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본 민설공원 제도의 특성과 시사점
Characteristics and Policy Implications of Private Development Parks in Japan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4 no.1, 2016년, pp.119 - 128  

김현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민간자본으로 도시공원을 조성하기 위한 특례제도가 도입된 이후, 보다 매력적인 인센티브를 부여하기 위하여 법률 개정이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민간공원의 취지에는 적극 찬성하지만 공익성을 강조해야 하는 공원에서 과연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바탕으로, 민간공원의 정책모델이었던 일본의 민설공원제도의 배경과 함께 입지, 조성, 관리의 기준이 책정된 근거와 특성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민설공원은 녹지 네트워크 구축과 방재 기능에 유효하도록 입지와 공간계획이 이루어졌으며, 최소면적은 약 1.42ha였다. 공원과 같은 공간의 최소 면적인 1ha는 방재성과 실현가능성, 사회적 수용가능성을 감안한 수치였으며, 건축 부문은 제2종 중고층 주거전용지역의 기준과 지역 거버넌스와의 협의절차를 거쳐 최종적으로는 용적율 100%, 건폐율 30%, 최고높이 11층 등 허용한도의 최저 수준으로 건설되었다. 관리비는 월 300엔/$m^2$을 기준으로 35년간 소요되는 비용을 사업자가 일괄 납부하였으나 과다한 관리비가 수반되는 시설에 대해서는 시가 비용을 지출하여 민관이 함께 관리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한편 입지, 허용용도, 도입시설의 한계로 매력적인 수익시설 도입이 어려우며 관리주체와 비용부담등의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우리나라 민간공원에 대해서는 도시공원 조성의 우선순위를 선정한 후 민간공원의 적정입지를 선정하고, 국민적 합의를 이룰 수 있는 수준의 입지, 조성, 관리 기준 정립 등의 개선과제를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rban park planning has become difficult due to the lack of municipal funds. Thereupon, a special scheme was imposed for city park planning. Since then, a legal amendment was made for economical improvement and more active participation. However, there are a lot of questions about whether it was a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례연구는 제한된 사례를 집중적,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질적인 연구방법으로서 다수의 사례나 계량적 연구가 보여줄 수 없는 맥락과 인과적 설명을 제시(Kim, 2011)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본 도쿄도(東京都)와 히가시무라야마시(東村山市)의 내부자료와 보고서 등 문헌 조사와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여 일본 민설공원의 입지, 조성, 관리의 기준이 책정된 근거를 명확히 하고자 한다. 특히 일본의 민설공원제도가 민간의 동력을 활용하는 유용한 공원녹지 확보정책이라는 평가에도 불구하고 민설공원이 하기야마(萩山)공원 1개소에 불과한 이유를 고찰하여 민설공원제도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도출함으로써 우리나라 민간공원 조성제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일본의 민설공원제도의 입지, 조성, 관리 특성과 문제점을 고찰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이러한 특징과 함께 제2의 민설공원이 조성되지 못하는 한계점을 고찰하였다. 먼저 미조성된 공원부지 대부분이 주택부지로서는 입지가 부적절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본 도시공원정책의 변천과 전환점, 그리고 민설공원의 모태인 차지공원제도, 민설공원 제도와 하기야마사례에 대하여 입지, 조성, 관리 기준과 현황을 분석·고찰하여 그 실체를 명확히 드려다 보고,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본 도쿄도(東京都)와 히가시무라야마시(東村山市)의 내부자료와 보고서 등 문헌 조사와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여 일본 민설공원의 입지, 조성, 관리의 기준이 책정된 근거를 명확히 하고자 한다. 특히 일본의 민설공원제도가 민간의 동력을 활용하는 유용한 공원녹지 확보정책이라는 평가에도 불구하고 민설공원이 하기야마(萩山)공원 1개소에 불과한 이유를 고찰하여 민설공원제도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도출함으로써 우리나라 민간공원 조성제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일본의 민설공원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실제 공원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상대적으로 지가가 높은 도심부에서는 민설공원과 같은 공공성이 높은 오픈스페이스 확보는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향후 특정가구(特定街区), 재개발 등 촉진구역을 정하는 지구계획(再開発等促進区を定める地区計画), 고도이용지구(高度利用地区), 종합설계(総合設計) 등 여러 도시개발제도를 활용하여 도심부에서 공개공지를 확보하여 공원으로 활용되고 있는 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한국의 도심지역에서의 공원녹지 확보방안의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5년 12월 기준 미조성된 도시공원 면적은 얼마나 되는가? 2015년 12월 기준 미조성된 도시공원 면적이 608km2에 이르고 있으며 도시공원 조성의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 있는 재정부족분을 충당하기 위해서는 조성주체를 지자체에서 보다 확대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2009년 12월 민간자본으로 도시공원을 조성하는 특례제도가 도입되었다.
2020년에 이르면 도시공원이 대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는? 1999년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에 대한 헌법불합치 판결 이후 장기 미집행 도시공원에 대한 결정 자동실효제가 도입됨에 따라 2020년에 이르면 도시공원은 대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2009년 12월 민간 자본으로 도시공원을 조성하는 특례제도가 도입됨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었는가? 이에 2009년 12월 민간자본으로 도시공원을 조성하는 특례제도가 도입되었다. 10만m2 이상 도시공원 중 80% 이상을 공원과 같은 공간으로 조성하여 기부채납할 경우 나머지 공간에 민간수익시설 설치를 허용하였으나, 의정부 추동공원의 경우 녹지자연도 7등급 지역에 주택단지가 개발 승인되는 시행착오를 겪었고 수원 영흥공원은 경제성, 특혜의혹 등이 불거져 실제 민간공원 사업은 실행되지 못하였다. 이에 사업의 실행력을 높이고자 2014년 민간공원 조성사업 시행자 요건인 현금예치 비율을 토지매입비 및 공원 조성 공사비의 80%에서 토지매입비의 80%로 완화하고, 민간사업자가 조성할 수 있는 대상 공원의 규모를 10만m2 이상에서 5만m2 이상으로 하향 조정하였다. 특히 논란이 많았던 민간사업자의 공원 기부채납 면적 비율을 기존 80%에서 70%로 완화하여 2015년 12월 기준 추동공원, 영흥공원 등에서 사업화 과정이 가시화되기 시작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Jung, J. K.(2014) A Study on the Private Capital Utilization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Private Development Parks in Japan. Master Degree Thesis, Hankyung National University, Ansung, Korea. 

