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 분석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환경 관련 사회적 문제(SSI)와 해결방법에 대한 인식조사
Examin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wareness about Socio-scientific Issues and Solutions about Environmental Topics by Using Their Drawings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5 no.1, 2016년, pp.111 - 122  

이윤정 (서울신내초등학교) ,  주은정 (미르초등학교) ,  장신호 (서울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wareness about socio-scientific issues and solutions about environmental topics by using their drawings. For this study, 489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3 provincial regions, Incheon, Dangjin and Pohang in Korea. The stud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이 인식하는 과학관련 사회적 문제와 문제해결방법을 조사하여 초등학교 과학 시간에 과학관련 사회적 문제가 도입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들에게 익숙한 환경 분야를 주제로 ‘환경문제 발생’, ‘환경문제 해결’이라는 두 가지 상황을 제시하여 그림 그리기 검사를 실시하고, 학생들이 표현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초등학생들이 인식하는 SSI와 그 해결방법을 알아보았다.
  • 분석자 간 분석 결과가 다르게 나타난 항목에 대해서는 2차 상호 협의 및 검토 과정을 거쳐 일치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예비 분석을 통해 학생들이 그린 그림에서 각 영역별 지표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확인 후 분석틀을 수정, 보완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환경문제를 주제로 초등학생들의 SSI와 해결방법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그림 그리기 검사를 활용한 이미지 분석을 실시하였다(Lee, 2015). 그림 그리기는 아동기에 해당하는 피검사자들에게 자주 사용되는 연구 방법으로 언어적 능력에 구애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Cheong, 2011).
  •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 교육과정에서 SSI의 도입이 필요함을 논하고, 향후 초등학교에서 SSI를 활용한 수업 진행 시 초등학생들의 기초 인식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초등학생들에게 익숙한 ‘환경 문제’를 주제로 초등학생들이 인식하는 SSI와 해결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참여자는 국내의 한 대학교에서 진행하는 환경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 489명이다. 해당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경북 포항, 인천, 충남 당진 지역 초등학교 4곳의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1년 동안 진행되었으며, 조사 시기는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시작되기 이전이므로 환경 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환경 문제 인식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경북 포항은 제철소를 포함하고 있는 공업도시로 D초등학교는 하천 옆에 위치하며, 제철소와 근접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SI를 활용한 과학학습에서는 과학 관련 사회적 문제에 어떻게 접근하는가? 때문에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요구 되는 학생들의 도덕성, 윤리성과 같은 인성 요소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을 문제점으로 꼽았다(Zeidler, 1984). 그러나 SSI를 활용한 과학학습에서는 과학 관련 사회적 문제를 과학교육 사조의 맥락에서 거시적으로 다루기보다 과학 교수학습의 맥락에서 미시적으로 접근한다(Zeidler et al., 2005).
과학교과가 타 교과에 비해 인성교육을 실시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인식이 강한 이유는 무엇인가? , 2012). 과학교과에서 다루는 내용이 가치중립 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SSI는 과학으로 인해 발생한 여러 가지 문제들을 가지고, 올바른 가치 판단 과 의사결정을 요구한다(Tal & Kedmi, 2006).
SSI란 무엇을 일컫는가? 최근 과학교육계에서 과학관련 사회적 문제, 이른바 SSI(Socio-Scientific Issues)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것 역시 이와 같은 사회적 흐름을 반영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SSI는 현대사회에서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환경오염, 기후변화, 방사능 오염, 생태계 파괴, 생명윤리 문제 등 과학과 관련된 다 양한 사회적 문제를 일컫는다(Sadler, 2002; Zeidler et al., 2005; Zeilder & Nichols, 2009; Lee, 2008; Chu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owker, R. (2007). Children's perceptions and learning about tropical rainforests: An analysis of their drawings.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13(1), 75-96. 

  2. Cheong, C. (2011).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bout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using drawing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4(1), 76-87. 

  3. Choi, D. (2013). A comparative study on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textbooks of Korea and United States.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Center, 24(2), 151-166. 

  4. Chung, Y., Mun, K. & Kim, S. (2010). Exploration of socioscientific issues(SSI) in the science textbook.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0(3), 435-456. 

