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의 관계: 부부간 호감과 존중과 아버지 양육참여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s of Marital Fondness & Admiration and Father's Child Rearing Involvement on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Comparison of Unemployed and Employed Mothers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4 no.6, 2016년, pp.621 - 629  

김득성 (부산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김도희 (부산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marital fondness and admiration as well as the father's involvement in child rearing on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for a comparison of unemployed and employed mothers. The subjects were 159 unemployed mothers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셋째,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라 부부관계 변인인 부부간 호감 및 존중과 배우자 변인인 배우자 양육참여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지를 밝히는 것이 의미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라 양육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를 부부간 호감 및 존중과 아버지 양육참여가 조절하는지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첫 자녀가 영유아기에 있는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의 관계를 부부간 호감 및 존중과 아버지 양육참여가 조절하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는 산업화 이후 사회가 어떻게 전환되고 있는가? 기혼여성의 사회진출이 증가함에 따라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대한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산업화 이후 일 중심 사회에서 현재 일 가정 양립형 사회로 전환되고 있다. 따라서 젊은 부모들에게 아버지 교육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우리사회의 일반적인 가족 형태는 무엇인가? 최근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높아짐에 따라 맞벌이 가족은 우리사회에서 일반적인 가족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2015년 10월 유배우 가구는 1,185만 8천 가구이며, 이중 맞벌이 가구는 520만 6천 가구로 유배우 가구의 43.
우리 사회는 자녀양육과 가사노동에서 강한 성역할 고정관념으로 인한 문제점은 무엇인가? 우리 사회는 자녀양육과 가사노동에서 강한 성역할 고정관념이 존재하고 있다. 이것이 취업모가 일과 가정생활을 양립하는데 걸림돌이 되고, 저출산의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취업모가 일과 육아를 병행할 수 있는 가족적·사회적 환경을 만드는 것이 출산율 제고와 행복한 가정을 만드는데 매우 중요한 일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o, S. H., & Park, S. Y. (2012). Marital satisfaction of working mothers with infants: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Korean Journal of Family Therapy, 20(3), 505-524. 

  2. Chung, H. (2001). A theoretical review for developing a Korean type marital satisfaction scal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9(11), 89-106. 

  3. Gottman, J. M. (1999). The marriage clinic: A scientifically based marital therapy. New York, NY: Norton & Company. 

  4. Gottman, J. M., & Gottman, J. S. (2008). And baby makes three: The six-step plan for preserving marital intimacy and rekindling romance after baby arrives (S. A. Choi & P. Cho, Trans.). Seoul: Hainaim. (Original work published 2007). 

  5. Gottman, J. M., & Levenson, R. W. (2000). The timing of divorce: Predicting when a couple will divorce over a 14-year period.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2(3), 737-745. http://dx.doi.org/10.1111/j.1741-3737.2000.00737.x 

  6. Gottman, J. M., & Silver, N. (1999). The seven principles for making marriage work. New York, NY: Three Rivers Press. 

  7. Hong, S. K. (2006). A study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Korean couples based on Gottman's theo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University, Seoul, Korea. 

  8. Jee, A. K., Kwon, H. C., & Lee, Y. S. (2014). The effects of Gottman's theory-based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on intimacy, communic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during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21(3), 413-432. 

  9. Jun, C. A., & Park, S. Y. (1996).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4(5), 115-129. 

  10. Kim, D. H. (2016). The moderating effects of fondness & admiration, father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self-reflection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of mothers with infa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1. Kim, J. K. (2014).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participation of husbands and marital satisfaction of wives during transition to parenthood: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and depression. Asian Journal of Child Welfare and Development, 12(1), 1-17. 

  12. Kim, K. H., & Cho, B. H. (2000). An ecological approach to analysis of variables in the parenting stress of the dual-earner mothers and fathers.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21(4), 35-50. 

  13. Kim, K. H., & Kang, H. K. (1997). Development of the parenting stress scal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5(5), 141-150. 

  14. Kim, M. S., & Moon, H. J. (2005).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on parenting behaviors in mother with young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3(8), 25-35. 

  15. Kim, S. H. (2015). The effects of personal and relational characteristic variables on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women with young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6. Kim, S. R., Hong, J. M., & Hong, H. (2010). The relations among mother's behavior toward rearing, mother's rearing-stress and selfesteem of young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ren's Media, 9(2), 113-132. 

  17. Kong, S. S. (2004). The program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for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on couple group. Journal of Korean Family Therapy, 12(1), 141-171. 

  18. Lee, I. J., & Kim, M. Y. (2014).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marital conflict in dual earner couple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5(3), 127-149. http://dx.doi.org/10.16999/kasws.2014.45.3.127 

  19. Lee, J. H. (2010). Variables influencing marital satisfaction of women after their first childbir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20. Min, E. H. (2008). The relation between the nursing support and the parenting stress of infants' mot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won University, Seongnam, Korea.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2012 Survey on child care services. Retrieved November 20, 2015, from http://www.mohw.go.kr/ 

  22. Mulsow, M., Caldera, Y. M., Pursley, M., Reifman, A., & Huston, A. C. (2002). Multilevel factors influencing maternal stress during the first three year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4(4), 944-956. 

  23.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2013). 2013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Retrieved November 20, 2015, from http://panel.kicce.re.kr/ 

  24. Park, H. N. (2014). Sleep health, psychological distress, parenting stress, marital satisfaction of working mothers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 and working patter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9(6), 423-441. 

  25. Schumm, W. R., Nichols, C. W., Schectman, K. L., & Grigsby, C. C. (1983). Characteristics of responses to the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by a sample of 84 married mothers. Psychological Reports, 53(2), 567-572. http://dx.doi.org/10.2466/pr0.1983.53.2.567 

  26. Shin, N. R., Lee, J. W., Kim, M. J., Kim, Y. W., Cho, B. H., Hong, S. H., et al. (2007). Development of children's panel survey model: Preliminary report. Seoul: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 Education. 

  27. Statistics Korea. (2016). Local employment survey of the second half of 2015: Employment status of double-income family and singleperson households. Retrieved June 29, 2016, from http://kostat.go.kr/ 

  28. Won, S. K., Park, S. Y., & Seol, K. O. (2016). Core self-evaluation as a mediator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8(1), 245-266. 

  29. Yeon, E. M., & Choi, H. (2015). Actor and partner effect of infantparents' emotional value of children,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90), 79-1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