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조업 남성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Fatigue Symptoms among Manufacturing Male Worke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7, 2016년, pp.543 - 554  

이후연 (충남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백종태 (충남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조영채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제조업 남성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피로수준과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50인 미만의 소규모 제조업 사업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남성 근로자를 553명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5년 4월에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와 한국판 다차원피로척도를 사용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피로증상은 직무스트레스가 정상인 군보다 고위험 스트레스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조사대상자의 피로증상은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직무스트레스가 정상인 군에 비해 고위험 스트레스 군에서 고위험 피로군에 속할 위험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피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및 주관적 건강상태. 수면시간, 커피음용 횟수, 외래진료경험 유무, 직장생활 만족도 및 직무스트레스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27.7%이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소규모 제조업 남성 근로자들의 피로수준은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및 직업관련 특성뿐만 아니라 직무스트레스 요인과도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fatigue and its association with job stress among male workers engaged in small-scale manufacturing industries. The study subjects were 553 male workers under 50 members of manufacturing industries. The study survey was a structured questionnaire of the Korean Occupational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근로조건이 비교적 열악하다고 판단되는 50인 이하의 소규모 제조업에 종사하는 남성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직업관련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피로 수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피로 수준과의 관련성을 파악하며, 피로수준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장인들의 피로를 초래하는 주된 요인으로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부정적인 요소로서 피로는 직무만족도 및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1]. 직장인들의 피로는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산업구조로 인해 발생한 복합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 피로를 초래하는 주된 요인으로는 근무시간외 작업시간, 자동화, 초현대화 등의 고도 기술혁신, 고령화 사회에서 중년 근로자들의 고용, 구조조정으로 인한 인원 감소, 인간관계 불화 등이 있다[2].
제조업 남성 근로자들의 피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선정된 변수는 무엇인가? 또한 조사대상자의 피로증상은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직무스트레스가 정상인 군에 비해 고위험 스트레스 군에서 고위험 피로군에 속할 위험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피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및 주관적 건강상태. 수면시간, 커피음용 횟수, 외래진료경험 유무, 직장생활 만족도 및 직무스트레스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27.7%이었다.
경제학적 측면에서 직장인의 피로는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가? 따라서 피로는 충분한 휴식만으로 해결되는 단순한 것으로 인식하기보다 장기적으로 심혈관계 질환, 암 등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만성질환에 상응하는 중요한 문제로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5]. 또한 피로는 근로자 개인의 일상생활 변화뿐만 아니라 생산성 저하 및 건강을 해치는 원인으로 작용하여 의료이용 증가, 국민 의료비 상승 등 결국 사회적 비용의 증가로 이어진다. 이처럼 피로는 보건학적 측면에서도 중요하지만 경제학적 측면에서도 주요한 요소 작용하고 있으므로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J. S. Park,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leep disorder, fatigue,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police shift-workers", Korean Association of Police Science, Vol.40, pp. 53-70, 2013. 

  2. S. J. Chang, S. B. Koh, D. M. Kang, S. A. Kim, et al.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17, No.4 pp. :297-317, 2005. 

  3. David A, Pelosi A, McDonald E, Stephens D, Ledger D, Rathbone R, Mann A. "Tired, weak or in need of rest: a profile of fatigue among general practice attenders", BMJ, Vol. 301, No.6762 pp. 1199-120, 1990. DOI: http://dx.doi.org/10.1136/bmj.301.6762.1199 

  4. S. J. Chang, S. B. Koh, M. G. Kang, S. J. Huyun, et al. "Correlates of self-rated fatigue in Korean employees", J Pre Med Public Health, Vol 38, No.1 pp. 71-81, 2005. 

  5. H. M. Hwang, M. R. Kim, "The relationship of quality of sleep, fatigue and job stress of airlines international flight attendants in full service carri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6, No.10 pp. 7013-7020,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10.7013 

  6. Dimeo FC. "Effects of exercise on cancer-related fatigue. Am Cancer Soc, Vol.92, No.6 pp. 1689-1693, 2001. DOI: http://dx.doi.org/10.1002/1097-0142(20010915)92:6+ 3.0.co;2-h 

  7. Goetzel RZ, Anderson DR, Whitmer RW, Ozminkowski RJ, Dunn RL, Wasserman J. "The relationship between modifiable health risks and health care expenditures: An analysis of the multi-employer HERO health risk and cost database", J Occup Environ Med, Vol.40, No.10 pp. 843-54, 1998. DOI: http://dx.doi.org/10.1097/00043764-199810000-00003 

  8.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NIOSH). Stress at work. Publication No. 99-101, 1999. http://www.cdc.gov/niosh/docs/99-101/default.html 

  9. J. J. Cho, Y. J. Kim, J. S. Byun, "Occupational Stress on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s and Metabolic Syndrome",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18, No.3 pp. 209-220, 2006. 

  10. J. H. Bae, H. C. Shin, "A study about influence on hotel cooking employee's job stress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Vol.18, No.3 pp. 119-131, 2009. 

