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조업 생산직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와의 융복합적 관련성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Fatigue Symptoms among Blue Collar Workers in Manufacturing Pla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7 no.1, 2016년, pp.57 - 68  

신은숙 (중부대학교 보건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50명 미만의 소규모 제조업장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의 융복합적 관련성을 파악하며,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유의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50명 미만의 소규모 제조업장 14개소에 근무하고 있는 남성 근로자 428명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5년 9월 1일부터 15일까지 스스로 작성하는 질문지를 통해 이루어 졌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의 피로수준은 직무스트레스(KOSS)수준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피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 BMI, 주관적 건강상태, 흡연상태, 규칙적인 운동여부, 커피음용여부, 외래진료유무, 직장생활의 만족도, 직무스트레스(KOSS)가 유의하게 나타난 변수이며 변수설명력은 34.1%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소규모 제조업 남성 근로자들의 피로수준은 인구 사회학적 특성별, 건강관련 행위특성별, 직무관련 및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한 융복합적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determine the fatigue symptoms(MFS) and its convergence association with occupational stress(KOSS) among small scale manufacturing male workers.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428 workers employed in 14 work places under 50 members of manufactur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근로 특성을 가진 환경에서 근무하는 50인 미만의 제조업장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근로조건이 열악하다고 판단되는 50인 미만의 소규모 제조업장 근로자들의 피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인구 사회학적특성, 직업적 특성 및 건강 관련 행위특성 뿐만 아니라 근로자들의 피로수준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 등을 융합하여 이들 요인이 피로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50인 미만의 제조업 근로자들의 인구사회학적특성, 건강관련행위특성, 직업관련특성 및 직무스트레스요인과 피로수준과의 관련성을 파악하며, 또한 피로 수준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융복합적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50인 미만의 소규모 제조업 사업장 14개소에 근무하고 있는 전체 남성 근로자 428명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5년 9월 1일부터 15 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자기기입식 설문조사(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를 통해 이루어졌다.
  • 이 연구는 50인 미만의 작은 규모 제조업장에 근무하는 남성의 근로자를 연구대상으로 그들이 경험한 직무스트레스와 피로수준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고자 시도하였다. 우선 본 연구에서 50인 미만의 소규모 제조업장 근로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근로조건이 대기업이나 중소기업보다 상대적으로 열악하다고 판단되었기 때 문이며, 따라서 이들 근로자들은 직무스트레스와 피로수준이 높아 사회적 및 보건학적으로 문제가 될 것으로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중한 직무스트레스는 어떤 문제점을 발생시키는가? 산업장 근로자들이 작업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직무스트레스는 작업의 특성 즉, 업무가 과중되거나 업무의 자율성이 저하되며 상사나 동료와의 업무상의 갈등을 비롯하여 월급이 낮은 점 등에 의해 나타난다고 되어 있다 [6,7,8,9,10]. 또한, 과중한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불만족, 소진 및 우울과 같은 심리적인 문제점을 일으키는 [11,12,13,14,15,16] 한편, 고혈압과 같은 심혈관 질환의 사망률이나 이환율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바 있다[17].
산업장 근로자들이 작업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직무스트레스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산업장 근로자들이 작업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직무스트레스는 작업의 특성 즉, 업무가 과중되거나 업무의 자율성이 저하되며 상사나 동료와의 업무상의 갈등을 비롯하여 월급이 낮은 점 등에 의해 나타난다고 되어 있다 [6,7,8,9,10]. 또한, 과중한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불만족, 소진 및 우울과 같은 심리적인 문제점을 일으키는 [11,12,13,14,15,16] 한편, 고혈압과 같은 심혈관 질환의 사망률이나 이환율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바 있다[17].
한국인의 직무스트레스의 측정도구는 어떤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직무스트레스의 측정수준은 한국인의 직무스트레스의 측정도구만(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KOSS)을 이용하였다[33]. KOSS는 직무의 요구, 물리적 인 환경, 관계간 갈등, 직무의 자율성 결여, 조직의 체계, 직무시 불안정, 보상시 부적절 및 직장의 문화 등 8개인 범주의 43개 문항이 분류되어 있으며, 각각 문항에 「매우 그렇다」 및 「그렇다」,「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않다」로 4점 척도대로 응답을 하게 하였으며, 각각에 대하여 1_2_3_4점을 주었다. 점수들이 높아질수록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높은 문항에는 1_2_3_4점으로 두었으며, 점수가 높아질수록 직무의 스트레스 요인별 낮은 문항들은 4_3_2_1점으로 다시 코딩하여 개별문항별 평가를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K. S. Lee, D. B. Lee, I. S. Kwon, Y. C. Cho, "Depressive symptoms and its association with sleep quality, occupational stress and fatigue among small scaled manufacturing male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 23, No. 2, pp. 99-111, 2011. 

