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매노인 가족부양자의 간호방법에 대한 치매교육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Dementia Education for the Nursing Method of Family Caregivers of the Demented Elderly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5 no.2, 2014년, pp.97 - 108  

유광수 (전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소은선 (전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and substantiality of a dementia education program for family caregivers of the demented elderly. Methods: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pretest-posttest design was carried out from April 15 to July 29 in 2012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치매노인 가족부양자의 간호방법을 향상하기 위하여 치매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치매노인 가족부양자에게 교육을 실시한 후 유효성과 그 유효성의 유지기간을 알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조사의 유사실험설계이다.
  • 본 연구는 치매노인을 가정에서 간호하는 경우 간호방법을 향상시켜 치매노인가족 부양자의 부담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치매교육을 실시한 후 그 효과와 유지 기간을 파악하였다.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들은 치매노인을 돌보는데 필요한 교육이나 사회화 과정 없이 부양자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으로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 환자 가족부양자를 대상으로 치매 교육을 실시하여 간호방법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Kinny와 Stephens[10]은 시간이 지나면서 치매 정도가 점점 심각해지면서 가족부양자들도 부양과 관련된 여러 문제들에 적응하게 되어 간호방법을 습득하게 된다는 적응가설을 제시하고 있지만 치매노인 가족부양자들은 치매와 치매 환자의 간호방법을 알아야만 부담감이 감소[11]될 것이기 때문에 효과적인 간호방법에 대한 치매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치매노인 가족부양자들에게 치매교육을 실시하여 간호방법에 대한 효과를 교육 직후, 2주 후, 4주 후에 파악하여 간호방법에 대한 치매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한다.
  • 더욱이 가족의 유형이 다양해지고 여성의 사회 진출이 확대되어 가족 내에서 여성의 역할이 변화되면서 자녀의 부양의식도 약화되어 가정에서의 요양보호능력이 약화되었다. 이에 정부는 2008년 7월 1일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시행하여 노인들의 건강증진과 생활안정을 도모하여 그 가족들의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치매 ․ 중풍 등 중증 질환 노인의 치료와 요양서비스를 담당하는 노인의료복지시설인 노인요양시설 및 노인전문병원을 2004년 382개소에서 2005년 583개소로 52.

가설 설정

  • 연구가설은 ‘치매교육을 받은 치매노인 가족부양자는 치매 교육을 받지 않은 치매노인 가족부양자보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간호 방법의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라고 구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는 어떤 질환인가? 인구의 고령화로 치매노인은 매년 급증하고 있으며, 65세 이상 노인 11명 중 1명이 걸릴 정도로 흔한 질병인 치매는 개인의 품위를 유지할 수 없을 정도로 인격이 황폐화되고 독립적인 일상생활이 어려워 가정에 큰 부담을 주고 있는 질환이다[1].
세계보건기구는 전 세계의 치매 노인의 인구수를 어떻게 예상하고 있는가? 세계보건기구는 현재 전 세계의 치매 노인은 약 3,560만명 정도이며 2030년에는 6,570만명으로 현재의 2배가량으로 증가할 것이며 2050년에는 인류 전체의 1.3%인 1억1,540만명이 치매노인일것라고 하였다. 이처럼 치매노인이 증가하여 1980년대 이후 후천성면역결핍증이 폭발적으로 늘어났던 것처럼 심각한 상황을 일으킬 수 있다고 보고 각국 정부에 치매를 우선적인 공공보건 문제로 고려할 것을 촉구하였다[2].
만약 가족 구성원 중 한사람이 치매 환자라면 가족구성원들에게 부정적 영향을 주는 이유는? 만약 가족 구성원 중 한사람이 치매 환자라면 가족구성원 모두에게 스트레스를 주어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며 그러한 영향은 가족구성원들에게 긍정적 영향보다는 부정적 영향을 주게 된다. 이것은 치매가 다른 질병들보다 원인불명, 강제치료, 경제적 부담, 심리적 불안 그리고 사회적 압박감 등 질환자체의 특수성으로 가족구성원에게 미치는 영향이 더욱 심각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치매 노인은 인지기능과 지적기능의 장애로 가족과 사회에 대한 의존성이 높은 사람들로서 다른 노인성 환자들에 비해 집중적이고도 장기적인 간호와 요양보호가 필요하게 되어 가족 모두에게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심리적, 경제적으로 영향을 끼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2015 Plan for aging society and population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 [cited 2013 September 24].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frontnew/jb/sjb03 0301vw.spPAR_MENU_ID03&MENU_ID031601&page19 &CONT_ SEQ264573 

  2. Park JH. Dementia. The Keoung Hang Newspaper, 2012 December; Sect. 13. 

  3. Cho MJ, Kim KO, Kim MH, Kim MD, Kim BJ, KIm SK, et al. National study on the presence of dementia in Korean elders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8 [cited 2013 September 26]. Avaliable from: http://ww.mohw.go.kr/front_ewjb/jb30301j w.jspPAR_MENU_D03&MENU _ID031601 &page288CON T_SEQ264429 

  4. Fengler AP, Goodrich N. Wives of elderly disabled men: The hidden patients. The Gerontologist. 1979;19(2):175-183. 

  5. Lee SH, Kwon JD. The living condition and welfare needs of demented elderly and family senile. Research Studies. Seoul: The Northern Senile Welfare Center of Seoul; 1993 March. Report No.:93-1. 

