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관계획에서 제시된 경관 미래상의 현황 분석
An Analysis on the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4 no.1, 2016년, pp.80 - 92  

주신하 (서울여자대학교 원예생명조경학과)

초록

본 연구는 경관계획 내용 중 경관 미래상의 작성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향후 개선방안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지자체 경관향상을 위한 실용적인 경관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관 미래상을 작성하고 있는 실무자 대상 인터뷰를 통하여 미래상 작성 방법을 조사하였고, 수도권 32개 지자체에 수립된 경관계획을 조사하여 경관 미래상의 작성 형식과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경관 미래상과 유사한 목적과 형태로 작성되고 있는 도시계획 상의 도시 미래상과 지자체 비전을 담고 있는 도시 슬로건을 함께 조사하여 경관 미래상과 작성 경향 및 내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경관 미래상의 작성 방향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경관 미래상은 주로 경관계획 수립을 위해 기본구상 작성에 앞서 조사한 경관자원현황과 관련 상위 계획의 미래상 및 목표를 참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관계획의 세부 내용 간 일치성과 관련 계획 간의 정합성을 높이는 방법이 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방법을 경관계획 수립 지침에 구체적으로 언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현재 경관 미래상은 도시 슬로건과 유사하게 구호 형태로 작성되고 있으나, 경관 미래상은 홍보의 수단이나 응용되어 활용되지 않으므로 일괄적으로 작성되고 있는 구호형 경관 미래상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그리고 경관 미래상과 도시 미래상, 도시 슬로건의 내용적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경관 미래상은 도시 슬로건에 비해 도시 미래상과 내용적 일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상위계획과의 정합성을 고려하여 작성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 분석 결과라 판단된다. 다만 향후 이러한 정합성이 유지 및 증진될 수 있도록 경관계획수립지침에서 경관 미래상 작성과 관련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isions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and to suggest improvements for it. This study overviews currents methods of making the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by group interview with hands-on workers. Thirty-two cases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are re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경관 미래상은 앞서 개념의 정의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계획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상”을 의미하기 때문에 해외 경관계획 사례에서는 계획에 의해 형성될 경관을 설명하기 위해 스케치 또는 시뮬레이션을 이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경관계획 경관미래상은 대부분 슬로건 형태로 문자로 표현되고 있어서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경관계획 보고서에서 나타나는 경관 미래상을 단어별로 구분하고 조사하였다. 구체적인 분석에서는 조사 같은 의미 없는 단어와 지자체 명칭 등 고유명사를 제외하고 사용 단어의 빈도를 분석하였다(Table 5 참조).
  • 사전조사에서는 경관계획 작성 시 경관 미래상을 작성하는 방법과 작성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사전 조사의 결과로 경관 미래상 작성 방법을 유형화 하고, 이를 토대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경관 미래상 작성 방법에 대한 본 조사는 서울 및 수도권 지자체 중 32개 지자체의 경관계획 보고서를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통해 도출한 작성 방법 유형별 사용 빈도를 조사하였다.
  • 첫째, 경관계획작성 실무자 사전 인터뷰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수립한 경관 관련 보고서 분석을 통해 경관미래상의 작성 방법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둘째, 실제 각 경관계획보고서에 나타난 경관 미래상을 작성의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을 분석하여 현재 경관미래상 작성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셋째, 경관 미래상과 유사한 도시 슬로건과의 비교를 통하여 미래상 작성 경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 미래상은 그 단어에서도 나타나 있듯이 ‘모습’을 의미하고 있어 경관계획의 목표와 지향점을 설명하는 데 매우 적합한 개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관미래상의 작성 형태를 분석해 봄으로써 이러한 사전적 개념에 부합하는 경관미래상이 작성되고 있는지, 경관계획의 목표가 잘 표현되고 있는지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유사한 개념인 도시슬로건과 경관미래상의 작성 현황 비교분석을 통해 도시슬로건과 경관미래상이 어떠한 관계로 작성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관미래상의 작성 형태를 분석해 봄으로써 이러한 사전적 개념에 부합하는 경관미래상이 작성되고 있는지, 경관계획의 목표가 잘 표현되고 있는지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유사한 개념인 도시슬로건과 경관미래상의 작성 현황 비교분석을 통해 도시슬로건과 경관미래상이 어떠한 관계로 작성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 또한 Joo and Kim(2011)의 연구에서는 경관기본구상 내 경관미래상 설정 부문은 비교적 높은 중요도에 비해 중간 수준의 성취도로 평가되어 향후 작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미래상 작성이 포함되어 있는 경관기본구상 단계의 지자체 간 작성 수준이 상이하여 향후 경관계획 수립 지침에서 이 부문에 대한 구체적인 작성 지침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마지막으로 경관 미래상과 유사한 목적과 내용으로 작성되고 있는 도시ㆍ군 기본계획의 도시 미래상 및 도시 슬로건과의 내용 비교를 통해 경관 미래상의 현황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우선 지자체별로 경관 미래상과 도시 미래상, 도시슬로건을 수집하고 이들 간의 내용의 일치 정도를 판단하여 일치, 부분일치, 불일치 등의 3단계로 구분하여 경향을 분석하였다.
