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혈모세포 이식 전 환자의 사회적 지지, 희망, 불안 및 우울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Hope, Anxiety, and Depression in Patients Expecting to Receive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8 no.1, 2016년, pp.30 - 42  

배가령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김수 (연세대학교 간호대학.김모임 간호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family support, medical team support), hope, anxiety,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hematologic cancers before they received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to obtain baseline data for developing a nursing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조혈모세포 이식 전 부정적 정서 프로파일은 장기적으로 나쁜 생존율과 관련이 있으므로[16] 이식 기간 중 흔히 나타나는 부정적 정서인 불안과 우울을 이식 전에 확인하고, 이를 완화시켜 줄 수 있는 변수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개인 외적인 변인으로 사회적 지지를, 개인내적인 변인으로 희망을 선택하여 불안, 우울과 함께 수준을 파악하고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암 환자가 지각한 가족지지, 의료인 지지 정도와 우울이 음의 상관관계가[6], 희망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17],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과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모두에서 이식단계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불안임을 확인[15]하는 등의 단편적 관계를 본 연구는 있었으나 사회적 지지, 희망, 불안, 우울 간의 모든 관계를 확인한 연구는 없었다.
  • 암 환자가 지각한 가족지지, 의료인 지지 정도와 우울이 음의 상관관계가[6], 희망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17],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과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모두에서 이식단계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불안임을 확인[15]하는 등의 단편적 관계를 본 연구는 있었으나 사회적 지지, 희망, 불안, 우울 간의 모든 관계를 확인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힘들게 이식을 결심하기까지 의심과 불안을 경험하는 시기인 이식 결정시기와, 이식 시 일어날 수 있는 것을 교육받고 심리적으로 준비를 하는 시기인 입원 전 준비단계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사회적 지지, 희망, 불안, 우울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신체적 증상은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이식 전의 신체적 상태가 환자의 희망, 불안, 우울에 미치는 영향도 클 것이라 생각한다. 따라서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의 신체적 증상과 심리적 증상과의 연관성을 함께 확인하는 연구를 제안한다.
  • 본 연구는 기존의 조혈모세포 이식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다수의 연구와는 달리 이식 준비 과정의 심리사회적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로, 조혈모세포 이식 전 환자들이 이식을 준비하는 과정 동안의 사회적 지지와 희망, 불안과 우울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이식을 준비하는 환자들의 사회적 지지와 희망을 증진시키고 불안과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적합한 지지간호 방법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 것으로, 조혈모세포 이식 전 환자들의 사회적 지지, 희망, 불안 및 우울의 상관관계를 파악한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조혈모세포 이식 전 환자의 사회적 지지, 희망, 불안과 우울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조혈모세포 이식 전 환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족 지지, 의료인 지지), 희망, 불안과 우울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이식 전 환자의 안녕과 효과적인 대처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혈모세포 이식을 앞둔 환자에게 의료인의 지지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죽음에 직면하여 투병생활을 하는 환자들에게 가족과 의료인은 사회적 지지의 중요한 지지 근원이다[6]. 일반적으로 가족은 낯선 의료인보다 환자와 의미 있는 상호작용이 가능하므로 환자의 정신적, 감정적 안정 유지를 위한 요구를 만족시켜 전반적인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지지체계이지만, 대부분의 경우 조혈모세포 이식을 위한 준비가 끝난 후 이식병동에 입원을 하게 되면 가장 큰 지지체계인 가족과 격리되기 때문에 의료인 지지는 환자가 희망을 잃지 않고 힘든 이식과정을 잘 견디게 해주는 중요한 자원이다[7]. 따라서 조혈모세포 이식을 앞둔 환자들의 사회적 지지로 가족지지뿐만 아니라 의료인 지지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조혈모세포 이식이란 무엇인가? 조혈모세포 이식은 골수기능부전이나 혈액암 환자를 대상으로 골수억제 치료를 시행한 후 조혈모세포를 주입하여 골수 기능을 회복하는 치료방법이다. 비골수제거 조혈모세포 이식, 제대혈 이식, 조직적합항원(Human Lymphocyte Antigen, HLA) 부분 불일치 혈연간 조혈모세포 이식이 가능해짐으로써 HLA 일치 공여자를 구하지 못하거나 고령, 기왕증 등의 문제로 강력한 전처치를 받을 수 없는 환자까지 이식 치료영역이 확대되었고[1], 1983년에 국내에서 처음 이식이 시행된 이후 2013년 12월말까지 이식건수는 총 21,545건으로 급속하게 증가하여 시행되어지고 있다[2].
혈액암의 특성은 무엇인가? 이와 같이 궁극적으로 생존과 완치를 위한 목적으로 조혈모세포 이식이 선택된 만큼 환자는 이식 전 신체적, 정신적으로 힘든 과정을 겪는다. 질환의 특성상 혈액암은 질환의 진행이 매우 빨라, 진단 당시부터 적극적인 치료가 이루지지 않을 경우 2~3개월 내 사망하는 초급성 경과를 보이므로 대부분 환자는 심리사회적, 영적인 준비를 할 수 없다[3]. 또한 질병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지 않은 상황에서 시작된 항암치료는 고통에 시달리는 신체적 체험을 주며, 항암치료로 신체 변화를 경험하고 항암제의 무서움을 깨달았지만 지속적으로 항암치료를 받아야 하는 현실의 두려움과 주위 환자의 죽음, 재발과 합병증에 시달리는 모습에서 자신의 모습이 투영되는 관계적 체험을 경험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im JA. New therapeutic modalities on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10;78(5): 552-6. 

