. 

  2. M. J. Choi & S. C. Yang. (2009). Internet Social Media and Journalism. Korea Press Foundation. 

  3. J. K. Lee & Y. Choi. (2015). Why People Use Social Media? :A Comparison of Open and Closed SNS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9(1), 115-148. 

  4. S. S. Kim & J. A. Bae. (2014).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SNS Communicators :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Facebook and Twitter, The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1(4), 97-139. 

  5. S. W. Shin & W. H. Kim. (2011). A Study on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Use Motives of Social Media on Advertisement Uses.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13(2), 342-376. 

  6. E. A. Yu & H. C. Kim. (2014). The Communication Effects of Information Source and Message Type in Facebook: Focused on Self-Brand Congruity and Peer Influence.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5(8), 425-456. 

  7. J. Phua & S. J. Ahn. (2014). Explicating the 'Like' on Facebook Brand Pages: The Effect of Intensity of Facebook Use, Number of Overall 'Likes', and Number of Friends' 'Likes' on Consumers' Brand Outcomes. Journal of Marketing Communications, (ahead-of-print), 1-16. (DOI:10.1080/135272266.2014.941000) 

  8. Y. R. Choi. (2011). Paradigm Characteristics of Social Marketing and Its Promotion Strategies. The e-Business Studies, 12(2), 343-362. 

  9. Y. J. Yang & J. S. Yoo. (2014). A Study on th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Factors on SNS Engagement and Word-of-mouth Effect.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16(4), 44-76. 

  10. E. S. Lee & M. K. Kim. (2012). A Study on Companies' Fan Pages on Facebook as a Marketing Communication Channel.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3(2), 31-55. 

  11. H. M. Kim. (2014). A Study on Curation Services for Brand Relationships Utilization. Communication Design Academic Studies, 48, 112-124. 

  12. G. Y. Lee & H. J. Lee. (2015). A Study of Advertisement Effects in Fashion Advertising of Image-based SNS: Focused on Instagram.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Conference Proceeding. 

  13. E. S. Lee, Y. J. Kim & J, S. Ahn. (2013). Effects of Brand Self-Disclosure and User Social Connectedness on Response to Facebook Brand Fan Pag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8), 60-71. 

  14. N. B. Ellison, C. Steinfield & C. Lampe. (2007). The Benefits of Facebook "Friends": Social Capital and College Students'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Journal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12(4), 1143-1168. 

  15. C. H. Cho, Y. H. Sung, K. J. Han, T. J. Kwon & W. Y. Choi. (2011). Analysis of Twitter Usage -Twitter Influence and Corporation Usage. Advertising Research, 88, 98-126. 

  16. G. H. Min, H. S. Park, M. J. Song & J. K. Lee. (2015). The Effects of Types of Ads and the Intensity of Use on Electronic Word-of-Mouth in Facebook: The Moderating Role of Independents Self-Construal.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6(8), 7-33. 

  17. D. C. An & S. H. Kim. (2012). Attitudes toward SNS Advertising: A Comparison of Blog, Twitter, Facebook, and YouTube.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3(3), 53-84. 

  18. J. Y. Lee & P. S. Jang. (2013). Effects of Message Polarity and Type on Word of Mouth through SN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6), 129-135. 

  19. S. J. Lee, H. J. Bang & S. W. Noh. (2012). Effective Advertising Message Strategies for eWOM in SNS: Regarding the Tie Strength, Message Characteristics and Product Involvement.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3(4), 119-146. 

  20. P. Aula. (2010). Social Media, Reputation Risk and Ambient Publicity Management. Strategy & Leadership, 38(6), 43-49. 

  21. S. S. Hansen, J. K. Lee & S. Y. Lee. (2014). Consumer-Generated Ads on Youtube: Impacts of Source Credibility and Need for Cognition on Attitudes, Interactive Behaviors, and Ewom.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15(3), 254-266. 

  22. H. R. Kim & C. H. Cho. (2014). Effects of Source's Social Distance on Consumer's Responses to Corporate Facebook Page: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Blatant Persuasive Intention, Normative Interpersonal Influence and Informative Interpersonal Influence.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5(5), 7-42. 

  23. B. Lawrence, S. Fournier & F. Brunel. (2013). When Companies don't Make the Ad: A Multimethod Inquiry into the Differential Effectiveness of Consumergenerated Advertising. Journal of Advertising, 42(4), 292-307. 

  24. H. J. Paek, T. Have, H. J. Jeong & M. Kim. (2011). Peer or Expert? The Persuasive Impact of YouTube Public Service Announcement Producers.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30(1), 161-188. 

  25. Y. W. Shin & C. H. Cho. (2014). A Study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of Source Expertness and Social Distance in Facebook : Applying Persuasion Knowledge Model.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5(1), 7-33. 

  26. N. J. DeVries & J. Carlson. (2014). Examining the Drivers and Brand Performance Implications of Customer Engagement with Brands in the Social Media Environment. Journal of Brand Management, 21(6), 495-515. 

  27. B. Jahn & W. Kunz. (2012). How to Transform Consumers into Fans of Your Brand. Journal of Service Management, 23(3), 344-361. 

  28. S. Borle, U. Dholakia, S. Singh & E. Durham. (2012). An Emprical Investigation of Impact of Facebook Fan Page Participation on Customer Behavior. Marketing Science, 52(2), 1-36. 

  29. D. G. Taylor, J. E. Lewin & D. Strutton. (2011). Friends, Fans, and Followers: Do Ads Work on Social Network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51(1), 258-275. 

  30. Korea Online Ad Association. (2018). Analysis and Prospect 2017 Korea Online Ad Market. 

  31. KISA. (2015). Factual Survey on 2015 Mobile Internet Usin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