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지피복유형과 지형특성이 폭염일수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n the Effects of Land Cover Types and Topographic Features on Heat Wave Days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9 no.4, 2016년, pp.76 - 91  

박경훈 (창원대학교 환경공학과) ,  송봉근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원인조사실) ,  박재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원인조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최근 폭염 문제로 주목을 받고 있는 밀양시를 대상으로 토지피복과 지형과 같은 공간 특성이 폭염일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폭염일수는 RCP 기반의 남한상세 기후자료(2000~2010년)를 활용하여 산출하였고, 토지피복유형은 2000년 토지피복도와 2005년, 2010년 환경부 중분류 토지피복도를 이용하여 시가화지역, 농업지역, 산림지역, 수역, 초지 및 나지로 유형을 재분류하였다. 지형특성은 공간해상도 30m급의 수치표고모델을 이용하여 계산된 지형위치지수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폭염일수는 2000년 평균 31.4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2008년 26.9일, 2001년 24.2일, 2010년 24.0일 순으로 나타났다. 폭염일수는 농경지와 계곡부 일대, 도시 외곽지역에서 많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밀양시의 지형적 특성은 평지(19.7%) 보다는 경사지(51.6%)의 산악지역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쪽 일부지역은 대규모 계곡지역(12.2%)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공간특성과 폭염의 상관성 분석 결과, 산림지역에서 폭염일수와 음의 상관성(-0.109)으로 나타나 폭염을 완화하는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지형적인 측면에서는 평지와 폭염이 양의 상관성(0.305)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도시계획가와 환경관리자에게 토지개발과 지형변화가 폭염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patial characteristics, such as land cover and topography, on heat wave days from the city of Milyang, which has recently drawn attention for its heat wave problems. The number of heat wave days was calculated utilizing RCP-based South Korea c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에서 폭염 발생 빈도와 강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경상남도 밀양시를 대상으로 폭염 등의 이상기온 현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2차원적 공간요소인 토지피복 유형과 3차원적 요소인 지형 특성이 폭염일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 따라서 폭염 발생 이후 사후 조치적 대응 방안 마련이 아니라, 폭염 발생빈도가 많거나 폭염에 취약한 지역을 대상으로 토지피복 유형이나 지형적 특성 등과 같이 미기후현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공간적 요소들이 폭염 발생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가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폭염 발생빈도와 그 강도가 전국의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경상남도 밀양시를 대상으로 토지피복 유형과 지형특성이 폭염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공간자료를 기반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폭염은 인체 및 사회 전반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2014). 폭염은 열대야를 유발하여 불면증, 스트레스 등을 유발하여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전력소비 증가에 따른 에너지 문제, 산불 발생 증가, 스모그 현상과 같은 대기오염 악화 등을 초래할수 있어 사회 전반적으로 피해를 미칠 수 있다 (Kim et al., 2009; Changnon et al.
TPI란 무엇인가? 지형특성은 공간해상도 30m×30m 수치표고모델을 활용한 TPI로 분석하였다. TPI는 그림 3과 같이 고도와 경사를 바탕으로 능선과 계곡부, 급경사지, 완경사지, 평지 등 10가지 형태로 분류하는 것으로서 넓은 인접공간에서의 경사위치분류(Large neighborhood slope position classification, LN)와 좁은 인접공간에서의 경사위치분류(Small neighborhood slope position classification, SN), 경사도를 바탕으로 중첩에 의해 분석되어진다(Park et al., 2007; Sermin, 2008; Song and Park, 2010).
밀양시는 농업중심의 도시이지만 폭염이 매우 빈번히 발생하는데, 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밀양시는 비슷한 규모의 중소도시나 대규모 광역도시에 비해 도시화가 비교적 덜 진행된 농업중심의 도시이지만, 폭염은 매우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는 현재까지 폭염 발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알고 있는 인공구조물이나 피복면의 증가, 녹지면적 감소, 인공열 배출뿐만 아니라, 시설 재배 중심의 농업활동 변화, 바람 형성이나 흐름 등에 영향을 미치는 지형적 요소 등을 종합 적으로 고려할 필요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angnon, S.A., K.E. Kunkel, and B.C. Reinke. 1996. Impacts and responses to the 1995 heat wave: a call to action.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77(7):1497-1506. 

  2.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07.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3. Jung, E.H., D.W. Kim, J.W. Ryu, J.G. Cha, and K.S. Son. 2008. Evaluation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wind corridor formation in Daegu area using satellite data.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1(2):73-84. (정응호, 김대욱, 류지원, 차재규, 손경수. 2008. 위성자료를 활용한 대구지역 바람길 생성의 공간적 특성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2):73-84). 