  6. Yang ES. A study on the utilizing of community resource and sustenance burden of the family stricken with senile dementia. Journal of Social Welfare Development. 2004;10 (3):235-265. 

  7. Kim HJ. A study on the effects of yoga therapy program and dance-sport program on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f high-risk group of dementia. Journal of Arts Psychotherapy. 2011;7(4):125-148. 

  8. Kim JS, Lee SI, Kim KT, Jeong IS, Park NH, Lee KN, et al. An investigation on the status of care-giving for the demented elderly and desire for in house care services.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2003;14(3):385-396. 

  9. Oh JJ.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s of an individual intervention program and a group intervention program on the demented elderly and their famil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8;19(2):205-215. 

  10. Kinney JM, Stephens MA. Caregiving hassles scale: Assessing the daily hassles of caring for a family member with dementia. The Gerontologist. 1989;29(3):328-332. 

  11. Ostwald SK, Hepburn KW, Burns T. Training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dementia a structured workshop approach.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003;29(1):37-44. 

  12. Park JW. A study on social support instrument development.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1985. 127 p. 

  13. Jeong KH, Cho OR, Oh YH, Sun UD. Caring for the frail elderly and welfare needs of the frail and family caregiver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Research Report. 2001; p. 77-78. 

  14. Biegel DE, Sales E, Schulz R. Theoretical perspective on caregiving. In: Biegel DE, Sales E, Schulz T, editors. Family caregiving in chronic illness. Newbury Park, CA: Sage; 1991. p. 29-61. 

  15. Baldwin B, Kleeman K, Stevens G, Rasin J. Family caregiver stress: Clinical assessment and management.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1989;1(2):185-194. 

  16. Hong YS, Lee SJ, Park HA, Cho NO, Oh JJ.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are giver education program on the home care of senile dementia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1995;25(1):45-60. 

  17. Lee MH. The effects of the structured dementia education on the appraisal of caregiving experiences by the main family caregivers of dementia patients and on those patients's cognitive behaviors. [master's thesis]. [Busan]: Dong-Eui University; 2011. 65 p. 

  18. Coon DW, Thompson L, Steffen A, Sorocco K, Gallagher- Thompson D. Anger and depression management: Psychoeducational skill training interventions for women caregivers of a relative with dementia. The Gerontologist. 2003;43(5): 678-689. 

  19. Kamijou K, Komatsu YM, Nakamura T, Ogihara Y. A Study of the feeling of caregivers of persons with dementia who have ceased to attend daycare: Care continuation and the stress of the family caregivers. West Kyushu Journal of Rehabilitation Science. 2009;22;55-62. 

  20.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of Japan, 2012 Japan. Annual Report of Ministry of Health(Thinking of social insurance) [Internet]. Tokyo: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of Japan, 2012 [cited 2013 September28]. Available from: http://www.mhlw.go.jp/wp/hakusyo/kousei/ 12-1/dl/gaiyou 

  21. Kong EH, Cho EH, Song MS. The burden and caregiving satisfaction of primary family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Cultural and non-cultural predictors.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009;29(2):701-716. 

  22. Han EJ, Jung HY, Lee KJ. The reality of services for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Geriatric Psychiatry. 2005;9(1):50-56. 

  23. Yuki M, Iida S. The affect of the care burden on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caregivers and the relative of the elderly person cared for at home in the urban community. Journal of Japan Academy of Gerontological Nursing. 1996;1(1):42-54. 

  24. Yoo HJ. A study on the social support for major care-giver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their care-giving burdens. [master's thesis]. [Chuncheon]: Hanlym University; 2003. 64 p. 

  25. Son YJ, Kang KS, Kim SJ. The home care need and the burden of a primary family care giver with senile dementia patients. Journal of Community Nursing. 2000;11(2):423-440. 

  26. Shin MS. The effect of education program on main family member caregiving dementia older. [master's thesis]. [Gwangju]: Chonnam University; 2007. 84 p. 

  27. Chiverton P, Caine ED. Education to assist spouses in coping with Alzheimer's disease: A controlled trial.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1989;37(7):593-598. 

  28. Kong EH. The effects of dementia education program on Certified geriatric Caregivers in a Nursing home. Journal Korean Academic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0;19 (4):349-35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