  11. J. C. Park, H. S. Shin, "The effect of job stress on burnou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3, No.11 pp.5114-5123, 2012.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2.13.11.5114 

  12. Kawakami N, Takashi H. "Epidemiology of job stress and health in japan: review of current evidence and future direction". Industrial health, Vol.37, No.2 pp. 174-186, 1999. DOI: http://dx.doi.org/10.2486/indhealth.37.174 

  13. Kalimo R, Tenkanen L, Harma M, Poppius E, Heinsalmi P. "Job stress and sleep disorders: findings from the Helsinki Heart Study", Stress and Health, Vol.16, No.2 pp. 65-75, 2000. DOI: http://dx.doi.org/10.1002/(sici)1099-1700(200003)16:2 3.0.co;2-8 

  14. K. H. Lee, D. M. Kang, J. J. Chung, H. R. Kim, L. A. Kim, J. H. Yoon, S. K. Kim, S. S. Oh, S. J. Chang, B. S. Cha, S. B. Koh, "Job stress and fatigue in autoworker",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pp. 394-395, 2010. 

  15. K. H. Lee, S. B. Koh, D. M. Kang, J. J. Chung, et al. "Job stress and self-perceived fatigue in Korean farm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23, No.2 pp. 213-224, 2011. 

  16. S. H. Kim, G. S. Yun, "A study on the stress and fatigue of research workers", Korea J Occup Med, Vol.10, No.1 pp. 105-115, 1998. 

  17. W. S. Shin, H. K. Kim, "The impact of fatigue on the hotel cuisine, labor intensity and perceived job stress", Korea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Vol.26, No.6 pp. 221-239, 2012. 

  18. H. Y. Jun, J/ H. Park, H. B. Yim,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he fatigue of clinical nurses", Bulletin of Dongnam Health College, Vol.18, No.2 pp. 95-107, 2000. 

  19. K. M. Lee, M. S. Hong, "A study on relationships of work stress, fatigue and job satisfaction in emergency room nurses", Chonnam Journal of Nursing Science, Vol.8, No.1 pp. 87-103, 2003. DOI: http://dx.doi.org/10.1111/j.1742-7924.2010.00162.x 

  20. M. S. Choi, D. H. Ji, J. W. Kim, "Job stress level and its related factors in fire fight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3, No.10 pp. 4917-4926, 2012.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2.13.10.4917 

  21. K. S. Lee, D. B. Lee, I. S. Kwon, Y. C. Cho , "Depressive symptoms and their association with sleep quality, occupational stress and fatigue among small-scaled manufacturing male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23, No.2 pp. 99-111, 2011. 

  22. Faul F, Erdfelder E, Lang AG, Buchner Al.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science",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32, No.2 pp. 175-191, 2007. DOI: http://dx.doi.org/10.3758/BF03193146 

  23. WHO western pacific region.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p.17, Health Communications Australia Pty Ltd. Sydney, 2000. 

  24. Schwartz J, Jandorf L, Krupp B. The measurement of fatigue: a new instrument. J Psychosom Res, Vol.37, No.7 pp. 753-62, 1993. DOI: http://dx.doi.org/10.1016/0022-3999(93)90104-N 

  25. S. J. Chang, Standardization of collection and measurement of health statistics data, p.144-181, The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2000. 

  26. A. K. Kim, "The study of yangsaeng and fatigue in adult men", J Korean Acad Fundam Nurs, Vol.18, No.1 pp. 79-86, 2011. 

  27. S. P. Park, I. S. Kwon, Y. C. Cho, "Job stress and psychosocial factors and its association with self perceived fatigue among white collar male worker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2, No.1 pp. 301-311, 2011.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1.12.1.301 

  28. S. Y. Kim, I. S. Kwon, Y. C. Cho, "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fatigue symptoms among nurses in a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3, No.4 pp. 1759-1768, 2012.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2.13.4.1759 

  29. Cauch-Dudek K, Abbey S, Stewart DE, Heathcote EJ. "Fatigue in primary biliary cirrhosis" Gut, Vol.43, pp. 705-710, 1998. DOI: http://dx.doi.org/10.1136/gut.43.5.705 

  30. E. S. Park, E. S. Shin, Y. C. Cho, "Quality of sleep and its associated factors among male workers in small-scale manufacturing industri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5, No.10 pp. 6193-6203,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10.6193 

  31. A. S. Park, M. K. Son, Y. C. Cho, "Factors related to psychosocial stress and fatigue symptom among nurses working at ward and operating room in university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4, No.4 pp. 1781-1791, 2013. 

  32. E. J. Lee, S. W. Shin,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n fatigue and depression among shift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5, No.4 pp. 2256-2264, 2014. 

  33. K. T. Cha, I. W. Kim, S. B. Koh, S. J. Hyun, et al. "The association of occupational stress with self-perceived fatigue in white collar employe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20, No.3 pp. 82-192, 2008. 

  34. J. W. Kang, Y. S. Hong, H. J. Lee, B. J. Yeah, et al. "Factors affecting fatigue and stress in male manufacturing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17, No.2 pp. 129-137, 2005. 

  35. S. D. Kim, "Relationships of job stress, fatigue & depression among one ship-building supply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5, No.4 pp. 2789-2796,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5.2789 

  36. K. S. Kim, J. Park, B. Y. Park, S. G. Kim, E. Y. Hwang, "The effects of job stress with depression and fatigue of fireme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4, No.3 pp. 223-231, 2014.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4.14.03.223 

  37. E. S. Shin,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Fatigue Symptoms among Blue Collar Workers in Manufacturing Pla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7, No.1 pp. 57-68, 2016. DOI: http://dx.doi.org/10.15207/JKCS.2016.7.1.0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