  • 셋째, 경관 미래상과 유사한 도시 슬로건과의 비교를 통하여 미래상 작성 경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을 통해 경관기본구상 내 경관미래상 설정의 작성 현황을 바탕으로 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각 단계별 구체적인 연구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경관계획 단계 중 경관기본구상의 중요한 내용인 경관 미래상에 대해 경관계획 보고서 분석과 실무자 인터뷰 등을 통해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보다 실용적이고 실질적인 경관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경관 미래상의 설정 방식이나 미래상설정의 경향, 미래상의 형식적, 내용적 특징 등을 파악하여 향후 경관계획 수립 시 경관 미래상 설정에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 본 연구는 경관에 대한 사회적 중요성 및 관리를 위한 제도적 관심이 고조되어 경관법이 개정되고 시행령이 개정 시행됨에 따라 현재 수립되고 있는 경관계획 내용 중 경관 미래상의 작성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향후 개선방안을 제안하여 향후 지자체 경관향상을 위한 실용적인 경관계획이 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기존 연구결과에서 경관 미래상이 중요도는 높은 반면 성취도가 낮게 나타나는 문제점에서 출발하여, 이를 개선하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경관 미래상 작성 방법에 대한 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경관계획작성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실무자를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경관계획 단계 중 경관기본구상의 중요한 내용인 경관 미래상에 대해 경관계획 보고서 분석과 실무자 인터뷰 등을 통해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보다 실용적이고 실질적인 경관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경관 미래상의 설정 방식이나 미래상설정의 경향, 미래상의 형식적, 내용적 특징 등을 파악하여 향후 경관계획 수립 시 경관 미래상 설정에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를 토대로 경관계획수립지침을 보다 현실적이고 구체적으로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 내용 분석 기법은 주로 단어와 주제의 발생 빈도를 알아보는 양적 분석 형태로 발전하였으며, 이는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자료의 상황과 의미를 추론하여 객관적으로 정리하는 방법이다(Lee, 1996). 본 연구에서는 경관미래상의 내용분석을 위해 경관 미래상을 구성하는 단어를 추출하고 분석을 위해 범주화하였다. 그리고 범주화한 결과를 빈도분석을 통해 작성 경향을 분석하였다.
  • Joo and Kim(2011)는 경관법 제정 이후 경관법에 의한 경관계획의 수립 현황을 검토하고, 전문가 의식조사를 통해 경관계획수립지침과 경관계획보고서를 비교ㆍ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경관계획 내 각 부문 간 연계가 부족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보완이 필요한 항목을 제시하였다. Kwon andKim(2012)는 서울시 각 구의 경관 관련 계획 내용을 검토하여 제도적 정합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 이러한 차원에서 본 연구는 경관계획에서 미래상의 작성 이유와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 기 수립된 경관계획 미래상의 작성 방법, 내용 등 현황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여, 이에 대한 향후 개선방안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지자체경관향상을 위한 실용적인 경관계획이 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경관미래상 작성 현황 분석을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Figure 1 참조). 첫째, 경관계획작성 실무자 사전 인터뷰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수립한 경관 관련 보고서 분석을 통해 경관미래상의 작성 방법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둘째, 실제 각 경관계획보고서에 나타난 경관 미래상을 작성의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을 분석하여 현재 경관미래상 작성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토경관 관리를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 현재 경관법에서는 국토경관 관리를 위한 방법으로 크게 5가지, 경관계획, 경관사업, 경관협정, 경관심의, 경관위원회에 대한 구체적인 운영 방법 및 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이 중 경관계획의 수립을 통한 경관 형성 및 관리는 지역의 독특한 경관 특성을 반영하여 경관을 보전 및 형성하고자 하는 것으로 경관현황 조사 및 분석, 경관기본구상, 경관기본계획, 경관가이드라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경관계획단계에는 무엇이 있는가 ? 이 중 경관계획의 수립을 통한 경관 형성 및 관리는 지역의 독특한 경관 특성을 반영하여 경관을 보전 및 형성하고자 하는 것으로 경관현황 조사 및 분석, 경관기본구상, 경관기본계획, 경관가이드라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경관계획 관련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기존 연구결과에 의하면 다른 경관계획단계(경관자원조사, 경관기본계획, 경관디자인가이드라인)에 비하여 경관기본구상의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Joo et al., 2008).
Shin의 경관계획의 각 단계별 일관성을 분석한 결과는 ? Shin(2015)은 경관계획이 각 단계별 일관성이 떨어진다는 선행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관계획의 각 단계별 일관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바 있다. 이 연구에 따르면 경관자원조사분석기본구상 단계의 일관성 지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기본구상-기본계획 단계의 일관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관기본구상이 경관자원조사 결과를 비교적 잘 반영하여 작성되었으나 이후 구체적인 발전단계인 경관기본계획 단계까지 일관되게 유지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yeon, J. S.(2009) An analysis of Korean cities' straegy on city images and city brand slogans. Journal of the Korea Planning Association 44(6): 105-121. 

