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스토리텔링 활동 기반 과학관련 사회쟁점 수업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 탐색
Students' Perception on the Effects of the SSI Instruction Using Digital Storytelling Approache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7 no.1, 2017년, pp.181 - 192  

박세희 (이화여자대학교) ,  고연주 (이화여자대학교) ,  이현주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스토리텔링을 적용한 SSI 교육프로그램(이하 DST-SSI 수업)을 개발하고, 학생들이 수업의 각 단계에서 인식하는 교육적 효과를 탐색해보았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이야기를 제작하고 전달하는 디지털스토리텔링은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동시에 학습의 결과를 공유하고 실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므로, 다양한 입장에 대한 이해와 타인과의 의견 조율이 요구되는 SSI 교육에 접목되었을 때 보다 상승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DST-SSI 수업은 교육과정과 밀접하게 연계되는 네 가지 주제를 선정한 후 각각의 SSI 주제에 적합한 DST 활동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었으며, 본 연구에는 수업에 참여한 중학교 3학년 학생 중 24명이 참여하였다. 4명씩 그룹을 지어 포커스 그룹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면담내용은 모두 전사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각각의 SSI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검색하고 자료를 수집하는 탐색 및 토의 과정에서 그동안 미처 인식하지 못했던 사회 윤리적 측면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주제를 둘러싼 입장이 매우 다양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수용하게 되었다. DST를 사전 제작하는 과정에서는 모둠의 의견을 효과적으로 반영하는 이야기를 전개하고자 다양한 관점을 조율했으며, 실생활에서 살펴볼 수 있는 자연스러운 상황을 주제로 하는 등 시청자의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는 감성적인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법을 고민하기도 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실제 DST를 제작하면서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운드트랙이나 시각효과, 화면 구성 등의 요소를 고려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웹을 통한 디지털 스토리의 공유와 피드백 단계에서는 제작과정에서는 미처 깨닫지 못했던 내용을 확인하는 동시에, 해당 문제와 관련하여 실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것을 찾아 행동으로 옮겨보는 노력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SSI program using Digital Storytelling (DST) approaches. Since DST provides students opportunities to express their own opinions in the form of stories and to share learning outcomes through the web, we developed and implemented SSI program b...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토리텔링이란?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환경을 SSI 수업에 적용한 형태 중 하나로, 디지털스토리텔링(Digital-Storytelling, 이하 DST) 활동에 기초한 SSI 수업을 개발 및 적용하고 그 교육적 효과를 탐색해보고자 한다. 먼저 스토리텔링은 주어진 하나의 주제를 에피소드로 엮어 이야기를 만드는 활동으로, 인류의 오래된 의사소통 방법 중 하나이다. 흔히 ‘이야기하기’ 활동으로 일컬어지는 스토리텔링은 기술과 구술 등 그 표현 방법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취하며, 교육 분야에서는 새로운 개념을 이해하고 학습내용을 내면화하는 데 도움을 주는 하나의 방안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Choi, 2014).
DST는 시공간에 제약받지 않는 상호작용을 어떻게 일으키는가? 나아가 DST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시공간에 제약받지 않는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Nam & Ka, 2014). 예를 들어, 제작한 디지털 스토리를 SNS를 활용해 공유할 수 있으며, 제작자와 수요자의 명확한 구분 없이 모두가 함께 이야기의 창작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Robin(2008)은 DST를 적용한 교육이 시공간의 제약이 없는 확장된 커뮤니티 속에서 의사소통하고 지식을 구성해나가는 능력을 기르는데 효과적이라고 주장하였다.
DST은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에게 어떠한 교육활동으로 작용할 수 있는가? Lee(2011)는 DST를 매우 광범위한 미적 활동으로 정의하면서, 파워포인트를 활용한 슬라이드 쇼, 여러 사진의 조합, 디지털 비디오 포맷의 동영상 등 디지털 기기를 이용하여 제작한 다양한 종류의 스토리텔링을 모두 포함한다고 보았다. 일부 학자들은 DST를 적용한 교육이 소위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라 불리는 세대의 창의력, 의사소통능력, 공감능력, 시각적⋅미디어 문해력 등을 증진할 수 있는 매우 의미 있는 교육활동이라고 주장하고 있다(Chung, 2006; Davis, 2004; Meadows, 2003; Sadik,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lbe, V. (2008). When scientific knowledge, daily life experience, epistemological and social considerations intersect: Students’ argumentation in group discussions on a socio-scientific issue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1), 67-90. 

  2. Barrett, H. C. (2007). Researching electronic portfolios and learner engagement: The REFLECT initiative. Journal of Adolescent & Adult Literacy, 50(6), 436-449. 

  3. Chang, H., & Lee, H. (2010). College students’ decision-making tendencies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issues (SSI).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0(7), 887-900. 

  4. Chang, H. Y., Wu, H. K., & Hsu, Y. S. (2013). Integrating a mobile augmented reality activity to contextualize student learning of a socioscientific issu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44(3), 95-99. 

  5. Choi, B. (2014). The effects of digital storytelling on mathematical communication apprehension in 6th graders' mathematics instruction.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7(1), 41-56. 

  6. Chung, S. K. (2006). Digital storytelling in integrated arts education.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rts Education, 4(1), 33-50. 

  7. Chung, Y., Yoo, J., Kim, S. -W., Lee, H., & Zeidler, D. L. (2016). Enhancing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in the science classroom through socioscientific issu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14(1), 1-27. 