  2. Korea Stem Cell Transplantation Nurses Association. Annual number of BMT in KOREA [Internet]. 2014 [cited 2015 April 1]. Available from: http://bmtnurse.org/ksctna/sc_resource/images/subtitle1_01.gif 

  3. Chung SO, Chang SB, Lee WH, Kim JH.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health and depression of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y.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2007;7(1): 56-67. 

  4. Park JA. The experienced of chemotherapy before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y. The Academy of Qualitative Research. 2015;16(1):34-47. 

  5. Kang HR, Hong YJ, Hwang KA, Park MR, Chun SS, Lim NY. Stress and emotional status of patients undergone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and their families.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04;7(2):115-26. 

  6. Tae YS.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of the cancer patients.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1986. 

  7. Ban JY, Park HR, Sohng KY. Hope and related variables in patients undergoing hem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for leukemia.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2005;5(2): 116-25. 

  8. Kim BH, Kim JK, An JW. Subjectivity of hope among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patients. Journal of Human Subjectivity. 2015;30:27-45. 

  9. Kim S. An empirical study of quality of life of autologous stem cell transplant patient: focused on perceived social support.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06. 

  10. An JW. Hope and quality of life of patients undergone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9. 

  11. Jenkin PL, Linington A, Whittaker JA. A retrospective study of psychosocial morbidity in bone marrow transplantation. Psychosomatics. 1991;32:65-71. 

  12. Kang YA, Yi MS. Ethnography on isolation unit for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focusing on patients.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2009;9(1):31-42. 

  13. Kim HJ, Sohng KY, Park HR, Choi DW. Perceived anxiety and uncertainty in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recipients to and from isolation unit.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 of Nursing. 2006;13(3):428-36. 

  14. Lee SY, Park HR. Depression and depression relating variables in hem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recipients with leukem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6;15(1):89-98. 

  15. Choi SE, Lee SY, Park HR, Park HR. The levels of anxiety and depression according to the stages of autologous and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05;8(2):190-9. 

  16. Hoodin F, Uberti JP, Lynch TJ, Steele P, Ratanatharathorn V. Do negative or positive emotions differentially impact mortality after adult stem cell transplant? Bone Marrow Transplantation. 2006;38:255-64. 

  17. Lee HJ, Sohn SK. Predictive factors of hope in patients with cancer.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0;12(2):184-95. 

  18.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19. Kim DS, Lee SW.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hope for the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8;28(2):441-56. 

  20. Zigmond AS, Snaith RP.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1983;67:361-70. http://dx.doi.org/10.1111/j.1600-0447.1983.tb09716.x 

  21. Oh SM, Min KJ, Park DB. A comparison of normal, depressed and anxious groups: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ed scale for Korean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9;38(2):289-96. 

  22. Kwak SY, Byeon YS. Factors influencing resilience of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3;25(1):95-104. http://dx.doi.org/10.7475/kjan.2013.25.1.95 

  23. Jung AR, Yi MS. Predictive factors of supportive care needs in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1;23(5):460-71. 

  24. Kang KA, Oh BJ. A correlation study of suffering, burden and meaning of life in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0;30(2):331-41. 

  25. Tae YS, Kang ES, Lee MH, Park GJ.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social support. hope and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01;4(2): 219-31. 

  26. Jung MJ, Lee HJ.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following HSCT recip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8;20(2):156-67 

  27. Ko EG, Yoo EK.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the treatment process of allogeneic BMT (Bone Marrow Transplantation) patients. Hanyang Journal of Medicine. 1998;18(2):197-210. 

  28. Syrjala KL, Langer SL, Abrams JR, Storer B, Sanders JE, Flowers ME, et al. Recovery and long-term function after hematopoietic cell transplantation for leukemia or lymphoma.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4;291:2335-43. 

  29. Moon H, Lee JS. The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ymptom distress of patients with cancer on hop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995;4(1):27-44. 

  30. Bok JN, Sohng KY, Park HJ. Quality of life and family burden in hem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recipients.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2005;5(2):136-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