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용전념치료(ACT)가 스마트폰 중독을 보이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 자기 조절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CT on Smartphone Addiction Level, Self-Control, and Anxiety of College Students with Smartphone Addic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2, 2016년, pp.415 - 426  

유화경 (전북대학교 심리학과) ,  손정락 (전북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수용전념치료(ACT) 프로그램이 스마트폰 중독을 보이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 자기 조절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북 지역의 대학생 320명 중 SAPS-A에서 40점 이상에 해당된 42명에게 사전 검사로 SCRS, STAI 및 AAQ-16을 실시하였고, 최종 선발된 18명을 ACT 집단과 통제 집단에 각각 9명씩 배정하였다. ACT 프로그램은 8회기로 실시되었고,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 검사 및 4주 후 추적조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ACT 집단은 스마트폰 중독 수준과 불안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추적조사까지 유지되었다. 또한 자기 조절 능력과 수용 행동이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추적조사까지 유지되었다. ACT가 스마트폰 중독 치료, 불안감소 및 자기 조절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ACT를 가정, 학교, 지역 사회 등에서 스마트폰 중독 치료에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ACT on smartphone addiction level, self-control, and anxiety of college students with smartphone addiction. 320 college students who lived in Chonbuk completed SAPS-A. 42 students who gained more than 40 points score by SAPS-A completed SCRS,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CT를 실시하여 스마트폰 중독을 보이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 자기 조절 및 불안에 ACT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배경을 토대로 하여 설정한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취약성이 불안 및 자기 조절 능력과 관련되었다고 가정하고, 만성질환, 우울 및 불안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심리치료 프로그램인 수용 전념 치료(Acceptance Commitment Therapy; ACT)를 스마트폰 중독을 보이는 대학생에게 적용하고자 한다. ACT는 심리적 유연성을 만들기 위한 심리적 중재로, 인간의 다양한 영역의 기능을 약화시키는 만성적인 고통을 다루기 위해 개발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ACT 프로그램이 스마트폰 중독을 보이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 자기 조절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ACT 프로그램을 통해 변화된 효과를 가설별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한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중독을 스마트폰에 지나치게 몰입한 나머지 스스로를 제어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른 것이라고 정의했고[4], 다른 신문 사설에서는 습관적으로 혹은 과도하게 스마트폰에 의존하며 스마트폰이 없을 때 견디기 어려운 불편과 불안, 정신적 긴장감을 느끼는 상태로 정의했다[5]. 또한 스마트폰에 과도하게 몰입되어 생기는 초조 불안과 같은 일상생활에서의 장애를 스마트폰 중독이라고 정의한 연구도 있으며[6], 본 연구에서도 이 정의를 스마트폰 중독으로 가정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 폐인이란 무엇인가? 스마트폰 중독의 문제를 잘 보여주는 예로 ‘스마트폰 폐인’이라는 용어가 있는데, 이들은 스마트폰에 지나치게 몰두하고 의존하는 사람을 지칭한다. 이들은 항상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동안은 타인과의 대화를 거의 하지 않고, 심지어 다른 사람과의 의사소통이 불필요하다고까지 생각한다[5].
자기 조절의 실패로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은 무엇인가? 이러한 자기 조절 능력은 환경의 요구에 적절히 대처해나가고, 상황적 요구에 따라 활동을 시작하거나 멈출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되기도 한다[11]. 따라서 낮은 자기 조절 능력은 충동조절 장애나 중독적인 형태로 나타나기 쉬운데, 자기 조절의 실패로 인해서 섭식행동, 약물중독, 성행동, 부정행위, 도박, 절도 등의 여러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12]. 또한 충동적인 성향이 높은 청소년이 그렇지 않은 이들에 비해 자기조절능력이 떨어지고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높았고[13], 자기조절능력이 낮아 자신에게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 사용을 통제하거나 조절하지 못하는 경우에 중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되었다[4].
스마트폰 폐인의 특징은 무엇인가? 스마트폰 중독의 문제를 잘 보여주는 예로 ‘스마트폰 폐인’이라는 용어가 있는데, 이들은 스마트폰에 지나치게 몰두하고 의존하는 사람을 지칭한다. 이들은 항상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동안은 타인과의 대화를 거의 하지 않고, 심지어 다른 사람과의 의사소통이 불필요하다고까지 생각한다[5]. 일상생활에서 지나친 스마트폰의 사용은 개인의 삶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를 조기에 탐지하여 치료적 개입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KISA, Survey on the internet usage.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2. 