  8. Clandinin, D. J., & Connelly, F. M. (2000).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cisco, CA: Jossey-bass. 

  9. Davis, A. (2004). Co-authoring identity: Digital storytelling in an Urban middle school. THEN: Technology, Humanities, Education, & Narrative, 1(1), 1. 

  10. Dawson, V. M., & Venville, G. (2010). Teaching strategies for developing students’ argumentation skills about socioscientific issues in high school genetic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0(2), 133-148. 

  11. Greenhow, C., Gibbins, T., & Menzer, M. M. (2015). Re-thinking scientific literacy out-of-school: Arguing science issues in a niche facebook applica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53, 593-604. 

  12. Hong, S. (2014). The application of digital storytelling in geography instructional desig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2(2), 1-22. 

  13. Jakes, D. S. (2005). Capturing stories, capturing lives: An introduction to digital storytelling. Retrieved January 18, 2017, from http://www.jakesonline.org/dstory_ice.pdf. 

  14. Khishfe, R., & Lederman, N. (2006). Teaching nature of science within a controversial topic: Integrated versus nonintegrated.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3(4), 395-418. 

  15. Kim, H., & Lim, H. (2014).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perceptions of decision-making activities on socioscientific issues. The Journal of Education, 34(3), 237-252. 

  16. Kim, J., Ko, Y., & Lee, H. (2016). Effects of socioscientific issues instruc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haracter and values as a global citizen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9(3), 1-25. 

  17. Klosterman, M. L., & Sadler, T. D. (2010). Multi-level assessment of scientific content knowledge gains associated with socioscientific issues-based instru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2(8), 1017-1043. 

  18. Lee, J. (2011). Digital storytelling in art education: Meanings, contents, procedures, and approaches. Art Education Research Review, 25(3), 123-146. 

  19. Lee, J. (2013). Exploring quality digital storytelling in digital art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Art Education, 14(2), 123-139. 

  20. Lee, H., Chang, H., Choi, K., Kim, S. W., & Zeidler, D. L. (2012). Developing character and values for global citizens: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moral reasoning on socioscientific issu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4(6), 925-953. 

  21. Lee, H., Choi, Y., & Ko, Y. (2014). Designing collective intelligence-based instructional models for teaching socioscientific issu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6), 523-534. 

  22. Lee, H., Choi, Y., & Ko, Y. (2015). Effects of collective intelligence-based SSI instruction on promoting middle school students’ key competencies as citize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3), 431-442. 

  23. Lee, H., & Lee, H. (2015). Analysis of students' socioscientific decision-making from the nature of technology perspective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1), 169-177. 

  24. Lee, H., Yoo, J., Choi, K., Kim, S. -W., Krajcik, J., Herman, B. C., & Zeidler, D. L. (2013). Socioscientific issues as a vehicle for promoting character and values for global citize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5(12), 2079-2113. 

  25.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Thousand Oaks, CA: Sage. 

  26. Meadows, D. (2003). Digital storytelling: Research-based practice in new media. Visual Communication, 2(2), 189-193. 

  27. Morin, O., Simonneaux, L., Simonneaux, J. & Tytler, R. (2013). Digital technology to support students’ socioscientific reasoning about environmental issues.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47(3), 157-165. 

  28. Nam, C., & Ka, E. (2014). Developing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digital storytelling-based instruc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0(4), 679-715. 

  29. Ohler, J. (2007). Digital storytelling in the classroom: New media pathways to literacy, learning and creativity.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30. Park, S. (2016). A study on understanding about fictiveness of modern novel and reconstruction of time in modern nov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1. Ratcliffe, M. (1997). Pupil decision­making about socio­scientific issues within the science curriculum.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9(2), 167-182. 

  32. Robin, B. R. (2008). Digital storytelling: A powerful technology tool for the 21st century classroom. Theory into Practice, 47(3), 220-228. 

  33. Sadik, A. (2008). Digital storytelling: A meaningful technology-integrated approach for engaged student learning.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56(4), 487-506. 

  34. Sadler, T. D., Barab, S. A., & Scott, B. (2007). What do students gain by engaging in socioscientific inquiry?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7(4), 371-391. 

  35. Sadler, T. D., & Donnelly, L. A. (2006). Socioscientific argumentation: The effects of content knowledge and mora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12), 1463-1488. 

  36. Sadler, T. D., & Zeidler, D. L. (2005a). The significance of content knowledge for informal reasoning regarding socioscientific issues: Applying genetic knowledge to genetic engineering issues. Science Education, 89(1), 71-93. 

  37. Sadler, T. D., & Zeidler, D. L.(2005b). Patterns of informal reasoning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decision mak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1), 112-138. 

  38. Vaughn, S., Schumm, J. S., & Sinagub, J. M. (1996). Focus group interviews in education and psychology. Thousand Oaks, CA: Sage. 

  39. Walker, K. A., & Zeidler, D. L. (2007). Promoting discourse about socio-scientific issues through scaffolded inquir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11), 1387-1410. 

  40. Zeidler, D., Sadler, T., Simmons, M., & Howes, E. (2005). Beyond STS: A research-based framework for socioscientific issues education. Science Education, 89(3), 357-377. 

  41. Zohar, A., & Nemet, F. (2002). Fostering students' knowledge and argumentation skills through dilemmas in human genet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1), 35-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