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원녹지기본계획의 운영체계 및 계획내용에 관한 연구 - 런던, 뉴욕, 베를린, 시드니, 서울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Operational Systems & Planning Contents of Parks & Green Space Plan - Focused on London, New York, Berlin, Sydney, Seoul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2 no.2, 2014년, pp.91 - 102  

채진해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조경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김승주 (서울연구원 도시공간연구실) ,  허윤경 (뮌헨공과대학교 조경학과) ,  황주영 (가천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도시정책에서 도시공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확대되고 있다. 좋은 도시공원체계 확보를 위해서 공원정책 및 계획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세계 주요도시의 공원녹지 관련 계획의 운영체계와 계획내용을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도시적 차원에서의 공원녹지기본계획의 운영체계 및 계획내용에 관한 비교연구이다. 연구대상지로는 영국 런던, 미국 뉴욕, 독일 베를린, 호주 시드니, 국내 서울을 선정하였고, 분석자료는 각 도시별 공원녹지 관련 기본계획 및 전략보고서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의 틀은 운영체계와 계획내용으로 구분하여 설정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원녹지계획을 관련자원과 연계된 오픈 스페이스 계획으로 수립함으로써 자원의 통합적 관리 및 형평성에 대한 실천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둘째, 공원녹지계획이 초기의 양적 공급에서 질적가치의 향상으로 더 나아가 재활성화 및 재생에 이바지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 셋째, '공급중심의 계획'에서 '수요에 기반한 평가' 모델로 전환함으로써 인구학적 변화, 트렌드 변화, 선호도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계획 모델로 수립되고 있다. 넷째, 계획의 주체, 수립단계별 참여 기회 확대, 참여구성원의 다양화를 통해 수동적 참여에서 적극적 참여계획으로 전환되고 있다. 공원녹지기본계획의 실천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공원녹지에 관한 새로운 인식변화를 적극 수용하고, 공원 거버넌스를 수용을 도입하며 상황에 기민하게 대응하는 유연한 계획접근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 trends in urban policies show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urban parks. Moreover the park policy and planning are increasingly important for the good urban park system. Comparative studies in the operational system and planning contents of the parks and green space plans of the major citie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런던은 전 세계에서 가장 녹색의 도시조성을 목표로 삼고 있는데, Mayor of London(2009)에 따르면 Greener London은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 온실가스 감소, 기후변화에 대응에 이바지 한다고 하였다. 뉴욕은 Greener, Greater New York을 통해 뉴욕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녹색화를 최우선 과제로 설정하였으며(NYC, 2013), 베를린은 Green Metropole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 시민 건강 증진 등을, 시드니는 Greening Sydney를 통해 Green Living 구현을 위한 그린 라이프 스타일 형성 및 도시환경 조성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서울은 생명이 살아 숨 쉬는 안심도시를 통해 공원 중심의 도시 인프라 구축을 실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다양한 도시를 비교군으로 설정함으로써 공원녹지기본계획의 현황 및 과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공원녹지 관련 계획은 각 도시에서도 하나의 특정계획에 의해 운영되기 보다는 여러 가지 계획이 중복되어 운영될 수 있다. 또한 공원녹지는 자치단위별로 운영되기 때문에 주정부가 다르면 다른 체계시스템에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각 나라를 대표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 우리나라의 경우 도시기본계획의 공원녹지 부문이 수립되고 있으며, 2005년 개정된 법률에 의거 공원녹지기본계획이 수립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향후의 공원녹지기본계획의 방향과 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해외 주요도시의 도시공원 관련 계획 모델을 비교하고, 그 현황과 과제를 분석하여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5년 도시공원법은 무엇으로 변경되었는가? 우리나라에서도 1981년 도시기본계획이 법제화되면서 공원녹지부분이 하위계획으로 포함되어 법적인 틀에서 공원녹지계획이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2005년 『도시공원법』이 『도시공원 및 녹지에 관한 법률』로 변경되면서, 독립된 법정계획으로써 공원녹지기본계획이 위상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공원녹지기본계획은 실천성이 미흡한 상황인데, 이는 상위계획인 도시기본계획과의 부정합성, 체계적이지 못한 조사항목의 문제, 도시관리계획과의 연계 부족 등이 원인이다(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1).
세계 주요도시의 공원녹지 관련 계획의 운영체계와 계획내용을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는? 분석의 틀은 운영체계와 계획내용으로 구분하여 설정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원녹지계획을 관련자원과 연계된 오픈 스페이스 계획으로 수립함으로써 자원의 통합적 관리 및 형평성에 대한 실천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둘째, 공원녹지계획이 초기의 양적 공급에서 질적가치의 향상으로 더 나아가 재활성화 및 재생에 이바지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 셋째, '공급중심의 계획'에서 '수요에 기반한 평가' 모델로 전환함으로써 인구학적 변화, 트렌드 변화, 선호도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계획 모델로 수립되고 있다. 넷째, 계획의 주체, 수립단계별 참여 기회 확대, 참여구성원의 다양화를 통해 수동적 참여에서 적극적 참여계획으로 전환되고 있다. 공원녹지기본계획의 실천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공원녹지에 관한 새로운 인식변화를 적극 수용하고, 공원 거버넌스를 수용을 도입하며 상황에 기민하게 대응하는 유연한 계획접근이 필요하다.
공원정책 및 계획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이유는? 최근 도시정책에서 도시공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확대되고 있다. 좋은 도시공원체계 확보를 위해서 공원정책 및 계획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세계 주요도시의 공원녹지 관련 계획의 운영체계와 계획내용을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9)