  5. Jang, J., Mun, J., Rye, H., Choi, K., Krajcik, J. & Kim, S. (2012).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s global citizens of socioscientific issu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7), 1124-1139. 

  6. Joo, Y., Kim, K. & Noh, T. (2008). An investigation o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environmental scientists and their work by using the draw-an-environmental-scientist-tes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8(5), 453-463. 

  7. Ju, E., Lee, S. & Kim, J. & Lee, J. (2009). Analysis of images of scientists and science learning drawn by third grade student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8(1), 35-45. 

  8. Kim, J. & Lee, D. (2010).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environment problem.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s, 2010(12), 120-128. 

  9. Kim, K. (1997). Drawing activity for after reading [그림 그리기로 하는 독후 활동]. Elementary Uri Education, 112-115. 

  10. Kim, L., Ha, E. & Song, J. (2010). The development of science culture indicators for socio-scientific issues: Focusing on climate chang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0(4), 472-486. 

  11. Kim, M. & Cheong, C. (2007). The study for middle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awareness with drawing activity about environ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s, 16(4), 479-485. 

  12. Kim, M. (2007). Investigating sixth graders' understandings of science-technology-society-the environment (STSE) relationship and challenges of STSE teaching.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6(3), 309-320. 

  13. Kown, E. & Hong, S. (2012). Elementary students' environmental perception according to residence and grade appeared through drawing activities and associated words about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012(7), 213-215. 

  14. Lee, H. (2008). Decision-making pattern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on socioscientific issue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2(2), 377-395. 

  15. Lee, H., Choi, Y. & Ko, Y. (2014). Designing collective intelligence-based instructional models for teaching socioscientific issu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6), 523-534. 

  16. Lee, J., Kim, H., Ju, E. & Lee, S.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images of science and science learning and their science career choic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9(8), 934-950. 

  17. Lee, Y. J. (2015). Examin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wareness about socio-scientific issues and solutions by using drawings.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8. Lim, Y. & Shin, Y. (2014). An analysis of students' difficulty on science storie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 Focusing on 6th grade science.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8(3), 525-542. 

  19. Ministry of Education (2014). 2015 General studies of integrated curriculum highlights. Ministry of Education. 

  20. Sadler, T. D. & Zeidler, D. L. (2009). Scientific literacy, PISA, and socioscientific discourse: Assessment for progressive aims of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8), 909-921. 

  21. Sadler, T. D. (2002). Socioscientific issues and the affective domain: Scientific literacy's missing link. 

  22. Shepardson, D. P. (2005). Student ideas: What is an environ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36(4), 49. 

  23. Tal, T. & Kedmi, Y. (2006). Teaching socioscientific issues: Classroom culture and students' performances. Cultural Studies of Science Education, 1(4), 615-644. 

  24. United Nations Environmental Programme (UNEP). (2007). Global environmental outlook - 4. United Nations Envionmental Programme. 

  25. Wee, S. & Lim, S. (2013). Awareness and eductional needs concerning ssi of Korea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lated to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7(2), 294-309. 

  26. Wee, S., Yoon, J. & Lim, S. (2014). An analysis on argumentation structure development of preservice teachers through argumentative writing on earth science related SS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7(1), 11-23. 

  27. Yager, R. E. (Ed.). (1996). Science/technology/society as reform in science education. SUNY Press. 

  28. Yang, J., Kim, H., Gao, L, Kim, E., Kim, S. & Lee, H. (2012). Perceptions of science teachers on socioscientific issues as an instructional tool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1), 113-128. 

  29. Zeidler, D. L. & Nichols, B. H. (2009). Socioscientific issues: Theory and practice.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1(2), 49-58. 

  30. Zeidler, D. L. (1984). Moral issues and social policy in science education: Closing the literacy gap. Science Education, 68(4), 411-419. 

  31. Zeidler. D. L., Sadler. T. D., Simmons. M. L. & Howes. E. V. (2005). Beyond STS: A research-based framework for socioscientific issues education. Science Education, 89(3), 357-377. 

  32. Zohar, A. & Nemet, F. (2002). Fostering students' knowledge and argumentation skills through dilemmas in human genet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1), 35-6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