  2. Kawai, M. and O. Yokoyama(2009) Practical using of the Ppen Space in the city center and its effectiveness: A case study of use for the event in Osaka(Chuo-ku and Kita-ku). Urban Planning, Building Economics and Housing Problems 2009: 805-806. 

  3. Kawasaki, Y.(2014) Study on the redevelopment of suburban amusement parks which railroad companies managed. Journal of the City Planning Institute of Japan 49(3): 273-278. 

  4. Kim, H.(2012) A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government park in Japan. Journal of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5(5): 1-17. 

  5. Kim, J. W.(2011) Uses of case-oriented policy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its development: Focusing on the methodological discussions of comparative social sciences. The Korea Association for Governance 18(3): 1-20. 

  6. Land and Housing Institute(2012) A Study on the System of Park on Leased Land. 

  7. Minai, N.(2006) Planning issue of closed amusement parks: Study on publication of public used private land. Urban Planning, Building Economics and Housing Problems 2006: 697-698. 

  8.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2015) Guideline for planning and design of disaster prevention parks(draft), Technical note of NILIM, No.857. 

  9. Parks & Open Space Association of Japan(2014) Guideline of Urban Park Law. 

  10. Shimomura, Y.(2013) Amendment of urban park act, article 5 and park facilities set up by non-governmental sectors. Journal of the Japanese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76(5): 697-702. 

  11. Soda, O.(2004) A study on getting the basic principles in public space. Journal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119(1520): 36-39. 

  12. Tajima, K.(2010) Public-private partnerships for parks and open spaces in New York city. Rikkyo Economic Review 63(3): 51-69. 

  13. Tsuji, Y., N. Nakai andM. Numata(2014) A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of park on leased land. Journal of the City Planning Institute of Japan 49(3): 255-260. 

  14. Uemura, M., H. Tsuchida and H. Inoue(2014) Study on the open space of the city as seen from the spatial analysis of the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Summaries of Technical Papers of Annual Meeting 2014, 285-28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