  1. Akkar, Muge(2005) Questioning the publicness of public spaces in postindustrial cities. Traditional Dwellings and Settlements Review 14(2): 75-91 

  2. Antrop, M.(2004) Landscape change and the urbanization process in Europe.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7: 9-26. 

  3. Ban, Y. U. and T. H. Lee(2009) Setting development priorities of undeveloped neighborhood parks in the downtown of Cheongju city using a park development pressure index.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7(4): 1-11. 

  4. Byeon, J. S., I. H. Kim and S. H. Shin(2011) An institutional approach for application of the contracting-out in city parks: Focused on the case study of city park management of Seongnam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5): 33-47. 

  5. Byrne, J. and N. Sipe(2010) Green and open space planning for urban consolida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best practice. Brisbane: Griffith University Urban Research Program 1-59. 

  6. CABE Space(2009a) Open Space Strategies: Best Practice Guidance. Commission for Architecture and the Built Environment and the Greater London Authority. 

  7. CABE Space(2009b) Raising the Standard: The Green Flag Award Guidance Manual. Green Space. 

  8. Chae, J. H., Y. G. Kim, Y. H. Kim, Y. H. Son and K. J. Zoh(2013) A study on urban open space selection attributes as an urban entertainment destin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1(4): 56-67. 

  9. Choi, H. S.(2006) An improvement measures for urban parks and green space policy in Korea. Urban Affair Monthly Magazine 41(449): 60-73. 

  10. Choi, Y. H.(2005) A Study on Seoul Parks and Greenspace Policy: Focus on Seoul. Korea University, Thesis Paper(Doctor Degree) 

  11. City of London(2008) The City of London Open Space Strategy, City of London. 

  12. City of Sydney(2006) Open Spaces and Recreation Needs Study. City of Sydney. 

  13. City of Sydney(2012) Sustainable Sydney 2030. City of Sydney. 

  14. Czerniak, J., G. Hargreaves and J. Corner(2010) Large Park. 배정한+idla(역). 라지파크. 서울: 조경. 

  15. Department for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2006) Planning Policy Guidance 17: Plannning for Open Space, Sport and Recreation. 

  16. Gehl, J.(2011). Life Between Buildings: Using Public Space. Washington. D.C; Island Press. 

  17. Harnik, P.(2010) Urban Green: Innovative Parks for Resurgent Cities. Washington. D.C: Island Press. 

  18. Im, Y. B. and C. H. Kim(2011) A study on establishment standard of green space area in consideration of distribution of surrounding green land: Focused on second new-town.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6(1): 143-156. 

  19. Kim, B. W., W. A. Lee and S. N. Park(2008) Situations and problems of park and green space master plan based on the revised urban park law in Kor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lant and Environmental Design 4(3): 1-5. 

  20. Kim, S. B.(2006) Urban parks policies of foreign major countries. Urban Affair Monthly Magazine 41(449): 47-58. 김수봉(2006) 외국의 도시공원 정책. 도시문제 41(449): 47-58. 

  21. Kim, Y. G., S. Y. Han and K. J. Zoh(2011) A study on methods to create and manage urban park with public-private partnership,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3): 83-97. 

  22. Kim, Y. J. and E. K. Ryu(2006) A study on the ways of city park planning method according to user preference - Focused on the preference about Ansan citizens' use of a park.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e Institute of Korea 8(4): 55-63. 

  23. Kim, Y. T.(2007)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Green Infrastructure for Park and Openspace Planning: Focusing on Kwonsun-gu, Suwon. Seoul Nation University, Thesis Paper(Master) 

  24. Korea Land Development Cooperation(1993) A Study on Parks and Green Planning Standards. Korea Land Development Cooperation. 한국 토지개발공사(1993) 공원 녹지계획지표 연구. 한국토지개발공사. 