  2. S. P. Park, I. S. Kwon, Y. C. Cho, "Job stress and psychosocial factors and its association with self perceived fatigue among white collar male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2, No. 1, pp. 301-311, 2011. 

  3. S. D. Kim, "Relationships of job stress, fatigue & depression among one ship-building supply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5, pp. 2789-2796, 2014. 

  4. S. H. Kim, S. Y. Bae, "Factors related to occupational stress among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10, pp. 433-443, 2014. 

  5. S. Y. Bae, S. H. Kim,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human nature factors, mental health factors and fatigue on occupational stress among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3, pp. 221-229, 2015. 

  6. Aneshensel, CS, "Social stress: theory and research", Ann Rev Sociol, Vol. 18, pp. 15-38, 1992. 

  7. S. J. Chang, S. B. Koh, D. M. Kang, et al., "Fatigue as a predictor of Medical utilization, occupational accident and sickness absence",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 17, No. 4, pp. 318-332. 2005. 

  8. D. H. Kim, Y. C. Cho, "Occupational stress and its associated factors among male workers in small-scale manufacturing industries under 50 membe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0, No. 10, pp. 405-413, 2012. 

  9. Y. J. Kim, "The influence of a general hospital nurse's emotional labor, emotional intelligence on job stres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9, pp. 245-253, 2014. 

  10. H. J. Lim, M. H. Kang, K. O. Oh, "Nursing activity,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community mental health faciliti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12, pp. 507-513, 2013. 

  11. K. S. Yoon, S. M. Lee,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disabled work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6, No. 3, pp. 53-63, 2008. 

  12. H. J. Park, S. K. Park, Y. C. Cho,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social factors and job stress among clerical public offic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9 pp. 5610-5620, 2014. 

  13. B. M. Bang, S. Y. Lee, J. O. Cheong, "Empirical study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university hospital nur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2, pp. 205-213, 2015. 

  14. J. W. Oh, J. S. Han, Y. S. Moon, "Study on the awareness, satisfaction and job stress of nurses using EMR syste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0, No. 8, pp. 257-264, 2012. 

  15. J. Y. Choi, Y. J. Lee, "Research on nurses' stress for elderly care and stress-coping strategi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0, No. 8, pp. 275-286, 2012. 

  16. J. W. Oh, Y. S. Moon, I. S. Park, "A study of nurses' working stress, child-rearing stress and parenting attitud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10, pp. 469-481, 2013. 

  17. K. H. Cho, D. B. Lee, Y. C. Cho, "Psychosocial distres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clerical public offic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 19, No. 1, pp. 26-37, 2007. 

  18. David A, Pelosi A, MacDonald E, Stephens D, Sedger D, Rathbone R, Mann A, "Tired, weak or in need of rest; a profile of fatigue among general practice attenders", BMJ, Vol. 301, pp. 1199-1202, 1990. 

  19. K. B. Choi, K. H. Kim, Y. C. Cho, "Psychosocial distress and fatigue symptoms among firemen; and its related facto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0, No. 4, pp. 707-716, 2009. 

  20. Dimeo, F. C, "Effects of exercise on cancer-related fatigue", Am Cancer Soc, Vol. 92, No. 6, pp. 1689-1693, 2001. 

  21. S. J. Chang, S. B. Koh, M. G. Kang, et al., "Correlates of self-rated fatigue in Korean employees", Korean J Prev Med, Vol. 38, No. 1, pp. 71-81, 2005. 

  22. Akerstedt T, Knutsson A, Westerholm P, Theorell T, Alfredsson L, Kecklund G, "Sleep disturbances, work stress and work hours a cross-sectional study", J Psychosom Res, Vol. 53, pp. 741-748, 2002. 