  2. E. M. Im, S. M. Park, S. S. Jang, A study of developing an internet-addiction counseling program for adults.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06. 

  3. K. S. Young, R. Rogers,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internet addiction. CyberPsychology and Behavior, Vol. 1, pp. 25-28, 1998. 

  4. Y. M. Park, A study on adults' smart phone addiction and mental health. Department of Psychology Graduate School Sangi University, 2011. 

  5. Economic Review, By connecting the twitter. pp. 11, January 24, 2011. 

  6. H. Y. Kang, C. H. Park,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martphone addiction inventory. The Korean J. of Psychol: General, Vol. 31, pp. 563-580, 2012. 

  7. S. B. Lee, K. K. Lee, K. C. Paik, H. W. Kim, S. K. Shin,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anxiety, depression, and self efficacy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 40, pp. 616-626, 2001. 

  8. M. K. Cho, The relationships amongs smart phone use motivations, addiction, and self-control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pp. 311-323, 2014. 

  9. Y. S. Yoon, A Study on self-regulatory ability of adolescents and its relationship with personality, parenting, behavior problems, and life stress. Department of Psychology Graduate Schoo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7. 

  10. Y. J. Choi, S. Y. Lee, Internalization problem, delinquency, and protective factor in poor adolesc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Vol. 21, pp. 89-113, 2006. 

  11. C. B. Kopp, Regulation of distress and negative emotions : a developmental view. Developmental Psychology, Vol. 25, pp. 343-54, 1982. 

  12. A. W. Logue, Self-control. Prentice hall, 1995. 

  13. Y. J. Lee, J. H. Park, The effect of use motives, self-control and social withdrawal on smartphone addic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pp. 459-465, 2014. 

  14. S. J. Yoo, S. M. Kwon, The mediational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arm avoidance and anxiety symptom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32, pp. 217-241, 2013. 

  15. J. M. Lee, M. R. H. Kim, J. H. Kim, The relationships among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negative emotions, metacognition and meta-mood: gender differences in high schcool students. Duksung Journal of Society Sciences, Vol. 17, pp. 77-97, 2012. 

  16. C. Segrin, J. Flora, Poor social skills are a vulnerability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psychosocial problems.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 26, pp. 489-514, 2000. 

  17. S. H. Han,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phone addiction style and mental health i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 Instruction, Vol. 8, pp. 403-420, 2008. 

  18. Y. R. Lee, C. N. Son, The effects of the group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on internet addiction level, negative automatic thought and self-escaping of the college students with internet addiction. Society Science Studies, Vol. 33, pp. 31-47, 2009. 

  19. Y. J. Chung, Effects of integrative arts therapy on internet use control and self-control of internet addictive high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Vol. 15, pp. 555-570, 2008. 

  20. H. S. Mun, Y. S. Koh, E. K. Lee, The effects of solution-focused group program for adolescent internet addiction. Forum for youth culture, Vol. 28, pp. 58-80, 2011. 

  21. J. H. Lee, C. N. Son, The effects of the group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on game addiction level, depression and self-control of the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rnet game addiction.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Vol. 16, pp. 409-417, 2008. 

  22. J. S. Kim, B. K. Lee,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elf-love program with cognitive-behavioral therapy(CBT) on alcohol dependence.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31, pp. 289-304, 2012. 

  23. S. G. Hofmann, A. T. Sawyer, A. Fang, The empirical status of the new wave of CBT. Psych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Vol. 3, pp. 701-710, 2010. 

  24. Y. R. Cho, The effectveness of cognitive-behavioral group therapy for speech anxiety.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20, pp. 399-411, 2001. 

  25. R. P. Mattick, L. Peters, J. C. Clark, Exposure and cognitive restructuring for social phobic: a controlled study. Behavior Therapy, Vol. 20, pp. 3-23, 1989. 

