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주민들의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환경특성에 대한 실증분석: 서울시를 대상으로
The Influence of Urban Environment on the Happiness Level of the Residents: Focused on 25 Boroughs(gu) in Seoul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2, 2016년, pp.351 - 360  

이우민 (공주대학교 도시.교통공학과) ,  서승연 (청주시도시재생지원센터 기획총괄팀) ,  이경환 (공주대학교 도시.교통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개인의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도시환경 특성요소를 추출하고 실제 주민들의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보다 행복한 도시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도시정책과 도시계획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개인의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환경 요소를 구성하기 위해 도시환경 특성(물리적 환경, 자연적 환경, 사회적 환경) 변수와 개인 특성(개인의 사회 경제적 특성) 변수를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의 물리적 환경이 개인의 행복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인구밀도가 낮고 보행환경만족도가 높을수록 개인의 행복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시의 자연적 환경이 개인의 행복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1인당 공원면적이 넓고 녹지만족도가 높을수록 개인의 행복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시의 사회적 환경이 개인의 행복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신뢰가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directions for urban planning and policies for the creation of a happy urban environment.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extracted the urban environment characteristic elements that were expected to affect the levels of individual happiness and empi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6; Vemuri and Costanza, 2006). 이에 본 연구는 공원면적, 녹지만족도와 같은 도시의 자연적 환경이 서울시민들의 행복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 이외 물리적 환경도 시민 개인의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에서 언급된 상업비율, 문화시설, 공공체육시설 등과 함께 인구밀도, 보행환경만족도와 같은 도시의 물리적 환경이 서울시민들의 행복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실제 지역주민들의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환경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행복한 도시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도시정책과 도시계획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는 시민들의 사회자본을 열악하게 만들고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안전성, 사회적 신뢰수준과 같은 도시의 사회적 환경이 서울시민들의 행복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 위와 같이 관련 연구들을 검토해 본 결과 개인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행복수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는 주로 사회학 및 심리학 분야에서 많이 진행되었지만 행복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도시환경특성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으며, 특히 국내에서는 관련 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지역주민들의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환경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개인의 행복에는 소득, 나이, 직업과 같은 사회경제적특성 뿐만 아니라 외적인 환경, 더 나아가 도시환경도 영향을 미친다. 이에 서울시 각 자치구별 주민행복지수를 살펴본 결과, 모두 다른 것을 확인함으로써 도시환경에 따라 주민들의 느끼는 행복수준이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였고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지역주민들의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환경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고,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의 물리적 환경이 지역주민들의 행복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첫째, 도시의 물리적 환경이 지역주민들의 행복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인구밀도가 낮고 보행환경만족도가 높을수록 지역주민들의 행복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밀도는 개인의 행복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서울과 같은 고밀도시에서 밀도를 높이는 정책은 지역주민들의 행복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우리나라는 소득수준에 비해 행복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현재 우리나라는 사회의 급속한 성장과 함께 빈부격차, 소통단절, 삶의 질 저하 등 다양한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OECD의 통계결과(http://stats.oecd.org/)에 의하면 2015년 우리나라 국민들의 삶의 만족도 점수는 5.8점으로 OECD 가입국의 평균인 6.6점보다도 훨씬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현상은 지속되어오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는 소득수준에 비해 행복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현재 우리나라는 사회의 급속한 성장으로 어떤 문제들이 나타나는가? 현재 우리나라는 사회의 급속한 성장과 함께 빈부격차, 소통단절, 삶의 질 저하 등 다양한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OECD의 통계결과(http://stats.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http://stats.oecd.org/ 

  2. J. D. Sachs., J. F. Helliwell., R. Layard., "World Happiness Report 2012", The Earth Institute, 2012 

  3. W. S. Kang., "Human and Physical Environment",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48, No. 8, pp: 4-10, 1996. 

  4. J. L. Cohen., "Le Corbusier and the Mystique of the USSR: Theories and Projects for Moscow, 1928-1936",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2. 

  5. C. Montgomery(translated by T. K. Yoon), "Happy city", Seoul: Media Will, 2014. 

  6. E. Diener., E. Suh., R. M. Lucas., & H. L. Smith,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Vol. 125, No. 2, pp: 276-302, 1999. DOI: http://dx.doi.org/10.1037/0033-2909.125.2.276 

  7. W. Wilson., "Correlates of avowed happiness", psychological Bulletin, Vol. 67, No. 4, pp: 294-306, 1967. 

  8. E. Diener.,"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Vol. 95, No. 3, pp: 542-575, 1984. DOI: http://dx.doi.org/10.1037/0033-2909.95.3.542 

  9. S. Oishi., E. F. Diener., R. E. Lucas., & E. M. Suh., "Cross-cultural variations in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Perspectives from needs and valu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 25, No. 8, pp. 980-990, 1999. DOI: http://dx.doi.org/10.1177/01461672992511006 

  10. S. H. Go., "Chungnam Forum : Developing direction of the happiness index through cases", Chungnam Research Institute Publications, Vol. 58, pp. 25-30, 2012. 

  11. W. K. Bae., D. Y. Kim., Y. W. Yun., & D. S. Jeong., "The Development of Happiness Index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in Rural Area - Focus on the Hwadong County in Kyeongnam Province", Journal of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Vol. 14, No. 5, pp: 113-126, 2013. 

  12. S. Cloutier., J. Jambeck, N. Scott.,"The Sustainable Neighborhoods for Happiness Index (SNHI): A metric for assessing a community's sustainability and potential influence on happiness", Ecological Indicators, Vol. 40, pp: 147-152, 2014. DOI: http://dx.doi.org/10.1016/j.ecolind.2014.01.012 

  13. K. Mulder., R. Costanza., & J. Erickson., "The contribution of built, human, social and natural capital to quality of life in intentional and unintentional communities". Ecological Economics, Vol. 59, No. 1, pp: 13-23, 2006. DOI: http://dx.doi.org/10.1016/j.ecolecon.2005.09.021 

  14. A. W. Vemuri., R. Costanza., "The role of human, social, built, and natural capital in explaining life satisfaction at the country level: Toward a National Well-Being Index (NWI)", Ecological Economics, Vol. 58, No. 1, pp: 119-133, 2006. DOI: http://dx.doi.org/10.1016/j.ecolecon.2005.02.008 

  15. H. B. Park, "Social capital status and problems of local government", Local Administration, Vol. 721, pp: 16-19, 2013. 

  16. J. S. Koo., E. M. Suh, "Happiness in korea: who is happy and when?",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Vol. 25, No. 2, pp: 143-166, 2011. 

  17. Y. B. Lee., C. M. Jung., "The Effects of City Infrastructures to Subjective Happiness",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48, No. 6, pp: 77-88, 2013. 

  18. M. E. Jung., M. H. Kim., Y. S. Jang., "The Relations between Happiness and Social Capital of Seoul", Seoul Studies, Vol. 15, No. 1, pp: 163-186, 2014. 

  19. http://stat.seoul.go.kr/ 

  20. H. J. Noh., "Multivariate analysis theory and practice using Excel and SPSS", Seoul: Hyeongseol, 2005. 

  21. H. K. Kwak., "A Study on Influential Factors on Neighborhood-related Social Capital",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Vol. 14, No. 3, pp. 259-285, 2003. 

  22. J. S. Park., "Understanding Quality of Life in Seoul 2000",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Vol. 50, pp. 77-92,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