  23. Chadler T, Berelowitz G, Pawlikowska T, Watts L, Wessely S, Wright D, Wallace P, "Development of a fatigue scale", J Psychosom Res, Vol. 37, pp. 147-153, 1993. 

  24. Bultmann U, Kant J, Kasl S V, Beurskens AJ, Van den Brandt P A, "Fatigue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the working population psychometrics, prevalence, and correlates", J Psychosom Res, Vol. 52, pp. 445-452, 2002. 

  25. H. R. Shin, Y. C. Cho, "Relationship between job sress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in university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8, pp. 3958-3970, 2013. 

  26. Y. R. Yeun, "Job stress, burnout,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8 pp. 4981-4986, 2014. 

  27. E. H. Hwang, "Influence of sleep quality, depression and fatigue on job stress of geriatric hospital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8, pp. 5413-5421, 2015. 

  28. Y. J. Shin, S. N. Lee, "The impact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n the job burnout in the digital era: focusing on staff accounta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2, pp. 61-71, 2015. 

  29. Chen M, "The epidemiology of self-perceived fatigue among adults", Prev Med, Vol. 15, pp. 74-81, 1986. 

  30. Y. H. Lim, Y. C. Cho,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status(SF-36)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7, pp. 4745-4757, 2015. 

  31. J. G. Kyun, "The study about industrial dissster prevention of work places that have less than 50 workers",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Doctor's thesis, 2009. 

  32. WHO,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Sydney, Australia, Health Communications Australia Pty Ltd, 2000. 

  33. S. J. Chang, S. B. Koh, D. M. Kang, et al.,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 17, No. 4, pp. 297-317, 2005. 

  34. Schwartz J E, Jandorf L, Krupp L B, "The measurement of fatigue: a new instrument", J Psychosom Res, Vol. 37, No. 7, pp. 753-762, 1993. 

  35. S. J. Chang, "Standardization of collection and measurement of health statistics data", The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Seoul, pp. 92-143, 2000. 

  36. S. P. Park, D. B. Lee, I. S. Kwon, Y. C. Cho,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Job Stress and Psychosocial Factors on Self Perceived Fatigue in White Collar Male Worker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 22, No. 1, pp. 48-57, 2010. 

  37. K. T. Cha, I. W. Kim, S.B. Koh, et al, "The association of Occupational stress with self-perceived fatigue in white collar employe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 20, No. 3, pp. 182-92, 2008. 

  38. E. J. Lee, S. W. Shin,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n fatigue and depression among shift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4, pp. 2256-2264, 2014. 

  39. S. Y. Kim, I. S. Kwon, Y. C. Cho,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fatigue symptoms among nurses in a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4 pp. 1759-1768, 2012. 

  40. A. S. Park, I. S. Kwon, Y. C. Cho, "Fatigue symptom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0, No. 8, pp. 2164-2172, 2009. 

  41. Chadler T, Berelowitz G, Pawlikowska T, Watts L, Wessely S, Wright D, Wallace P, "Development of a fatigue scale", J Psychosom Res, Vol. 37, pp. 147-153, 1993. 

  42. Kivimaki M, Vahtera J, Pentti J, Ferrie JE, "Factors underlying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downsizing on health of employees: longitudinal cohort study", BMJ, Vol. 320, pp. 971-975, 2000. 

  43. S. B. Koh. M. A. Son, J. O. Kong, C. G. Lee, S. J. Chang, B. S. Cha, "Job characteristics and psycho-social distress of atypical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 16, pp. 103-113, 2004. 

  44. Harma M, "Are long work hours a health risk?", Scand J Work Environ Health, Vol. 29, No. 3, pp. 167-169. 2003. 

  45. van der Hulst M, "Long workhours and Health", Scand J Work Environ Health, Vol. 29, No. 3, pp. 171-88. 2003. 

  46. Kant IJ, Beurskens A, Schroer C, Nijhuis F, van Schayck C, Swaen G, "An epidemiological approach to study fatigue in the working population: results from the Maastricht Cohort Study of Fatigue at Work", J Occup Environ Med, Vol. 60, No. 9. pp. 32-39,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