  25. Lancaster, R. A.(1983) Recreation, Park and Open Space Standards and Guidelines. Alexandria VA: National Recreation and Park Association. 

  26. Lee, K. J., J. W. Choi and B. H. Han(2008) Comparison and application quantitative indices for analyzing total green space in an urban area: Guro-gu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4):27-35. 

  27. Lim, Y. R., J. M. Chu, J. Y. Shin, H. J. Bae and C. S. Park(2009) Analysis on the accessibility to natural greenspace and urban parks by income class factors: Focusing on Seongnam-si, Gyeonggi-do.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4(4): 133-146. 

  28. Maruani, T. and I. Amit-Cohen(2007) Open space planning models: A review of approaches and method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81: 1-13. 

  29. Mayor of London(2004) Guide to Preparing Open Space Strategies: Best practice guidance of the London Plan. Greater London Authority. 

  30. Mayor of London(2009) Leading to a Greener London: An Environment Programme for the Capital. Greater London Authority. 

  31. Mayor of London(2011) London Plan. Greater London Authority. 

  32. Ministry of Construction Transportation(2006) The Guideline to Parks and Green Space Master Plan. Ministry of Construction Transportation. 건설교통부(2006) 공원녹지기본계획수립지침. 건설교통부. 

  33.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2011) A Study on the Policy of Urban Park Development and Management Operation Strategy,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34. New South Wales Government(2010) Recreation and Open Space Planning Guidelines For Local Government, New South Wales Government. 

  35. New Yorkers for Parks(2010) The Open Space Index. New Yorkers for Parks. 

  36. Nicholls, S. and J. L. Crompton(2005) The impact of greenways on property values: Evidence from Austin, Texa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7(3): 321. 

  37. Oh, C. H.(2006) The problem of urban parks policy in Korea. Urban Affair Monthly Magazine 41(449): 33-45. 

  38. Oh, C. H., S. M. Lee and S. H. Ban(2009) Urban parks and green space master plan by application of biotope map: Focused on Siheung city, Gyeongi-do.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Spring Academic-Industrial Cooperative Conference pp.239-246. 

  39. Park, M. H.(2006) The effects of the revision on the act on urban parks, greenbelts, etc. Urban Affair Monthly Magazine 41(449): 22-32. 박문호(2006) 도시공원및녹지등에관한법률개정의효과. 도시문제41(449): 22-32. 

  40. Seattle Parks and Recretion(2011) An Assessment of Gaps in Seattle's Open Space Network, City of Seattle. 

  41. Senate Department for Urban Development and the Environment (2006) Landschafts programm einschlie $\ss$ lich Artenschutzprogramm 1994. Berlin (in German). 

  42. Senate Department for Urban Development and the Environment (2012) Strategie Stadtlandschaft. Berlin(in German). 

  43. Senate Department for Urban Development and the Environment(2013) Stadtentwicklungskonzept 2030. Berlin(in German). 

  44.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2012) 2030 Seoul Parks and Green Space Master Plan(Draft).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서울특별시(2012) 2030서울공원녹지기본계획(안). 서울특별시. 

  45.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2013) 2030 Seoul Plan(Draft).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서울특별시(2013)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안). 서울특별시. 

  46. Shawn Tofte(2003) Urban Entertainment Destinations: A Developmental Approach for Urban Revitalization.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 State University. Thesis Paper(Master) 

  47. Shin, J. Y.(2010) Assessment of Social Equity in Access to Urban Parks in Regions with Both New and Old Urban Developments: Focusing on First Stage "New Tow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sis Paper (Doctor Degree) 

  48. The City of New York(2010) City Environmental Quality Review Technical Manual. The City of New York. 

  49. The City of New York(2013) PlaNYC Progress Report. The City of New York. 

  50. Thompson, C. W.(2002) Urban open space in the 21st centur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0(2): 59-72. 

  51. Turner, T.(1992). Open space planning in London: From standards per 1000 to green strategy. Town Planning Review 63(4): 365-386. 

  52. Veal, A. J.(2013) Open space planning standards in Australia: In search of origins. Australian Planner 50(3): 224-232. 

  53. Wilkinson, P. F.(1985) The golden fleece: The search for standards. Leisure Studies 4(2): 189-204. 

  54. Yang, J. S.(2010) A Comparative Study on the Operational Systems of the Master Plans in World Cities: London, Berlin, New York, Tokyo. Seoul Development Institute. 

  55. http://www.london.gov.uk/ 

  56. http://www.berlin.de/berlin-im-ueberblick/zahlenfakten/index.de.html 

  57. http://www.nyc.gov/ 

  58. http://stat.seoul.go.kr/ 

  59. http://www.cityofsydney.nsw.gov.au/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