  4. Kim, D.W., J.H. Chung, J.S. Lee, and J.S. Lee. 2014. Characteristics of heat wave mortality in Korea. Atmosphere 24(2):225-234.(김도우, 정재학, 이종설, 이지선. 2014. 우리나라 폭염 인명피해 발생특징. 대기 24(2): 225-234). 

  5. Kim, J.Y., D.G. Lee, and J. Kysely. 2009. Characteristics of heat acclimatization for major Korean cities. Atmosphere 19(4):309-318 (김지영, 이대근, Kysely, J. 2009. 한국 주요도시의 폭염에 대한 기후 순응도 특성. 대기 19(4):309-318). 

  6. Koo, Y.S., J.E. Kim, J.S. Kim, and S.H. Lee. 2015.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daptation ability by vulnerability analysis of heat wave: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7(5):331-347. (구유성, 김자은, 김지숙, 이성호. 2015. 폭염 취약성평가를 통한 도시의 적응능력 향상: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7(5):331-347). 

  7. Lee, D.G., J.Y. Kim, and B.C. Choi. 2007. Characteristics of daily mortality due to heat waves in Busan in July 1994. Atmosphere 17(4):463-470. (이대근, 김지영, 최병철. 2007. 1994년 7월 부산지역의 폭염으로 인한 일 사망률 특성 연구. 대기 17(4):463-470.) 

  8. Lee, D.G., Y.J. Choi, K.R. Kim, J.Y. Byon, L.S. Kalkstein, and S.C. Sheriadn. 2010. Development of heat-health warming system based on regional properties between climate and human health. Climate Change Research 1(2):109-120 (이대근, 최영진, 김규량, 변재영, L.S. Kalkstein, S.C. Sheriadn. 2010. 대도시 기후-보건학적 특성에 기반한 고온건강경보시스템 개발. 한국기후변화학회지 1(2):109-120). 

  9. Lee, N.Y. and Y.S. Cho. 2015. Estimation of the medical costs incurred by the elderly in Korea due to heat waves and analysis of the causes for expenditure.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 23(2):153-162 (이나영, 조용성. 2015. 여름철 폭염발생에 따른 고령자층의 의료 비용 추정 및 요인 분석. 환경정책 23(2):153-172). 

  10. Oke, T.R. 2006. Initial guidance to obtain representative meteorological observations at urban sites. Instruments and observing methods report 81:9-10. 

  11. Park, C.Y., Y.E. Choi, Y.A. Kwon, J.I. Kwon, and H.S. Lee. 2013. Studies on changes and future projections of subtropical climate zones and extreme temperature events over South Korea using high resolution climate change scenario based on PRIDE mod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9(4):600-614 (박창용, 최영은, 권영아, 권재일, 이한수. 2013. 남한 상세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한 아열대 기후대 및 극한기온 사상의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9(4):600-614). 

  12. Park, J.E., B.Y. Heo, and W.Y. Sun. 2016. A study on human damage due to heat wave by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6(1):103-109 (박재은, 허보영, 선우영. 2016. 폭염에 의한 지역별 인명 피해 발생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6(1):103-109). 

  13. Park, K.H., K.T. Kim, H.G. Gwak, and W.S. Lee. 2007. A prediction of forest wetland distribution using Topographic Position Index.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1):194-204 (박경훈, 김경태, 곽행구, 이우성. 2007. Topographic Position Index를 활용 한 산지습지 분포 예측.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1):194-204). 

  14. Park, J.K., W.S. Jung, and E.B. Kim. 2008.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extreme heat standard in Korea.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7(6):657-669 (박종길, 정우식, 김은별. 2008. 폭염발생 설정 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7(6):657-669.) 

  15. Sermin. T. 2008. GIS-based automated landforms classification and topographic, landcover and geologic attributes of landforms around the Yazoren Polje, Turkey. Journal of Applied Sciences 8(6):910-921. 

  16. Song, B.G. and K.H. Park. 2010. An analysis of cold air generation area considering climate-ecological function.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1):114-127 (송봉근, 박경훈. 2010. 기후생태적 기능을 고려한 찬공기 생성지역 분석 -창원시를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1):114-127). 

  17. Song, B.G. and K.H. Park. 2011. The classification of spatial patterns considering formation parameters of urban climate -the case of Changwon city, South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0(3):299-311 (송봉근, 박경훈. 2011. 도시기후 형성 요소를 고려한 공간유형 분류 -창원시를 대상으로-환경영향평가학회지 20(3):299-311). 

  18. Song, B.G. and K.H. Park. 2012. Analysis of heat island characteristics considering urban space at nighttime.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1):133-143 (송봉근, 박경훈. 도시공간을 고려한 야간시간대의 열섬특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1):133-14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