  2. Im, S. B.(1991) Theories of the Landscape Analy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3. Joo, S. H. and S. B. Im(2000) Domestic and foreign trends in the study of the landscape evalu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8(2): 49-60. 

  4. Joo, S. H. and Y. H. Km(2011) Analysis of guideline and content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4): 1-10. 

  5. Joo, S. H., W. H. Baek, J. H. Shin and J. H. Mok(2008) The assessment of the landscape planning phases by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Focused on the landscape planning of development sit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4): 74-82. 

  6. Joo, S. J.(1999) Prospects on future territorial changes: Results of a Delphi test. The Korean Spatial Planning Review 28: 29-44. 

  7. Kim, H. B.(2003) A comparative study on the methodology for urban landscape planning.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38(5): 213-230. 

  8. Kim, H. J., S. U. Oh, J. S. Ryu and W. K. Bae(2008)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master plan and its contents in Korea. Proceeding of Urban Institute of Korea, 2008, Fall: 179-189. 

  9. Korean Landscape Council(2008) Law of Landscape & Landscape Planing. Bomundang. 

  10. Kwon, S. H. and Y. S. Kim(2012) Analysis on the establishm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cityscape plan in Seoul - Focused on cityscape & design plan in Seoul. Urban Design 53: 83-103. 

  11. Lee, K. J.(1996) An Analysis of Consistency of the Method to Integrate Contents between Level of N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and Textbook Development. Master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Korea. 

  12. Lee, W. J. and N. J. Kim(2005) A study on the elements of city brand image and influences. Journal of the Korea Planning Association 40(6): 177-192. 

  13.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2012) A Study on the Substantiality of Landscape Review Systemand Landscape Planning,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14. Nam, G. K.(2004) ResearchMethods for Public Administraion. Bupmunsa. 

  15.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2015) Korean Standard Dictionary.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16. Shin, Y. C., Y. G. Kim and J. H. Koo(2011) The classification of cities and counties in Gyeonggi-do based on analysis of effect and cognition characteristics on city identity ad city brand. Journal of the Korea Planning Association 46(5): 5-18. 

  17. Shin, Y. J.(2015) A Study on the Contents Consistency between Steps of Landscape Plans. Master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