  26. S. C. Hayes, K .D. Strosahl, K. G. Wilso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 experiential approach to behavior change. Guilford Press, 1999. 

  27. S. C. Hayes,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springer, 2004. 

  28. A. Gonzalez-menendez, P. Fernandez, F. Rodriguez, P. Villagra, Long-term outcome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in drug-dependent female inmat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and Health Psychology, Vol. 14, pp. 18-27, 2014. 

  29. K. Wilson, S. C. Hayes, M. Byrd, Exploring compatibilities betwee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d 12-step treatment for substance abuse. Journal of Rational-Emotive & Cognitive-Behavior Therapy, Vol. 18, pp. 209-234, 2000. 

  30. S. C. Hayes, K. Strosahl, A practical guide to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Springer, 2004. 

  31. M. Heffner, G. Eifert, B. Parker, D. Hernandez, J. Sperry, Valued directions: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in the treatment of alcohol dependence. Cognitive and Behavioral Practice, Vol. 10, pp. 378-383, 2003. 

  32. M. P. Twohig, J. M. Crosby,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s a treatment for problematic internet pornography viewing. Behavior Therapy, Vol. 41, pp. 285-295, 2010. 

  33. J. H. Lee, C. N. Son, The effects of the acceptance-commitment group therapy (ACT) on the self-control, psychological well-being, experiential avoidance and cognitive fusion in alcoholics.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Vol. 21, pp. 41-50, 2013. 

  34. Y. J. Jo, C. N. Son,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ACT) on problem drinking behavior, alcohol expectancy, and perceived stress of the college students with problem drinking.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18, pp. 445-464, 2013 

  35. L. Roemer, S. M. Orsillo, Mindfulness & acceptance-based behavioral therapies in practice. Guilford Press, 2009. 

  36. S. C. Hayes, K. Strosahl, K. G. Wilson, R. T. Bissett, J. Pistorello, D. Toarmino, M. A. Polusny, T. A. Dykstra, S. V. Batten, J. Bergan, S. H. Stewart, M. J. Zvolensky, G. H. Eifert, F. W. Bond, J. P. Forsyth, M. Karekla, S. M. Mccurry, Measuring experoential avoidance: a preliminary test of a working model. Psychological Record, Vol. 54, pp. 553-578, 2004. 

  37. NIA, Development of korean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youth and adults.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1. 

  38. D. I. Kim, Y. H. Lee, J. Y. Lee, M. C. Kim, C. M. Keum, J. E. Nam, E. B. Kang, Y. J. Chung, New Patterns in Media Addiction: Is Smartphone a Substitute or a Complement to the Internet?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Vol. 20, pp. 71-88, 2012. 

  39. P. C. Kendal, L. E. Wilcox, Self-control in children; development of a rating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 47, pp. 1020-1029, 1979. 

  40. W. Y. Song, K. J. Oh,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on the addictive use of internet.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1999, pp. 127-132, 1999. 

  41. C. D. Spielberger,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83. 

  42. D. W. Han, J. H. Lee, J. K. Tak, Standardize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Journal of Student Guidance, Vol. 10, pp. 214-222, 1993. 

  43. H. M. Mu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rogram for facilitation of psychological acceptance based on acceptance & commitment therapy model. Department of Psychology Graduate School Catholic University, 2006. 

  44. E. S. Jung, C. N. Son, Effect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on internet addiction level, anxiety, and stress in college student with internet addiction.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30, pp. 825-843, 2011. 

  45. H. C. Lee, C. Y. Ahn, A study of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internet game addic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7, pp. 463-486, 2002. 

  46. J. H. Bae, Effects of K-MBSR program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training period on emotional response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Contents Association, Vol. 10, pp. 198-208, 2007. 

  47. M. J. Yeon, K. Y. Kim, M. S. Lee, J. Y. Hong, S. H. Bae, H. J. Hwang, A comparison study on the internet addiction and health problems of middle school student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1, pp. 41-47, 2010. 

  48. Y. G. Kim, H. J. Lee, A study on undergraduate students' self-growth experiences in a counseling skills training cours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pp. 315-328,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